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수험서/자격증 > 공무원 수험서 > 7/9급 공무원 > 행정학 > 7/9급 교재
· ISBN : 9791159621222
· 쪽수 : 1108쪽
· 출판일 : 2016-08-10
책 소개
목차
제01편 행정학의 기초이론
Chapter 01 행정의 의의와 본질 4
제01절 행정(Public Administration)의 개념 4
제02절 행정의 특성 12
제03절 행정의 변수 16
제04절 행정과정 17
제05절 행정문화(行政文化) 18
제06절 행정과 정치 20
제07절 행정과 경영 21
Chapter 02 현대 행정의 특징 25
제01절 국가의 변천과 행정기능 25
제02절 정부와 시장에 관한 기초이론 33
제03절 시장실패와 정부의 역할 34
제04절 정부규제 42
제05절 정부실패 54
제06절정부실패의 극복 57
Chapter 03 행정이념 83
제01절 행정이념의 의의와 변천 83
제02절 주요 행정이념 85
제03절 행정이념 간의 상호관계 107
Chapter 04 행정학의 발달 109
제01절 행정학의 학문적 성격 109
제02절 행정학의 접근방법 111
제03절 행정학의 성립과 발달 114
Chapter 05 행정학의 접근론 118
제01절 과학적 관리론(scientific management) 118
제02절 인간관계론(human relations) 120
제03절 행태론적 접근론(behavior approach) 124
제04절 생태론적 접근론(ecology approach) 128
제05절 체제론적 접근론(system approach) 130
제06절 비교행정론 134
제07절 발전행정론 135
제08절 신행정론(신행정학) 138
제09절 현상학적 접근론(phenomenological approach) 140
제10절비판론적 접근론 144
제11절 공공선택이론(public choice theory) 146
제12절 신제도론적 접근론(new institutionalism) 155
제13절 신공공관리론(NPM ; New Public Management) 165
제14절 거버넌스와 뉴거버넌스 174
제15절 포스트모더니즘 행정 184
제16절 담론이론 188
제17절 신공공서비스론(new public service) 192
제02편 정책 및 기획
Chapter 01 정책의 의의 198
제01절 정책학(policy sciences, 정책과학) 일반 198
제02절 정책의 본질 199
제03절 정책과 정책결과의 틀 201
제04절 정책과정 201
제05절 정책의 유형 202
제06절 권력모형-정책 주도권에 대한 논쟁 206
제07절 정책과정의 참여자 222
Chapter 02 정책의제설정 229
제01절 정책의제설정의 의의 229
제02절 정책의제설정 모형 231
제03절 정책의제설정요인 235
제04절 이론별 정책의제설정 특성 237
Chapter 03 정책목표 238
Chapter 04 정책결정 240
제01절 정책결정(policy making)의 의의 240
제02절 합리적 정책결정의 제약요인 241
제03절 정책결정모형 243
제04절 품의제-우리나라의 정책결정제도 266
Chapter 05 정책분석 267
제01절 정책분석의 의의 267
제02절 정책문제의 구조화 269
제03절 정책분석의 차원 272
제04절 분석기법 275
제05절 불확실성 하에서의 미래예측기법 288
제06절 합리적 정책분석을 제약하는 상황 299
Chapter 06 정책집행 303
제01절 정책집행의 의의 303
제02절 정책집행연구의 흐름 304
제03절 정책집행의 유형 311
제04절 정책집행의 참여자 314
제05절 정책집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316
제06절 정책집행과 순응?불응 319
제07절 기획(企劃) 320
Chapter 07 정책평가 326
제01절 정책평가의 의의 326
제02절 정책평가의 타당성과 신뢰성 331
제03절 정책평가실험 333
제04절 정부업무평가제(심사평가제) 340
제05절 정책변동(policy change) 343
제06절 사회지표(social indicators) 347
제03편 조 직
Chapter 01 조직의 기초이론 352
제01절 조직의 의의 352
제02절 조직이론의 흐름 357
제03절 조직의 원리 360
제04절 조직과 개인 365
제05절 조직과 환경 384
제06절 조직과 목표 396
제07절 조직문화 397
Chapter 02 조직의 구조와 형태 400
제01절 조직의 구조 400
제02절 관료제(官僚制) 415
제03절 탈관료제모형 422
제04절 공식집단과 비공식집단 426
제05절 계선기관과 참모기관 427
제06절 위원회(委員會) 430
제07절 우리나라 정부조직 433
제08절 공기업 439
제09절 책임운영기관(責任運營機關, Executive Agency) 450
Chapter 03 조직의 관리 459
제01절 의사전달(communication, 커뮤니케이션 또는 의사소통) 459
제02절 갈등(conflict) 462
제03절 권위(authority) 468
제04절 권력(power) 470
제05절 리더십(leadership) 471
제06절 행정정보화와 전자정부 485
제07절 정보공개 509
제08절 행정PR 518
제09절 행정절차 519
Chapter 04 조직의 변화와 쇄신 521
제01절 조직의 동태화 521
제02절 조직발전(OD;Organization Development) 528
제03절 목표관리제(MBO;Management By Objectives) 533
제04절 총체적 품질관리(TQM;Total Quality Management) 536
제04편 인사행정
Chapter 01 인사행정의 흐름 544
제01절 인사행정(人事行政, public personnel administration) 544
제02절 정치적 인사행정-정실주의와 엽관주의 545
제03절 실적제(實績制) 548
제04절 직업공무원제(career civil service system) 553
제05절 적극적 인사행정 556
제06절 중앙인사기관 568
제07절 공직의 분류 572
제08절 계급제(rank classification system) 577
제09절 직위분류제(position classification system) 579
제10절 대표관료제(代表官僚制, representative bureaucracy) 589
Chapter 02 공무원 임용과 능력발전 594
제01절 인력계획 594
제02절 임 용 594
제03절 모집(募集) 597
제04절 시 험 598
제05절 근무성적평정 603
제06절 교육훈련 613
제07절 승 진 620
제08절 배치전환 626
제09절 경력발전(경력개발, Career Development) 628
Chapter 03 사기관리와 책임 631
제01절 사기(士氣) 631
제02절 신분보장 635
제03절 보수(報酬) 642
제04절 연금(年金) 652
제05절 공무원단체 656
제06절 정치적 중립 663
제07절 행정윤리 666
제08절 공직부패 677
색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