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수험서/자격증 > 공무원 수험서 > 군무원/부사관
· ISBN : 9791159621574
· 쪽수 : 566쪽
· 출판일 : 2016-10-14
책 소개
목차
고대~근대 태동기
제1편Ⅰ선사시대의 문화와 국가의 형성
제1장 한국사의 바른 이해 / 2
제1절 역사와 학습목적 / 2
제2절 한국사의 보편성과 특수성 / 5
제2장 선사시대의 전개 / 7
제1절 선사시대의 세계 / 7
제2절 우리나라의 선사시대 / 9
제3장 국가의 형성 / 17
제1절 청동기, 철기시대 (불평등사회) / 17
제2절 고조선의 형성과 발전 / 25
제3절 철기의 보급과 여러 국가의 성장 / 29
제2편Ⅰ통치구조와 정치활동
제1장 고대의 정치 / 40
제1절 고대국가의 성립 / 42
제2절 삼국의 성립과 발전 / 44
제3절 삼국의 제도와 통치방식 / 64
제4절 대외항쟁과 신라의 삼국통일 / 68
제5절 남북국시대의 정치변화(통일신라) / 72
제6절 남북국시대의 정치변화(발해:698~926) / 79
제2장 중세의 정치 / 86
제1절 중세사회(고려)의 성립 / 87
제2절 정치제도의 정비 / 96
제3절 문벌귀족사회의 성립과 동요 / 101
제4절 무신정권의 수립(1170~1270):문벌귀족사회의 몰락! / 104
제5절 고려의 대외관계 / 108
제6절 고려 후기의 정치변동(원간섭기) / 114
제3장 근세의 정치 / 125
제1절 근세사회의 성립 / 126
제2절 통치체제의 정비 / 136
제3절 사림세력의 대두와 붕당정치 / 150
제4절 조선 초기 대외관계(사대교린정책) / 158
제5절 양난의 극복(왜란과 호란) / 161
제4장 근대 태동기의 정치 / 172
제1절 통치체제의 변화 / 173
제2절 붕당정치의 전개와 탕평책 / 178
제3절 세도정치와 정치문란 / 189
제4절 대외관계의 변화 / 190
제3편Ⅰ경제구조와 경제생활
제1장 고대의 경제 / 194
제1절 삼국의 경제생활 / 194
제2절 남북국시대의 경제적 상황 / 197
제2장 중세의 경제 / 202
제1절 경제정책 / 202
제2절 전시과제도 / 203
제3절 경제생활 / 207
제3장 근세의 경제 / 211
제1절 경제정책 / 211
제2절 양반과 평민의 경제활동 / 216
제4장 근대 태동기의 경제 / 222
제1절 수취제도의 개편(조세의 전세화) / 222
제2절 서민경제의 발전 / 225
제3절 상품화폐경제의 발달 / 230
제4편Ⅰ사회구조와 사회생활
제1장 고대의 사회 / 236
제1절 신분제사회의 성립 / 236
제2절 삼국사회의 모습 / 237
제3절 남북국시대의 사회 / 241
제2장 중세의 사회 / 243
제1절 고려의 신분제도 / 243
제2절 백성들의 생활모습 / 247
제3절 고려 후기의 사회변화 / 249
제3장 근세의 사회 / 251
제1절 양반관료중심의 사회(양천제→반상제) / 251
제2절 사회정책과 사회시설 / 254
제3절 향촌(鄕村)사회의 조직과 운영 / 256
제4장 근대 태동기의 사회 / 260
제1절 사회구조의 변동 / 260
제2절 향촌질서의 변화 / 264
제3절 사회변혁의 움직임 / 266
제5편Ⅰ민족문화의 발달
제1장 고대의 문화 / 274
제1절 학문의 발달 / 275
제2절 사상의 발달 / 278
제3절 고대인의 예술 / 284
제4절 과학기술의 발달 / 292
제5절 일본으로 건너간 우리문화 / 293
제2장 중세의 문화 / 297
제1절 유학의 발달과 역사서의 편찬 / 297
제2절 불교사상과 신앙 / 304
제3절 과학기술의 발달 / 308
제4절 귀족문화의 발달 / 310
제3장 근세의 문화 / 315
제1절 민족문화의 융성(조선 초) / 315
제2절 성리학의 발달 / 321
제3절 불교와 민간신앙 / 324
제4절 과학기술의 발달 / 326
제5절 건축과 예술 / 328
제4장 근대 태동기의 문화 / 333
제1절 성리학의 발달과 한계 / 333
제2절 실학의 발달 / 338
제3절 과학기술의 발달 / 348
제4절 문학과 예술의 새 경향 / 351
근현대사
제1편Ⅰ근대사회의 전개
제1장 외세의 침략적 접근과 개항 / 360
제1절 19세기 후반의 세계 / 360
제2절 통치체제의 재정비 노력 / 362
제3절 통상수교 거부정책과 양요 / 365
제4절 개항과 불평등조약 체제 / 367
제2장 개화운동과 근대적 개혁의 추진 / 371
제1절 개화정책의 추진과 반발 / 371
제2절 임오군란과 갑신정변 / 375
제3장 구국민족운동의 전개 / 380
제1절 동학농민운동(=갑오농민전쟁)의전개 / 380
제2절 갑오개혁, 을미개혁 / 384
제3절 독립협회(1896.7~1898.12) / 387
제4절 대한제국 / 390
제5절 항일의병전쟁의 전개 / 392
제6절 애국계몽운동의 전개 / 395
제4장 개항 이후의 경제와 사회 / 400
제1절 열강의 경제침탈 / 400
제2절 경제적 구국운동 / 404
제3절 사회구조와 의식의 변화 / 407
제4절 국외 이주동포의 증가 / 409
제5장 근대문물의 수용과 근대문화의 형성 / 410
제1절 근대문물의 수용 / 410
제2절 근대교육과 국학연구 / 413
제3절 언론기관의 발달 / 416
제4절 문예와 종교의 새경향 / 417
제2편Ⅰ민족독립 운동의 전개
제1장 일제의 침략과 민족의 수난 / 422
제1절 일제의 침략과 국권의 피탈 / 423
제2절 민족의 수난 / 428
제3절 경제수탈의 심화 / 432
제2장 3.1 운동과 대한민국 임시정부 / 437
제1절 3.1 운동 이전의 민족운동 / 437
제2절 3.1 운동의 전개 / 440
제3절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수립과 활동 / 443
제3장 무장독립전쟁의 전개 / 448
제1절 3.1운동 이후 국내 항일민족운동 / 448
제2절 의열단과 한인애국단의 활동 / 449
제3절 1920년대의 무장독립투쟁 / 453
제4절 1930년대의 무장독립전쟁 / 455
제5절 대한민국 임시정부와 한국광복군의 활동 / 458
제4장 사회.경제적 민족운동 / 460
제1절 3.1운동 이후 독립운동의 변화 / 460
제2절 민족실력양성운동 / 463
제3절 농민운동과 노동운동의 전개 / 466
제4절 민족유일당운동의 전개와 신간회 / 468
제5절 국외 이주동포의 활동 / 470
제5장 민족문화수호운동 / 473
제1절 일제의 식민지문화정책 / 473
제2절 국학운동의 전개 / 476
제3절 과학과 종교활동 / 479
제4절 문학과 예술활동 / 481
제3편Ⅰ현대사회의 발전
제1장 광복과 대한민국의 수립 / 486
제1절 광복과 모스크바 3국외상회의 / 487
제2절 대한민국의 수립과 분단 / 494
제3절 6?25전쟁 / 497
제2장 민주주의의 시련과 발전 / 501
제1절 4?19 혁명과 민주주의의 성장 / 501
제2절 5?16군사정변과 유신체제 / 505
제3절 민주화운동과 민주주의의 발전 / 511
제3장 통일정책과 평화통일의 과제 / 517
제1절 북한체제의 고착화와 북한의 변화 / 517
제2절 통일정책과 남북대화 / 520
-참고 독도의 역사 / 525
제4장 경제발전과 사회문화의 변화 / 529
제1절 광복 이후의 경제적 상황과전후 복구 / 529
제2절 경제성장과 자본주의의 발전 / 532
제3절 사회변화와 사회문제 / 535
제4절 현대문화의 동향 / 538
부 록 / 5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