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수험서/자격증 > 공무원 수험서 > 7/9급 공무원 > 국어 > 7/9급 기본서 및 부교재
· ISBN : 9791159627590
· 쪽수 : 417쪽
· 출판일 : 2019-07-08
책 소개
목차
[윌비스 제로백 공무원 국어 1]
제1편 ‣‣ 국어의 지식
제1장 언어와 국어 2
제1절 언어의 이해 2
01 언어의 개념과 기능 2
02 언어의 특성 5
03 언어의 체계와 구조 7
04 언어와 민족, 문화, 사회, 사고와의 관계 9
05 언어의 두 측면 11
06 언어의 분류 12
제2절 국어의 이해 14
01 국어의 개념과 범위 14
02 한글의 명칭 16
03 국어의 특성 19
제3절 국어의 순화 22
01 국어의 순화의 이해 22
02 국어 순화의 부정적인 언어관과 당위적인 언어관 24
03 국어 순화의 실례 25
04 언어의 본질 44
읽기자료 44
05 국어의 특질 45
06 새말의 탄생 46
단원종합문제 48
제2장 규범 문법 이해 58
제1절 말소리 58
01 음운과 음운 체계 58
02 국어의 음운 현상 65
단원종합문제 80
제2절 단어 86
01 문법 단위 86
02 형태소와 단어 86
03 품사 96
확인 학습-품사 구별 114
단원종합문제 118
제3절 문장론 126
01 문장의 성격 126
02 문장 성분 127
03 문장의 짜임새 133
단원종합문제 146
제4절 의미론(意味論) 154
01 언어(言語)와 의미(意味) 154
02 단어들의 관계 155
03 의미의 사용 162
04 의미의 변화 169
단원종합문제 172
제5절 담화론 178
01 담화의 이해 178
단원종합문제 184
제2편 ‣‣ 어문 규정
제1장 표준어 규정 188
제2장 한글맞춤법 204
제3장 외래어 표기법 288
학습 점검 문제 302
제4장 로마자 표기법 306
단원 종합문제 312
제3편 ‣‣ 한자와 우리말
제1장 한자 이해 328
제1절 동자이음어(同字異音語) 328
제2절 동음이의어(同音異議語) 330
제3절 글자의 모양과 뜻, 음이 함께 비슷한 한자 343
제4절 시험에 출제된 한자어 독음 358
제2장 한자 성어 368
제1절 시험에 출제된 한자 성어 368
제2절 주제별 한자 성어 375
제3장 주요 순 우리말 376
제1절 주요 순 우리말 376
제2절 주제별 어휘 382
01 단위를 나타내는 말 382
02 ‘나이’를 나타내는 말 382
03 날씨와 관련된 말 383
04 ‘사람’과 관련된 말 383
제4장 시험에 출제된 주요 속담 386
단원 종합문제 398
[윌비스 제로백 공무원 국어 2]
2권_바른 독해 원리
제1편 ‣‣ 글의 바른 독해
제1장 작문⋅화법⋅독서 2
제1절 작문 2
01 좋은 글의 요건 2
02 쓰기의 절차 4
03 문체 7
04 수사법 11
제2절 화법 60
01 화법의 기본과 본질 60
02 화법의 실제 62
03 생활 속의 언어 예절 69
04 호칭어와 지칭어 81
제3절 독서 93
01 독서의 개념 93
02 독서의 과정 93
03 독서의 종류 94
04 독서와 지식 95
단원 종합문제 98
제2장 글의 독해 원리 116
제1절 어휘 116
01 어휘의 이해 116
제2절 글의 진술 방식과 전개 방식 121
01 글의 진술 방식 121
02 글의 전개 방식 136
제3절 글의 내용 구조 이해 147
01 문단과 글의 이해 147
02 글의 올바른 이해 방법 163
단원 종합문제 170
제3장 독해의 실제 200
제1절 설명문 200
01 개념 및 목적 200
02 요건 200
03 짜임 201
04 주요 설명문 이해 202
인간의 특징 202
한국 축제의 역사 204
정보 사회와 인간 생활 205
건축과 동양 정신(김수근) 207
제2절 논설문 208
01 개념 및 목적 208
02 특성 및 요건 208
03 짜임 208
04 논설문의 두 가지 유형 213
05 논설문의 독해 요령 213
06 주요 논설문 이해 214
기미 독립 선언서 214
민족 문화의 전통과 계승 227
학문의 목적(박종홍) 230
독서와 인생 232
기예론_技藝論(정약용) 234
나의 소원 237
민주주의 한국의 청사진(김태길) 242
영상 매체 시대의 책(박이문) 245
간디의 물레(김종철) 246
황소개구리와 우리말(최재천) 249
유재론_遺才論(허균) 251
우리의 미술(최순우) 252
호민론_豪民論(허균) 255
제3절 기행문 257
01 개념 257
02 특징 257
03 구성 요소 257
04 구성과 표현방법 258
05 기행문을 쓰는 요령 258
06 기행문 독해 258
유 한라산기(최익현) 258
산정무한(정비석) 259
외국인의 눈에 비친 19세기 말의 한국(이사벨라 버드 비숍) 261
불국사 기행(현진건) 262
제4절 실용문 267
01 기사문 267
02 식사문 268
03 일기문 270
04 서간문 271
05 방송 보도문 274
06 서식문 276
단원 종합문제 278
[윌비스 제로백 공무원 국어 3]
제1편 ‣‣ 문 학
제1장 문학의 이해 2
제1절 문학의 기초 2
01 문학의 정의 2
02 문학의 특성 2
03 문학의 요소 2
04 문학의 기원 3
05 문학의 기능 3
06 문학(허구)과 현실(실제)와의 관계 4
07 문학의 갈래 5
08 문학 작품 이해의 관점 및 방법 7
읽기자료 12
09 문학의 미의식 14
제2절 문예사조 17
01 문예사조 17
02 주요 문예 사조의 흐름과 특징 17
단원종합문제 24
제2장 현대 문학 34
제1절 시의 이해 34
01 시의 언어 36
02 시의 운율 37
03 시의 심상(心象,이미지) 40
04 시적 화자와 어조 45
05 시의 표현 기법 53
06 시상의 전개 방식 59
07 주제별 주요 시작품 이해 69
·설일(雪日)(김남조) 69
·무등(無等)을 보며(서정주) 70
·깃발(유치환) 71
·바위(유치환) 72
·진달래꽃(김소월) 73
·초혼(招魂)(김소월) 74
·유리창1(정지용) 75
·성북동 비둘기(김광섭) 76
·나비의 여행(정한모) 77
·꽃덤불(신석정) 78
·풀(김수영) 79
·눈(김수영) 80
·사령(死靈)(김수영) 81
·참회록(윤동주) 82
·목계 장터(신경림) 83
·빼앗긴 들에도 봄은 오는가(이상화) 84
·그날이 오면(심훈) 86
·외인촌(外人村)(김광균) 87
·와사등(瓦斯燈)(김광균) 88
·추억(追憶)에서(박재삼) 89
·자모사(慈母思)(정인보) 90
제2절 소설의 이해 91
01 소설의 개념과 기원 91
02 소설의 특성과 요소 92
03 소설의 시점 118
04 교과서에 수록 주요 작품 이해 123
·선학동 나그네(이청준) 123
·토지(박경리) 125
·화랑의 후예(김동리) 127
·수난 이대(하근찬) 129
·메밀꽃 필 무렵(이효석) 132
·동백꽃(김유정) 133
·봄봄(김유정) 135
·삼대(염상섭) 137
·장마(윤흥길) 139
·우리들의 일그러진 영웅(이문열) 141
·눈길(이청준) 144
05 주요 소설 작품 이해 147
제3절 수필 186
01 정의 186
02 특성 186
03 주요 현대 수필의 이해 187
·무소유(無所有)(법정(法頂)) 187
·폭포와 분수(이어령(李御寧)) 188
·피딴 문답(皮蛋問答)(김소운(李御寧)) 189
·플루트 연주자(피천득) 190
·행복의 메타포(안병욱) 191
·신록 예찬(이양하) 193
·까치(윤오영) 193
·달밤(윤오영) 194
·잊지 못할 윤동주(정병욱) 195
·수필(피천득) 196
제3절 희곡 197
01 희곡의 특성 197
02 희곡의 제약 197
03 희곡의 구성 요소 197
04 희곡과 소설의 비교 197
05 주요 희곡 작품의 이해 198
·토막(土幕)(유치진) 198
·동승 199
·만선(천승세) 199
·맹진사 댁 경사(오영진) 200
·불모지(차범석) 200
·살아있는 이중생 각하(오영진) 201
·산돼지(김우진) 201
·원고지(이근삼) 202
제4절 시나리오 205
01 시나리오 용어 205
02 시나리오와 희곡의 비교 205
단원종합문제 206
제2편 ‣‣ 옛글 이해
제1장 어학적인 글과 문학적인 글 238
제1절 어학적인 글 238
01 훈민정음 238
02 소학언해(小學諺解)_원전(原典) - 소학(小學) 240
03 동국신속삼강행실도(東國新續三綱行實圖)와 노걸대언해(老乞大諺解) 244
·경명충렬 245
·이보할지 246
·최금타적 247
·순신역전 248
·노걸대언해 248
제2절 문학적인 글 250
01 용비어천가(龍飛御天歌) 250
02 두시언해(杜詩諺解) 255
03 동명일기 260
단원종합문제 262
제2장 고전 문학 270
제1절 시가 문학 270
01 고대 가요 270
·공무도하가(公無渡河歌) 270
·황조가(黃鳥歌) 271
·구지가(龜旨歌) 271
·정읍사(井邑詞) 272
02 향가(鄕歌) 274
·서동요(薯童謠) 274
·헌화가(獻花歌) 274
·도솔가(兜率歌) 275
·처용가(處容歌) 275
·찬기파랑가(讚耆婆郞歌) 276
·제망매가(祭亡妹歌) 275
·안민가(安民歌) 278
03 향가계 여요(麗謠) 279
·정과정(鄭瓜亭) 279
04 고려 속요 281
·사모곡(思母曲) 281
·상저가(相杵歌) 281
·동동(動動) 282
·청산별곡(靑山別曲) 285
·서경별곡(西京別曲) 287
·정석가(鄭石歌) 290
·만전춘(滿殿春) 292
·쌍화점(雙花店) 292
05 경기체가 293
06 고시조(주제별) 294
·맥수지탄(麥秀之嘆)의 시조 294
·전환기에 처한 지식인의 시조 295
·우국과 충절의 시조 296
·임금에 대한 충절의 시조 297
·굳은 절개와 충성의 시조 298
·인재의 희생을 노래한 시조 299
·연군의 시조 300
·임금에 대한 충정을 호소하는 시조 301
·장군의 우국충정을 그린 시조 301
·오륜 관련 시조 302
·세태를 비판하는 시조 303
·사군자의 절개를 예찬한 시조 303
·늙음을 한탄하는 시조 305
·안빈낙도(安貧樂道)의 시조 306
·취흥을 노래한 시조 307
·한가롭고 쓸쓸한 정취의 시조 309
·사랑과 그리움의 시조 310
·연정을 그린 시조 312
·노년의 감회를 담은 시조 313
·효빈가(이현보) 314
·어부가(이현보) 315
·만흥(윤선도) 315
·도산십이곡(陶山十二曲)(이황) 316
·고산구곡가(高山九曲歌)(이이) 317
·오우가(五友歌)(윤선도) 317
·어부사시사(漁父四時詞)(윤선도) 318
·강호사시가(맹사성) 319
·남구만 320
07 가사와 잡가⋅민요 325
·상춘곡(賞春曲)(정극인) 325
·면앙정가(俛仰亭歌)(송순) 326
·관동별곡(關東別曲)(정철) 327
·사미인곡(思美人曲)(정철) 330
·속미인곡(續美人曲)(정철) 331
·누항사(陋巷詞)(박인로) 332
·규원가(閨怨歌)(허난설헌) 333
·연행가(燕行歌)(홍순학) 334
·유산가(遊山歌) 336
·시집살이 노래 336
·베틀 노래 338
제2절 판소리와 고소설 339
01 판소리 339
·흥부가(興夫歌) 339
·춘향가(春香歌) 340
02 고소설 342
·만복사저포기(萬福寺樗蒲記)(김시습의 「금오신화」수록 작품) 342
·구운몽(九雲夢) 343
·춘향전 345
·허생전(許生傳)(박지원) 347
·양반전(兩班傳) 349
제3절 고전수필과 민속극, 한문학 351
01 고전수필 351
·규중칠우쟁론기(작자 미상) 351
·조침문(弔針文)(유씨 부인) 352
·차마설(借馬說)(이곡) 354
·이옥설(理屋說)(이규보) 355
·경설(鏡說)(이규보) 356
·아기설(啞器說)(안정복) 356
02 민속극 362
·봉산(鳳山) 탈춤 362
03 한문학 367
·여수장우중문시(與隋將于仲文詩)(을지문덕(乙支文德)) 367
·제가야산독서당(최치원) 367
·추야우중(秋夜雨中)(최치원) 368
·동명왕편(東明王篇)(이규보) 369
·송인(送人)(정지상) 370
·사리화(沙里花)(이제현) 370
·불일암 인운 스님에게(佛日庵贈因雲釋)(이달) 371
·절명시(絶命詩)(황현) 371
·보리타작(打麥行)(정약용) 372
·탐진촌요(耽津村謠)(정약용) 373
·자야오가(子夜吳歌)(이백) 374
·한산도(閑山島)(이순신) 374
·이어사시(李御史詩)(춘향전 중에서) 375
·우성시(偶成詩)(주희) 375
단원종합문제 376
제3편 ‣‣ 부 록
제1장 심화 자료 420
제1절 옛말 문법 420
01 제자 원리와 문자 체계 420
02 표기법 425
02 체언과 조사 427
04 품사의 설정과 용언의 활용 432
05 문장의 형태 435
06 문장의 전환과 주요 음운 현상 436
제2절 국어사 439
01 알타이어족 439
02 국어의 형성 440
03 국어학사 442
제3절 국문학사 447
01 고전 문학사 447
02 현대 문학사 451
제4절 국문학의 기원과 고전 문학 시대 개관 470
01 국문학의 기원 470
02 각 시대별 문학의 전개 470
제5절 시가 문학의 흐름 474
01 고대 가요 474
02 향가(鄕歌) 475
03 향가계 시가(詩歌) 479
04 고려 속요 479
05 경기체가 481
06 고시조 483
07 악장(樂章) 487
08 가사 489
09 잡가 493
10 민요 494
11 판소리 495
제6절 서사문학의 흐름 501
01 설화 501
02 패관(稗官) 문학 503
03 가전체(假傳體) 문학 504
04 고소설(古小說) 506
05 고대 수필 516
07 민속극 518
07 언해 문학과 한문학 521
제7절 주요 어휘 이해 525
01 다의어 525
02 유의어와 반의어 537
03 신체어와 관련된 관용적 표현 547
04 주요 고유어 분류 559
05 주제별 어휘 56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