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수험서/자격증 > 공무원 수험서 > 7/9급 공무원 > 한국사 > 7/9급 교재
· ISBN : 9791159627736
· 쪽수 : 667쪽
· 출판일 : 2019-07-11
책 소개
목차
제1편 ‣‣ 한국사 개관
제1장 역사의 의미와 한국사 2
제1절 역사를 바라보는 두 가지 시각 2
01 사실로서의 역사 2
02 기록으로서의 역사 2
제2절 역사학과 사료 비판 3
01 역사학과 역사가 3
02 사료 비판 3
제3절 한국사와 세계사 3
01 우리 문화의 특징 3
02 보편성 4
03 한국사적 특수성 4
단원종합문제 6
제2편 ‣‣ 선사시대와 국가의 형성
제1장 선사 시대와 민족의 형성 10
제1절 선사 시대와 민족의 형성 10
01 선사 시대의 정의 10
02 우리 민족의 형성 10
제2절 구석기와 신석기 시대 11
01 구석기 시대 11
02 신석기 시대 13
단원종합문제 16
제2장 고조선과 초기 국가 시대 18
제1절 청동기 시대와 철기 시대의 형성 18
01 청동기 시대 18
02 철기 시대 21
제2절 고조선과 초기 국가의 성립 22
01 고조선의 건국과 발전 22
02 초기 국가의 형성과 발전 26
단원종합문제 34
제3편 ‣‣ 고대시대
제1장 고대의 정치:삼국시대 40
제1절 고대 국가의 성립 40
01 고대 국가의 성격 40
02 삼국의 성립 41
제2절 삼국의 발전과 통체 체제 46
01 삼국의 정치적 발전 46
02 삼국의 항쟁 50
03 삼국 항쟁의 변화 55
제3절 삼국의 통치 체제 57
01 귀족 회의 57
02 관등 체제 57
03 삼국의 중앙 정치와 지방 통치 체제 59
제4절 삼국의 대외 항쟁과 신라의 삼국 통일 60
01 고구려와 수, 당의 전쟁 60
02 백제와 신라의 갈등 61
03 백제의 멸망과 부흥운동 62
04 고구려의 멸망 62
05 나⋅당 전쟁과 신라의 삼국 통일 63
단원종합문제 66
제2장 고대의 정치:남북국 시대 70
제1절 신라 중대 70
01 신라의 시대 구분 70
02 신라 중대의 왕권의 전제화 확립과 쇠퇴 70
제2절 신라 하대 74
01 신라 하대의 전개 74
02 후삼국의 성립 78
제3절 발해 79
01 발해의 건국과 정체성 79
02 발해의 발전과 멸망 80
03 발해의 역사적 의의 82
제4절 남북국의 통치 체제 83
01 통일 신라의 통치 체제 83
02 발해의 통치 체제 85
단원종합문제 86
제3장 고대의 경제 90
제1절 수취 제도 90
01 삼국의 수취 제도 90
02 남북국 시대의 수취 제도 91
제2절 토지 제도 92
01 토지 제도 일반론 92
02 관리 지급 토지 93
03 농민 지급 토지 93
제3절 경제 생활 94
01 산업의 발달 94
02 경제 생활의 모습 94
03 대외 교류 95
04 발해 97
단원종합문제 98
제4장 고대의 사회 100
제1절 신분 제도 100
01 초기 국가 시기의 신분제 100
02 고대 사회의 신분제 100
제2절 삼국 시대의 사회 모습 101
01 고구려 101
02 백제 102
03 신라 103
제3절 남북국 시대의 사회 모습 107
01 통일 신라 107
02 발해 108
단원종합문제 110
제5장 고대의 문화 112
제1절 고대 문화의 성격 112
01 삼국 문화의 성격 112
02 남북국 문화의 성격 113
제2절 유학의 발달과 역사서 편찬 113
01 삼국 시대의 한학과 유학 113
02 통일 신라와 발해의 유학 115
03 삼국의 역사서 편찬 117
제3절 불교와 그 외 사상의 발달 117
01 삼국 시대의 불교 117
02 신라 중대와 발해의 불교 119
03 신라 하대의 불교 121
04 도교와 풍수지리설 122
제4절 고분과 건축의 발달 124
01 삼국 시대의 고분 124
02 남북국 시대의 고분 126
03 건축 127
04 탑 129
05 불상과 공예 131
제5절 과학기술과 예술의 발달 133
01 과학기술 133
02 문학과 기타 예술 134
제6절 일본으로의 문화 전파 135
01 삼국 시대 일본으로의 문화 전파 135
02 통일 신라의 문화 전파 137
단원종합문제 138
제4편 ‣‣ 중세시대
제1장 중세의 정치 146
제1절 중세 사회의 성립 146
01 고려의 후삼국 통일 146
02 태조(1대, 918~943)의 정책 149
03 광종(949~975)의 정책 151
04 성종(6대, 981~997)의 정책 152
제2절 통치 체제의 정비 155
01 중앙 정치 조직 155
02 지방 행정 조직의 정비 158
03 군사 제도 159
04 관리 등용 제도 160
제3절 문벌 귀족 사회와 무신 정권 161
01 문벌 귀족 사회의 성립 161
02 문벌 귀족 사회의 동요 162
03 무신 정권의 성립 164
제4절 고려 후기의 정치 변동 168
01 영토의 상실과 일본 원정에의 동원 168
02 원 간섭기의 정치적 변화 169
03 원 간섭기 고려의 개혁 정치 171
04 고려의 멸망 175
제5절 대외 관계의 변화 176
01 거란과의 충돌 (10세기 말 ~ 11세기 초) 176
02 여진과의 충돌 (12세기 초) 179
03 몽골과의 충돌 (13세기) 180
04 홍건적과 왜구의 침입 (14세기 후반) 183
단원종합문제 186
제2장 중세의 경제 192
제1절 수취 제도와 재정 운영 192
01 수취 제도 192
02 국가 재정의 운영 193
제2절 토지 제도 194
01 고려 토지 제도의 원칙과 근간 194
02 역분전 (태조, 940) 194
03 전시과 제도 194
04 무신 정권 시기 전시과 붕괴 197
05 원 간섭기 농장의 확대 198
06 과전법 198
제3절 경제 정책 199
01 농업 199
02 수공업 199
03 상업 200
제4절 경제 생활 201
01 귀족의 경제 생활 201
02 농민의 경제 생활 202
03 수공업자, 상인의 경제 활동 203
04 고리대업의 성행과 보의 발달 203
05 무역 활동 204
단원종합문제 208
제3장 중세의 사회 210
제1절 고려의 신분 제도 210
01 고려의 신분 구조 210
02 귀족 210
03 중류층 212
04 양민 213
05 천민 214
제2절 백성들의 생활 모습 215
01 향도 215
02 사회 시책과 제도 215
03 법률과 풍속 217
04 혼인과 여성의 지위 217
제3절 고려 후기의 사회 변화 219
01 무신 집권기 하층민의 봉기 219
02 몽골의 침입과 백성의 생활 219
03 원 간섭기의 사회 변화 220
단원종합문제 222
제4장 중세의 문화 224
제1절 유학과 성리학의 수용 224
01 유학의 발달 224
02 교육 기관 226
03 성리학 수용 227
제2절 역사서 228
01 고려 초기 228
02 고려 중기 228
03 고려 후기 무신 집권기 229
04 원 간섭기 230
05 성리학 사관의 역사서 231
제3절 불교와 기타 사상 232
01 고려 초기의 불교 232
02 고려 중기의 불교 233
03 무신 집권기의 불교 234
04 원 간섭기의 불교 236
05 대장경 237
06 도교와 풍수지리설 238
제4절 건축과 공예 239
01 건축 239
02 불교 조형 예술 240
03 청자와 공예 242
제5절 과학 기술 244
01 천문학과 의학 244
02 인쇄술의 발달 245
03 농업 기술의 발달 246
04 화약 무기 제조와 조선 기술 247
제6절 문학과 예술의 발달 247
01 문학 247
02 글씨⋅그림과 음악 248
단원종합문제 250
제5편 ‣‣ 근세시대
제1장 근세의 정치 256
제1절 근세 사회의 성립 256
01 조선의 건국 256
02 조선 초 국왕 중심 통치 체제 257
03 세종(4대, 1418~1450)의 유교 정치 261
04 통치 체제의 완비 262
제2절 통치 체제의 정비 264
01 중앙 통치 체제 264
02 지방 행정 268
03 군역 제도와 군사 제도 270
04 교육 기관과 관리 등용 제도 272
제3절 사림의 대두와 붕당 정치 274
01 훈구와 사림 274
02 사화 275
03 붕당 정치 277
04 붕당 정치의 전개 278
제4절 조선 초기의 대외 관계 279
01 사대 교린 정책 279
02 명과의 관계 280
03 여진, 일본, 기타 민족과의 관계 281
제5절 왜란과 호란의 극복 282
01 16세기 일본과의 관계 악화 282
02 임진왜란 283
03 전란의 극복과 영향 286
04 광해군의(15대, 1608~1623) 중립 외교 288
05 호란의 발발과 전개 289
06 북벌 운동의 전개와 나선 정벌 291
단원종합문제 294
제2장 근세의 경제 298
제1절 경제 정책 298
01 중농 정책 298
02 상공업 통제 정책 299
제2절 수취 제도와 재정 운영 299
01 수취 체제의 확립 299
02 16세기 수취 제도의 문란 302
03 국가 재정의 운영 304
제3절 토지 제도 305
01 과전법 (고려 말, 1391) 305
02 직전법 (세조, 1466) 306
03 관수관급제 (성종, 1470) 306
04 직전법 폐지 (명종, 1556) 307
제4절 경제 활동 307
01 각 계층의 생활 모습 307
02 수공업과 상업의 발달 309
단원종합문제 312
제3장 근세의 사회 314
제1절 조선의 신분 제도 314
01 신분제의 운영 314
02 신분 구조 315
제2절 사회 정책과 법률 제도 317
01 사회 정책 317
02 사회 제도 318
03 법률 제도 319
제3절 향촌 사회의 조직과 운영 320
01 향촌 사회의 모습 320
02 촌락의 운영 321
03 성리학적 사회 질서의 강화 321
단원종합문제 324
제4장 근세의 문화 326
제1절 민족 문화의 융성 326
01 조선 전기 민족 문화의 융성 326
02 한글 창제 326
03 역사서의 편찬 328
04 지리서, 윤리서 등의 편찬 330
05 윤리⋅의례서와 법전의 편찬 331
제2절 성리학의 발달 333
01 유학 교육 기관 333
02 조선 전기 성리학에 대한 견해 334
03 16세기의 성리학 융성 335
04 학파의 형성과 대립 338
제3절 불교와 민간 신앙 339
01 불교의 정비 339
02 도교와 민간 신앙 340
제4절 과학 기술의 발달 341
01 천문학과 역법 341
02 수학과 의학 342
03 활자 인쇄술과 제지술 342
04 농서의 편찬과 농업 기술의 발달 343
05 병서 편찬과 무기 제조 344
제5절 건축과 공예 345
01 건축 345
02 공예 347
제6절 문학과 예술 348
01 문학 348
02 그림과 글씨 349
03 음악과 무용 351
단원종합문제 352
제6편 ‣‣ 근대 태동기
제1장 근대 태동기의 정치 358
제1절 근대 태동기와 통치 체제의 변화 358
01 근대 태동의 시기 358
02 정치 구조의 변화 359
03 군사 제도의 변화 360
제2절 붕당 정치의 변질과 탕평 정치 361
01 붕당 정치의 변화 361
02 탕평론의 대두 364
03 영조(21대, 1724~1776)의 탕평 정치 365
04 정조(22대, 1776~1800)의 탕평 정치 367
제3절 19세기 정치 질서의 변화 369
01 세도 정치의 전개 369
02 세도 정치의 폐단 370
제4절 조선 후기 대외 관계 371
01 청과의 관계 371
02 일본과의 관계 373
단원종합문제 376
제2장 근대 태동기의 경제 380
제1절 수취 체제의 개편 380
01 수취 체제 개편의 배경 380
02 전세 제도의 개편 380
03 공납 제도의 개편 381
04 군역 제도의 개편 384
제2절 농업 경제의 변화, 발전 386
01 양반 지주의 경영 변화 386
02 농민 경제의 변화 386
제3절 수공업과 광업의 발달 389
01 수공업의 발달 389
02 광업의 발달 390
제4절 상업과 상품 화폐 경제의 발달 391
01 조선 후기 상업의 발달 391
02 주요 상인들의 활동 392
03 장시와 포구의 발달 393
04 대외 무역의 발달 395
05 화폐 유통 395
단원종합문제 398
제3장 근대 태동기의 사회 402
제1절 신분제의 변동 402
01 양반층의 분화 402
02 서얼과 중인 등 중간 계층의 신분 상승 운동 403
03 상민의 계층 분화 404
04 노비 계층의 변화 405
제2절 향촌 사회 변화와 가족 제도 406
01 양반의 향촌 지배 약화 406
02 관권의 강화 407
03 가족 제도 408
제3절 사회 변혁의 움직임 408
01 사회 불안의 심화 408
02 예언 사상의 대두 410
03 천주교의 전파 411
04 동학의 발생 413
05 농민 봉기의 발생 414
단원종합문제 416
제4장 근대 태동기의 문화 418
제1절 성리학의 변화 418
01 성리학의 절대화 경향 418
02 성리학의 상대화(성리학 비판) 418
03 양명학의 수용 419
제2절 실학과 국학의 발달 420
01 실학의 등장 420
02 농업 중심의 개혁론 421
03 상공업 중심의 개혁론 425
04 국학 연구 428
제3절 과학 기술의 발달 431
01 서양 문물의 수용 431
02 천문학과 서양 지도의 전래 432
03 의학의 발달과 기술의 개발 433
제4절 조선 후기 문화의 새 경향 435
01 서민 문화 435
02 판소리와 탈놀이 436
03 문학 436
04 그림과 글씨 438
제5절 건축과 공예 440
01 건축의 변화 440
02 공예와 음악 441
단원종합문제 444
제7편 ‣‣ 근대시대
제1장 근대 시기의 정치 450
제1절 서구 열강의 침입과 대응 450
01 흥선 대원군의 국내 정책 450
02 흥선대원군의 대외 정책 453
제2절 개화 정책 추진과 갈등 455
01 강화도 조약과 개항 455
02 개화 정책의 추진 457
03 위정척사 운동의 전개 459
04 불평등 조약 체제 확립 462
05 임오군란 (1882) 463
06 온건 개화파와 급진 개화파 466
07 갑신정변 467
제3절 근대 개혁 운동의 전개 470
01 갑신정변 이후 열강의 침략 경쟁 470
02 동학 농민 운동 471
03 갑오개혁 477
04 을미사변과 을미개혁 480
05 개혁의 성격과 을미의병 481
제4절 근대 국가 수립 노력 482
01 아관 파천 (1896~1897) 482
02 독립 협회 483
03 대한 제국과 광무 개혁 486
제5절 일제의 국권 침탈과 저항 490
01 러⋅일 전쟁 490
02 일제의 국권 침탈 491
03 을사 조약 체결에 대한 저항 492
04 국권 피탈 494
05 애국 계몽 운동 496
단원종합문제 502
제2장 근대 시기의 경제, 사회 변화 508
제1절 열강의 경제 침략 508
01 통상 교역과 상권 침투 508
02 아관 파천 이후 각국의 이권 침탈 509
제2절 경제적 저항 511
01 경제권 수호 활동과 식산 흥업 511
02 일제의 경제 침탈과 구국 운동의 전개 512
03 경제적 구국 운동의 전개 513
제3절 근대 시기의 사회 변화 514
01 사회적 의식의 변화 514
02 동포들의 국외 이주 515
단원종합문제 518
제3장 근대 시기의 문화 520
제1절 근대 문물의 수용과 발전 520
01 근대 문물의 수용 520
02 근대 교육과 학문의 보급 522
03 언론 기관 525
제2절 국학 연구와 문화 발전 527
01 국학 연구 527
02 문예와 종교 528
단원종합문제 530
제8편 ‣‣ 일제 강점기
제1장 일제 강점기 식민 통치와 독립 운동 534
제1절 일제의 식민 통치 534
01 1910년대 무단 통치 534
02 1920년대 문화 통치 537
03 1930~40년대 민족 말살 통치 540
제2절 1910년대 민족 운동 544
01 1910년대 국내 민족 운동 544
02 1910년대 국외 독립 운동 545
03 3⋅1운동 548
04 대한민국 임시 정부 552
제3절 1920년대 국내 민족 운동 555
01 독립 운동 세력의 분화 555
02 실력 양성 운동 556
03 쟁의 활동 558
04 민족 유일당 운동과 신간회 559
05 그 외 각종 사회 운동 564
제4절 1920년대 국외 민족 운동 565
01 대한민국 임시 정부 565
02 의열단 567
03 1920년대 만주에서의 무장 독립 전쟁 569
제5절 1930~40년대 민족 운동 572
01 1930년대 만주 지역 무장 단체 572
02 중국 관내 의열단 계열 574
03 1930년대 대한민국 임시정부 계열 575
04 1940년대 대한민국 임시정부 577
단원종합문제 582
제2장 일제 강점기 민족 문화 수호 운동 588
01 일제의 식민지 문화 정책 588
02 역사 연구 590
03 조선어 연구와 종교 활동 592
04 문학과 예술 593
05 일제 강점기 사회 모습 594
단원종합문제 596
제9편 ‣‣ 현대사
제1장 현대의 정치 변동과 발전 602
제1절 광복과 정부 수립 602
01 광복 직전의 국내외 움직임 602
02 광복 직후 건국 준비와 미군정 603
03 신탁 통치 문제와 좌⋅우 합작 운동 605
04 대한민국 정부 수립 과정 608
05 제헌의회의 활동 (1948~1950) 611
제2절 대한민국의 시련과 발전 613
01 6.25 전쟁 613
02 이승만 정부 615
03 장면 정부 (1960~1961) 618
04 박정희 정부 (3공화국, 1961~1972) 619
05 유신 체제 (1972~1979) 621
06 전두환 정부 (1980~1988) 623
07 민주화 이후의 정부 626
단원종합문제 628
제2장 현대의 경제⋅사회⋅문화 634
제1절 현대의 경제 발전 634
01 해방 공간에서 이승만 정부 까지 634
02 1960년대 635
03 1970년대 636
04 1980년대 이후 637
제2절 현대의 사회 변동 638
01 인구와 사회 구조의 변화 638
02 각종 사회 운동의 전개 638
제3절 현대 문화의 변화와 발전 640
01 교육과 문화 변화 640
02 대중문화의 성장 642
단원종합문제 644
제3장 북한 체제의 형성과 통일을 위한 노력 646
제1절 북한사 646
01 북한 정권의 수립 646
02 북한 정권의 변천 647
제2절 통일을 위한 노력 649
01 1960~1970년대의 통일 정책 649
단원종합문제 654
제10편 ‣‣ 부록
부록 1 유네스코 유산 658
1. 유네스코 세계 유산:문화 유산 658
2. 유네스코 세계 무형 유산 659
3. 유네스코 세계 기록 유산 660
부록 2 역대 왕 계보 661
1. 고구려:28대 704년 661
2. 백제:31대 678년 661
3. 신라 (박씨-10왕, 석씨-8왕, 그 외 김씨-38왕):56대 992년 662
4. 발해:15대 228년 663
5. 고려:34대 475년 663
6. 조선:27대 519년 664
부록 3 근현대 인물사 66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