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사상가/인문학자
· ISBN : 9791160682083
· 쪽수 : 1637쪽
· 출판일 : 2018-09-28
책 소개
목차
재미한인의 독립운동
간행사
방선주(方善柱) 선생님 약력
방선주(方善柱) 선생님저작목록
제1부 재미한인독립운동·대한민국임시정부
3·1운동과 재미한인
1. 3·1운동 발발에 대한 미주 한인의 역할
(1) 김헌식의 신한회 활동
(2) 안창호 영도하의 국민회 중앙총회의 활동
(3) 박용만과 하와이연합회의 독립운동
(4) 이승만 박사의 활동
(5) 서재필의 활동
2. 미주 한인의 3·1운동 지원활동(1919년 3월 9일~6월 30일)
3. 3·1운동을 통한 미주 한인의 공헌
(1) 경제면
(2) 정치면
1921~22년의 워싱톤회의와 재미한인의 독립청원운동
1. 워싱톤회의의 성격
2. 구미 위원부의 초기활동
3. 서재필과 워싱톤회의
4. 한인들의 호응활동
5. 한인대표들의 활동과 반응
1930년대의 재미한인독립운동
1. 후지무라·덜레스 전쟁종식 교섭극의 의미
2. 이승만의 제네바여행과 독립운동
3. 한길수의 대두
4. 하와이애국단의 비밀독립운동
5. 대한인국민회의 독립운동
6. 기타
1930~40년대 구미(歐美)에서의 독립운동과 열강의 반응
1. 구미인사(歐美人士) 대일관 전개 속의 윤봉길 의사(尹奉吉義士)
2. 윤의사(尹義士) 의거자금(義擧資金)과 미주 교포
3. 미주 한인의 독립운동
4. 구미 잡지논문에서 본 한국문제에 대한 관심
5. 한국독립문제와 열강의 반응
(1) 루즈벨트 대통령의 견해
(2) 미 국무부의 견해
(3) 프랑스의 대응
(4) 영국의 대응
(5) 독일의 경우
6. 맺는말
미주지역에서 한국독립운동의 특성
1. 재미한인 독립운동의 개관
(1) 머리말
(2) 조국광복운동에 대한 재미한인들의 특별한 영향과 공헌
(3) 재미한인 독립운동의 특성
(4) 맺음말
2. OSS와 재미한인의 조국침투 NAPKO작전
(1) OSS란 어떤 기관이었나
(2) NAPKO계획 이전의 미국의 한인무장 육성 구상
(3) Napko계획의 구조
(4) 맺음말
아이플러기관과 재미한인의 복국운동(復國運動)
1. 아이플러는 어떤 사람이었나?
2. 장석윤(張錫潤)의 복국운동
3. ‘납코’ 침투작전계획의 성숙화
4. 맺는말
임시정부·광복군 지원 재미한인단체에 대한 미국 정보기관의 사찰
1. 도론(導論)
2. 재미교포의 임정지원(1936~1945)
3. 미국 정보기관 문서를 통하여 본 광복군 지원단체
4. 맺는말
임정의 광복활동과 미주 한인의 독립운동 : 제2차 대전 종반기 국제정세와 관련하여
1. 머리말
2. 동북아시아를 둘러싼 국제간 절충의 개황
3. 검열통신문을 통하여 본 미국의 독립운동
(1) 자금지원면
(2) 외교면
4. 맺는말
대한민국임시정부와 미국
1. 들어가면서 인용하는 장면
2. 미국의 망명·임시정부대책
(1) 유고슬라비아
(2) 체코슬로바키아
(3) 프랑스
(4) 폴란드
3. 한국임시정부의 ‘공전절후적(空前絶後的)’ 특수성격
4. 맺는말: 임정-미국 관계의 경험에서 얻는 교훈
제2부 재미한인독립운동 인물열전
박용만(朴容萬) 평전(評傳)
1. 머리말
2. 도미(渡美) 전의 행적
3. 애국동지대표회의 소집
4. 소년병학교의 역사와 내용
(1) 소년병학교 성립과 생활상
(2) 숭무주의(崇武主義)와 박용만의 소년병학교 시절
(3) 소년병학교 출신 한국청년
(4) 소년병학교의 역사적 의의
5. 상항가정부(桑港假政府) 수립 추진
(1) 망명정부란 무엇인가?
(2) 국민회중앙총회(國民會中央總會)의 설치
(3) 박용만의 신한민보 주필 취임과 그의 ‘가정부(假政府)’ 주장
(4) 중앙총회 제1차 대표원 의회
6. 이승만 박사와의 대결과 패배
7. 3·1운동의 발발과 박용만의 러시아행
8. 군사통일회(軍事統一會)의 실패와 사업가로의 변신
9. 박용만 피살의 의문점
10. 맺는말
이승만(李承晩)과 위임통치안(委任統治案)
1. 머리말
2. 친미반러주의자(親美反露主義者)로서의 면모
3. 교육우선주의자로서의 면모
4. 기독교 전도자로서의 면모
5. 1912~18년간의 활동
6. 파리평화회의와 이승만
7. 맺는말
홍언(洪焉)과 국민회(國民會)
1. 홍언(洪焉, 1880~1951)은 누구인가
2. 신한민보(新韓民報) 주필활동 및 국민회(國民會) 모금여행
3. 홍언(洪焉)의 시(詩)와 문(文)
4. 만년의 행적
김헌식(金憲植)과 3·1운동
1. 김헌식(金憲植, 1869~?)은 누구인가
2. 미국에 건너오게 된 경위
3. 하워드흑인대학(黑人大學) 유학
4. 뉴욕에서의 반일운동
5. 3·1운동 전후의 활동
6. 만년의 행적
7. 맺는말
김호철(金浩哲)과 사회과학연구회(社會科學硏究會) : 경제공황기의 미 유학생 사회주의운동
1. 머리말
2. 김호철(金浩哲)의 ‘이력서’
3. 스캇트보로 사건과 김호철
4. ‘재미한인사회과학연구소(在美韓人社會科學硏究所)’ 시말기(始末記)
5. 맺음말
서광범(徐光範)과 이범진(李範晋)
1. 서광범(徐光範)의 망명생활
2. 서광범의 귀국활동과 주미전권공사(駐美全權公使) 부임의 경위
3. 주미공사로서의 서광범
4. 이범진(李範晉)이 주미공사로 밀려난 이유
5. 워싱턴시에서의 이범진과 서광범
6. 이범진 공사의 전임(轉任)과 사망
7. 결론
재미 3·1운동 총사령관 백일규(白一圭)의 투쟁일생
1. 머리말
2. 자필이력서의 검토
3. 왜 이민 대열에 끼었나
4. 향학열
5. 한국경제사의 저술
6. 독립운동과 사회봉사활동
7. 맺는말
한길수(韓吉洙)와 이승만(李承晩)
1. 머리글
2. 1935년까지의 한길수
3. 태평양전쟁 발발시점까지의 한길수
4. 샌프란시스코회의까지의 이 박사-한길수 관계
5. 맺는말
Yousan Chairu Pak, 1868~1900
▣ 찾아보기
미국 국립문서보관소의 한국현대사자료
간행사
방선주(方善柱) 선생님 약력
방선주(方善柱) 선생님저작목록
제1부 미국 국립문서보관소의 한국현대사 중요자료 해제
노획 북한필사문서 해제 (1)
1. 노획북한자료의 개관
(1) 유래
(2) 소개와 연구
(3) 내용개관
2. 노획 필사문서 해제
미국 국립공문서관 국무부문서 개요
1. 국립공문서관 소장 문서의 종류
2. 제43문서집단: 국제회의·위원회·전시회 문서
3. 제59문서집단: 국무부 일반문서
(1) 특수문서당(特殊文書檔, Special Files)
(2) 基本文書檔(Central Files)
4. 제84문서집단: 국무부 외교공관문서
5. 제353문서집단: 부처 간 및 부처 내 위원회 문서
6. 맺음말
미국 국립공문서관 소장 RG 242 내 ‘선별노획문서’ 조사연구
1. 군사목적용 ‘선별노획문서’ 더미의 의미와 내용
(1) 들어가는 말
(2) 내용
(3) 결언
2. 자료목록 (생략)
미국 제24군 G-2 군사실(軍史室) 자료 해제
1. 도론(導論): 미군정 3년사 편찬을 위한 기초
2. G-2와 군사편찬실(軍史編纂室)의 결합
3. 버취 중위 관련 문서를 통하여 본 군사실 자료당(資料檔)
4. 각 자료 상자의 내용과 해설
5. 맺는말
해설: G-2 Periodic Report
해설: 한국전쟁기 중공군 문서
해설: 한국전쟁기 삐라
KLO문서 해제
미국 OSS의 한국독립운동 관련 자료 연구
1. 들어가기
2. OSS문서의 구조
3. 한국독립운동 관련 문서의 전개
4. 맺는말
미군정기의 정보자료: 유형 및 의미
1. 머리말
2. 포로·피난민의 심문을 통한 정보 획득 예(例)
3. 한인의 자발적 접촉으로 인한 정보 획득 예(例)
4. 간행물·일기 등의 입수 분석을 통한 정보 획득
5. 암호해독·통신 검열을 통한 정보 획득
6. 지역사회의 답사·여론조사를 통한 정보 획득
7. 맺는말: 미군정 정보자료가 보이는 것
【부록】 미군정기 정보자료 일람 및 간개(簡介)
제2부 기타 발굴자료
고종(高宗)의 1905년 밀서(密書)
미·영·불 등 재외공관에 보내는 암호전문(電文)
변호사 스테판 셀든의 기록
박제순(朴齊純) 외무의 호소문
고종의 외국인 밀사들
전(前) 공사 알렌의 기록
헐버트의 회고
재상해일본총영사관(在上海日本總領事館) 경찰부(警察部), 1930년대 상해(上海) 거주 한국인의 실태
미국의 한국 관계 현대사 자료
미국 내 자료를 통하여 본 한국 근·현대사의 의문점
해설: 상해공동조계(上海共同租界) 공부국(工部局) 경무처(警務處), 한인독립운동 관계 문서
일본의 한반도 대책 관련 문서 자료집: 8·15시기 편 해설
1. 일본 무전통신 해독문서를 어떻게 읽을 것인가?
2. H-시리즈 무전통신문서의 내용(AAH)
▣ 찾아보기
한국현대사 쟁점 연구
간행사
방선주(方善柱) 선생님 약력
방선주(方善柱) 선생님저작목록
제1부 일본군 ‘위안부’ 문제
미국 자료에 나타난 한인(韓人) ‘종군위안부(從軍慰安婦)’의 고찰
1. 머리말
2. 언더우드 선교사의 보고
3. 일본포로 송환자 명단의 검토
4. 자매위안부(姉妹慰安婦)의 경우
5. 트루크 환초(環礁)에서의 한인 위안부 집단학살설
6. 버마 전선(前線)에서의 한인 종군위안부
7. 무선암호에 나타난 내몽고 주둔군의 위안부 수입 요청
8. 일본군에서의 위락제상(慰樂諸像)
9. 총결
일본군 ‘위안부’의 귀환 : 중간보고
1. 왜 중간보고인가?
2. 왜 군위안부의 귀향문서가 희한한가?
3. 유곽에 대한 한국 전통사회의 인식
4. 버마전선(前線)에서의 군위안부 귀향문제
5. 태평양방면에서의 귀환
(1) 필리핀
(2) 태평양과 인도양 섬들에서의 귀환
6. 맺는말
송산(松山: 拉孟) 섬멸전 중의 한인위안부들
등충(騰衝, 騰越) 섬멸전 중의 한인위안부들
내몽고 장가구(張家口) 일본군의 위안부 수입
제2부 노근리·북한 문제
한반도에 있어서의 미·소 군정(軍政)의 비교 고찰
1. 머리말
2. 통치기구와 통치형태의 차이점
3. 주둔군 유지비 염출원(捻出源)의 비교
4. 환율의 비교
5. 통화팽창의 비교
6. 미군정과 소군정을 통하여 본 한국인의 통치능력
7. 맺는말
한국전쟁 당시 북한 자료로 본 ‘노근리’ 사건
1. 서론
2. 인민군 제1군단 지휘부 8월 2일자 문서의 검토
3. ‘노근리’ 생존자 목격 서술의 검토
4. 노근리가 맞는가?
5. 피난민 포격/기총소사의 문제점
6. 결론
1946년 북한 경제통계의 일 연구
1. 머리말
2. 1946년도의 북한의 인구
3. 1946년의 북한의 직업실태와 노동력
4. 1946년도 북한의 국가총생산액에 대하여
5. 물가와 임금
6. 인민위원회의 세입과 세출
7. 1946년의 농업
8. 1946년의 무역
9. 결론
1946년도 북조선인민경제통계집 등 북한 경제 통계 문서의 해제
1. 소련 군정의 개입
2. 내용의 미비 문제
3. 내용의 편집 문제
제3부 미주 이민 문제
한국인의 미국 이주: 그 애환의 역사와 전망
1. 들어가기
2. 미국 이민 초기의 정체성 인식
3. 재미 한국 이주민의 미래
한인 미국 이주의 시작: 1903년 공식 이민 이전의 상황 진단
1. 문제의 제기
2. 이민국 ‘연차보고’의 분석
3. 인구조사(센서스) 자료의 분석
4. 상항(桑港)에서 입국한 한인들: 삼상(蔘商)의 활약
5. 유학생으로 왔다 영주하는 경우
6. 첫 한국계 미국인이 된 망명객들
7. 결언
제4부 칼럼
워커선장 추적기
민주기지론
맥아더 음모설
노근리와 보상
황야의 여전사(女戰士)들
저무는 천년기를 보내며 드리는 기원
위안부 연구에 찬물 끼얹어서야
감춰진 진실, 문서는 안다
일본의 ‘모략공학’을 경계하라
방선주의 어원 주장
▣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