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지식장의 변동과 공중위생

지식장의 변동과 공중위생

청암대학교 재일코리안연구소 (엮은이)
도서출판선인(선인문화사)
44,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5개 35,00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지식장의 변동과 공중위생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지식장의 변동과 공중위생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인문계열 > 역사학
· ISBN : 9791160684629
· 쪽수 : 524쪽
· 출판일 : 2021-02-28

책 소개

“서양 의료체계의 헤게모니가 형성되는 과정을 살핀다. 식민지 조선에 대한 일제의 위생 인식과 계몽내용을 다룬다. 일본과 독일의 의학지식이 사회정책으로 연결되는 과정을 비교 검토한다.” 이것이 2019~2020년 공동연구의 목표였다.

목차

머리말

1부 근대의 ‘의료 지식’과 공중위생

1910년대 의약품 광고의 ‘과학’과 주술 |최규진
Ⅰ. 머리말 15
Ⅱ. ‘과학 만능시대’와 신체 18
Ⅲ. 세균과 전쟁 34
Ⅳ. 맺음말 44

식민지 초기 조선의 위생풍속에 대한 식민권력의 이중성: 미신담론을 중심으로 |황익구
Ⅰ. 머리말 51
Ⅱ. 위생경찰과 미신 담론 58
Ⅲ. 위생풍속 조사와 미신 담론 61
Ⅳ. 교과서 속의 미신 담론 67
Ⅴ. 식민통치 권력의 잡지 속 미신 담론 70
Ⅵ. 맺음말 75

조선총독부 발행 1910·20년대 교과서의 보건·위생론 |최재성
Ⅰ. 머리말 83
Ⅱ. 1910년대 초 대한제국 교과서를 ‘정정’한 교과서의 보건·위생론 87
Ⅲ. 1910년대 중후반의 조선총독부 첫 편찬 교과서 97
Ⅳ. 1920년대 ‘신 교육령’ 시행 후 교과서의 보건·위생론 108
Ⅴ. 맺음말 118

조선총독부 발행 1930~40년대 교과서의 보건·위생론 |최재성
Ⅰ. 머리말 127
Ⅱ. 1930년대 초중반 교과서의 보건·위생론 129
Ⅲ. 1930년대 말 이후 교과서의 보건·위생론 140
Ⅳ. 맺음말 156

1930, 40년대 대중잡지에 나타난 의학상식:: 󰡔家庭之友󰡕·󰡔半島の光󰡕을 중심으로 |이병례
Ⅰ. 머리말 165
Ⅱ. 가정건강과 여성의 신체 사이에서 170
Ⅲ. 전쟁담론의 재생·강화 183
Ⅳ. 맺음말 198

1935-36년 자이니치(在日)의 의료 일상: 󰡔民衆時報󰡕의 의료 광고를 통해 |김인덕
Ⅰ. 서론 203
Ⅱ. 일제강점기 신문 광고와 󰡔民衆時報󰡕의 광고 206
Ⅲ. 󰡔民衆時報󰡕의 의료 광고 217
Ⅳ. 결론 223

2부 전염병과 사회관리

근대전환기 호열자의 유행과 천도교의 대응 |성주현
Ⅰ. 머리말 229
Ⅱ. 호열자의 유행과 예방 231
Ⅲ. 동학 시기 호열자에 대한 인식과 대응 240
Ⅳ. 천도교 시기 근대위생의 수용과 호열자에 대한 대응 246
Ⅴ. 맺음말 258

근대(1876-1945) 한국사회의 전염병 인식과 간호사의 융합적 역할 |정은영
Ⅰ. 서론 263
Ⅱ. 본론 265
Ⅲ. 고찰 276
Ⅳ. 결론 및 제언 278

1946년 경기 지역의 콜레라 사태와 종전/해방 직후 국제·일국·지역 정치 |임종명
Ⅰ. 머리말: 1946년 콜레라 만연과 미군정의 정당성 위기 283
Ⅱ. 인천 지역의 콜레라 발병·확산과 국제정치 291
Ⅲ. 연안·도서 지역의 콜레라 만연과 일국·지역 정치 308
Ⅳ. 맺음말: 경기 지역 콜레라 사태의 종전/해방 직후 정치성 325

‘질병으로부터 안전한 공간’ 관리와 공간권의 사회사: 19세기 독일 전염병 확산 시기 사회적 관계를 중심으로 |나혜심
Ⅰ. 머리말 331
Ⅱ. 전염병 확산과 ‘공간’ 관리의 역사 336
Ⅲ. 19세기 독일의 산업화와 도시 속 공간의 불평등 현상 344
Ⅳ. 맺음말 359

3부 의료와 정치, 제국과 인종

한위건의 초기 생애와 3·1 독립운동 참여 과정 톺아보기: 생애 초기 규명과 경성의학전문학교 특성 고찰을 중심으로 |하세가와 사오리·최규진
Ⅰ. 머리말 367
Ⅱ. 한위건의 생애 초기 규명 369
Ⅲ. 경성의학전문학교가 한위건에 미친 영향 375
Ⅳ. 한위건의 3·1운동 참여 과정 383
Ⅴ. 맺음말 392

‘인종개량’과 ‘역선택’ 사이에서: 근대일본의 ‘우생결혼’ 담론을 중심으로 |서동주
Ⅰ. 머리말 397
Ⅱ. ‘우생학’, ‘인종개량’을 위한 ‘학지(学知)’ 400
Ⅲ. ‘우생결혼’과 ‘화류병’이라는 ‘적’ 410
Ⅳ. 우생론자의 ‘불안’과 ‘파국의 상상력’ 418
Ⅴ. 맺음말 425

일본 미군 점령기의 혼혈 담론 |박이진
Ⅰ. 머리말
Ⅱ. ‘대동아공영권’과 혼혈론
Ⅲ. 점령이 낳은 혼혈아: 점령기 혼혈아 문제
Ⅳ. 점령의 유산 혼혈아: 강화조약 발효 직후 분출하는 혼혈아 담론
Ⅴ. 흑인계 혼혈아의 ‘차별구조(racism)’가 의미하는 것
Ⅵ. 맺음말

731부대에 대한 민족주의적 ‘소비’를 넘어서 : 731부대 관련 사진오용 사례와 조선 관계 자료 검토를 중심으로 |하세가와 사오리·최규진
Ⅰ. 들어가며
Ⅱ. 한국의 731부대 관련 주요 사진오용 사례 검토
Ⅲ. 731부대 관련 조선 관계 자료와 연구 주제 검토
Ⅳ. 결론을 대신하여

이 책에 실린 논문의 출처
찾아보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