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회과학계열 > 사회복지학
· ISBN : 9791161263816
· 쪽수 : 314쪽
· 출판일 : 2021-08-27
목차
Chapter 01 가족 관련 이론과 문화
1. 가족과 환경
2. 문화와 삶의 질
3. 인간과 환경의 통합적 관점의 지향
4. 문화의 유형과 속성
5. 문화의 기능과 변동
6. 문화의 구성
7. 문화의 체계
8. 다양한 가족의 문화적 배경 이해
Chapter 02 한국의 전통적 여가
1. 여가의 종류
2. 우리나라의 전통적 가족여가
Chapter 03 여러 나라의 가족여가
1. 노르웨이
2. 핀란드
3. 스웨덴
4. 영국
5. 러시아
6. 체코
7. 일본
8. 중국
Chapter 04 가족여가의 생애주기 고려와 의사소통 방식의 재고
1. 생애주기의 개념
2. 가족의사소통 이론과 실제
Chapter 05 가족에 대한 고찰
1. 문화의 기능과 역할
2. 가족과 인간의 성장 및 생태적 관점의 적용
3. 현대 가족 문제에 대한 이해
4. 가족이 가족 구성원과 자아 성찰에 주는 영향: 20대의 가족경험을 중심으로
5. 패러다임 모형
Chapter 06 가족여가와 여가의 기능
1. 가족과의 여가활동의 방향과 성공적 노화의 방향
2. 여가활동에 대한 가족정책
3. 생활권 여가프로그램
Chapter 07 가족과 삶의 질
1. 가족과 삶의 질
2‘. 영성’ 문화와 행복
Chapter 08 지역사회개발 문화 재조명
1. 마을을 통해 문화활동을 창조하다
2. 마포구 연남동 골목축제의 새로운 관점
3. 사회적 자본과의 관계
4. 마포구 연남동 골목축제와 지역사회 활성화의 함의 진단
5. 향후 전망
Chapter 09 새로운 문화의 형성의 고찰
1. 현대사회와 문화
2. 문화의 창조
3. 콘텐츠 생태계 분석틀
4. 향후 전망
Chapter 10 K-POP 문화콘텐츠와 가족문화
1. 문화콘텐츠 산업이 가족문화에 미치는 영향
2. 한류문화와 시스템다이내믹스 이론
3. K-POP이 한류 열풍에 끼치는 영향력
4. K-POP의 확산과 지원 정책 방안
5. K-POP 문화에 대한 개선 방향
6. 향후 전망
Chapter 11 국제비교를 통한 문화의 논의
1. 문화행정의 논의
2. 창조혁신력을 통한 문화행정 바라보기
3. 문화력과 국가경쟁력
4. 향후 전망
Chapter 12 문화의 현대적 트렌드와 가족문화 콘텐츠의 향후 전망
1. 문화콘텐츠의 전망
2. 가족문화의 콘텐츠
3. 가족문화의 콘텐츠 향후 전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