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고등학교참고서 > 고등-문제집 > 한국사
· ISBN : 9791161650562
· 쪽수 : 280쪽
· 출판일 : 2017-07-05
책 소개
목차
이 책을 펴내며
이 책의 구성
Ⅰ. 우리 역사의 형성과 고대 국가의 발전
1-1.선사 시대의 문화와 초기 국가의 성립
1.우리 민족의 형성과 선사 시대
2.청동기 시대와 철기 시대
3.고조선과 여러 나라의 등장
1-2. 삼국의 성립과 성장
1.고대 국가의 발전 과정
2.삼국의 성장
3.삼국의 통치 체제
1-3. 삼국의 경쟁과 가야
1.삼국의 경쟁
2.가야의 성립과 발전
1-4. 신라의 삼국 통일과 통일신라의 발전
1.고구려와 수·당의 전쟁
2.신라의 삼국 통일
3.통일신라의 발전
1-5. 발해의 발전과 통일신라의 동요
1.발해의 건국과 발전
2.통일신라의 동요
1-6. 고대 국가의 문화와 대외 교류
1.고대 국가의 문화
2.고대 국가의 국제 교류
Ⅱ. 고려 귀족 사회의 형성과 변천
2-1. 고려의 체제 정비와 무신 정변의 발생
1.고려의 건국
2.문벌 귀족 사회의 동요와 무신 정변
2-2.고려의 대외 관계와 고려 후기 정치 변동
1.고려의 대외 관계
2.고려 후기 정치 변동
2-3.고려의 경제와 사회 모습
1.경제 정책과 경제 구조
2.사회 구조와 신분 제도
2-4.고려의 사상과 문화
1.다양한 사상의 발달
2.문화의 성장
Ⅲ. 조선 유교 사회의 성립과 변화
3-1. 조선의 건국과 체제 정비
1.조선의 건국과 통치 체제의 정비
2.사림 세력의 등장과 붕당의 출현
3-2. 조선 전기 사회-경제-문화
1.양반 중심의 신분 질서의 확립
2.사회 제도
3.경제 정책과 경제생활
4.민족 문화의 융성
3-3.조선 전기의 대외 관계와 양난의 극복
1.조선 전기의 대외 관계
2.왜란과 호란의 극복
3-4. 조선 후기 정치 변동과 제도 개편
1.붕당 정치와 탕평책
2.세도 정치의 폐단과 농민 봉기
3.수취 체제의 개편
3-5. 조선 후기 사회-경제의 변화
1.상품 화폐 경제의 발달
2.신분제의 동요와 사회 모습의 변화
3-6. 조선 후기 사회 개혁론과 새로운 사상의 유행
1.실학의 대두
2.새로운 사상의 등장
3-7.조선 후기 문화의 발달
1.국학 연구의 확대
2. 서민 문화의 발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