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컴퓨터/모바일 > OS/Networking > 유닉스
· ISBN : 9791162243282
· 쪽수 : 328쪽
· 출판일 : 2020-08-03
책 소개
목차
1장 벨 연구소
__ 벨 연구소의 자연과학 연구
__ 통신 기술과 컴퓨터 과학
__ 벨 연구소로 향하다
__ 사무실의 이웃들
__ 137 → 127 → 1127 → 11276
2장 유닉스 프로토타입(1969)
__ 약간의 기술적 배경
__ CTSS와 멀틱스
__ 유닉스의 기원
__ 이름의 유래
__ 인물 탐방: 켄 톰프슨
3장 유닉스 제1판(1971)
__ 특허출원서 생성용 유닉스
__ 유닉스 방
__ 유닉스 프로그래머 매뉴얼
__ 메모리에 대한 몇 가지 이야기
__ 인물 탐방: 데니스 리치
4장 유닉스 제6판(1975)
__ 파일 시스템
__ 시스템 호출
__ 셸
__ 파이프
__ grep
__ 정규 표현식
__ C 프로그래밍 언어
__ 소프트웨어 도구와 랫포
__ 인물 탐방: 더글러스 매클로이
5장 유닉스 제7판(1976~1979)
__ 본 셸
__ Yacc, Lex, Make
__ 문서 생성
__ Sed와 Awk
__ 다른 언어들
__ 다른 기여들
6장 연구소를 넘어서
__ 프로그래머 워크벤치
__ 대학교용 라이선스
__ 사용자 그룹과 유즈닉스
__ 존 라이언스의 해설서
__ 이식성
7장 사업화
__ 기업 분할
__ USL과 SVR4
__ UNIXTM
__ 홍보 활동
8장 후손
__ BSD
__ 유닉스 전쟁
__ 미닉스와 리눅스
__ 플랜 9
__ 해산
9장 유산
__ 기술 측면
__ 조직 측면
__ 인정과 평가
__ 역사는 반복될 수 있을까?
리뷰
책속에서
“내가 기억하는 바로는 켄, 데니스, 피터 노이만을 포함한 무리와 내가 사무실 입구에 서서 이야기하던 것으로 시작한다. 그때는 시스템에 이름이 없었기에 (내 기억이 맞는다면) 내가 라틴어 어근에 기반을 두고 멀틱스가 ‘모든 기능을 많이’ 제공하는 반면, 새로운 시스템은 어떤 기능을 기껏해야 하나 제공하므로 ‘UNICS’라고 불러야 된다고 했는데, 이는 ‘multi’를 ‘uni’로 바꾼 말장난이었다.”
__ 이름의 유래
“유닉스 방은 그냥 재미있는 곳이었고, 항상 무슨 일이 벌어졌다. 거의 유닉스 방에서만 일하고 사무실은 좀처럼 쓰지 않는 사람도 있었고, 커피를 마시거나 대화를 나누러 하루에 몇 번씩 들르는 사람도 있었다. 동료가 무슨 일을 하는지 서로 알게 되고 공동체 의식을 키우고 유지하는 데 유닉스 방은 그야말로 엄청나게 중요한 역할을 했다.”
__ 유닉스 방
“C 언어가 등장하면서 운영체제 전체를 고수준 언어로 작성할 수 있게 됐다. 1973년에는 유닉스를 원래 어셈블리어 형태에서 C 언어로 바꿔서 작성하는 작업이 완료됐다. 이 덕분에 시스템을 유지 보수하고 수정하기가 훨씬 용이해졌다. 또한 더 큰 진보는 운영체제를 원래 PDP-11 컴퓨터에서 다양한 아키텍처 기반의 다른 컴퓨터로 옮기는 일, 즉 이식(porting)이 가능해진 것이다. 시스템 코드 대부분이 C 언어로 작성됐으므로 운영체제를 이식하는 작업에는 C 컴파일러를 이식하는 것 이외에 많은 일이 필요하지 않았다.”
__ 인물 탐방: 데니스 리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