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수험서/자격증 > 공무원 수험서 > 교원임용시험 > 보건/사서/상담교사
· ISBN : 9791164540235
· 쪽수 : 642쪽
· 출판일 : 2020-01-02
책 소개
목차
제1장 상담실제
제1절 상담과정
01 접수 면접
02 상담 초기
03 상담 중기
04 상담의 종결
05 이건의 문제해결 모델
06 카커프의 공감지향 모델
07 프로체스카의 내담자 변화과정 모델
08 상담회기 기록방법
제2절 상담면접 기술
09 면담기법
제3절 상담방법 및 적용
10 문제유형별 내담자
11 라자러스의 중다양식치료(BASIC ID)
12 조하리의 창
13 심리극의 이해
14 상담 전략과 개입
15 사이버 상담
16 단회 상담
17 긍정심리학의 강점기반 상담
제4절 학교폭력 법령의 이해
18 「학교폭력 예방 및 대책에 관한 법률」의 이해
19 「학교폭력 예방 및 대책에 관한 법률」의 적용 절차와 기관의 책무
20 학교폭력 관련 위원회의 조직과 기능
제2장 학교상담
제1절 학교상담의 이해
01 학교상담의 특징과 목표
02 종합적 학교상담 모형
제2절 학교상담 프로그램
03 종합적 학교상담 프로그램의 실행 단계
04 학교상담 프로그램 구성 요소
05 학교상담 프로그램의 편성과 운영
제3절 학교상담의 실제
06 학급단위 생활교육
07 위기와 위기개입
08 자살
09 컨설팅
10 의뢰
제4절 상담윤리의 기초
11 상담자 윤리강령
12 윤리적 의사결정 모델
제5절 상담윤리의 주요 현안
13 비밀보장
14 사전동의
15 상담자의 가치와 윤리
16 다중관계와 경계
17 상담자의 역량과 전문적 책임
18 연구에 관한 윤리
19 상담기록에 관한 윤리
제6절 상담 장면에서의 윤리
20 심리검사 윤리
21 집단상담 윤리
22 상담교사와 윤리
제3장 진로상담
제1절 진로상담의 이해
01 진로상담의 목표와 필요성
02 진로교육
제2절 진로 선택이론
03 파슨스의 특성 요인 진로이론과 진로상담
04 정신역동적 진로상담
05 인간중심적 진로상담
06 행동주의 진로상담
07 홀랜드의 성격이론
08 다위스와 로프퀴스트의 직업적응이론
09 로의 욕구이론
10 필립스의 발달-관계적 모델
제3절 진로 발달이론
11 발달적 진로상담
12 긴즈버그의 진로 발달이론
13 수퍼의 진로 발달이론
14 타이드만과 오하라의 진로 발달이론
15 터크만의 진로 발달이론
16 갓프레드슨의 제한-타협이론
제4절 사회학습과 인지이론
17 크롬볼츠의 사회학습이론
18 사회인지 진로이론(SCCT)
제5절 진로 의사결정이론
19 의사결정 수준이론
20 인지적 정보처리이론
제6절 최근 진로상담
21 다문화 진로상담
22 기타 진로이론
23 진로상담의 대안이론
24 구성주의 진로 발달이론
제7절 진로상담 과정
25 진로상담의 기본원리
26 스포캔의 진로상담 모델
27 접수면접
28 의사결정 유형에 따른 진로상담 과정
29 진로상담의 기법
제8절 진로평가
30 심리적 특성의 이해와 평가
31 진로 성숙검사
32 적성검사
33 흥미검사
34 직업 가치관검사
35 진로 발달의 질적 평가
제9절 진로정보와 직업세계
36 진로정보
37 진로정보의 주요 출처
38 다양한 진로정보와 직업 분류체계
39 NCS 직업기초능력의 이해
제10절 진로교육과 진로 프로그램
40 창의적 체험활동
41 2015 개정교육과정과 진로교육
42 2015 학교 진로교육 목표와 성취기준
43 진로 지도 프로그램의 특징 및 개발절차
44 진로 프로그램의 구성 내용
45 경력 개발과 직업적응상담
46 특수 아동을 위한 진로 지도 제4장 가족상담
제1절 가족상담의 이해
01 가족상담의 발전과정과 철학적 개념
02 개인상담과 가족상담
03 조현병 환자의 가족연구
04 사이버네틱스
05 일반체계이론
06 체계이론에서 본 가족의 특성
07 가족의 역기능적 대화의 형태들
제2절 가족상담이론
08 대상관계 가족상담
09 보스조르메니 내지의 맥락적 가족상담
10 보웬의 다세대 가족상담
11 사티어의 경험적 가족상담
12 미누친의 구조적 가족상담
13 전략적 가족상담
14 MRI 상호작용 모델
15 헤일리와 마다네스의 전략적 구조주의 모델
16 밀란의 체계적 모델
17 후기 가족상담의 이론적 기초
18 해결중심 단기치료
19 이야기 치료
제3절 가족 생활주기
20 가족스트레스
21 가족 생활주기
22 카터와 맥골드릭의 가족 생활 발달주기
23 가족 생활주기의 발달과졔
24 가족 생활주기의 적용
제4절 가족평가
25 가족평가
26 순환 모델(서컴플렉스 모델)
27 맥매스터 모델
28 비버즈의 체계 모델
29 ENRICH
30 가계도
31 생태도
32 가족개념에 의한 가족평가
제5절 가족상담 과정
33 가족상담 준비과정
34 초기 상담과정
35 상담과정에서의 실제적 문제
36 상담 종결
제6절 특수 가족상담
37 이혼가족상담
38 재혼가족상담
39 알코올 남용 가족상담
40 가족의 사망을 경험하는 가족
41 장애 아동의 가족상담
42 등교거부 가족의 특징
43 식이장애 가족의 특징
44 청소년의 가정폭력
제7절 부모교육과 부모상담
45 부모상담의 원리
46 부모교육이론
47 비행청소년 부모교육
제5장 집단상담
제1절 집단상담의 기초
01 집단상담과 학교 집단상담
02 집단의 유형
03 집단의 형태
04 집단상담의 장단점
05 집단역동
06 얄롬의 집단 변화 촉진 요인
07 집단의 변화 촉진 요인
제2절 집단상담자와 집단원
08 집단상담자의 전문성
09 집단상담자의 리더십
10 집단상담자의 문제행동
11 집단원의 역할과 과업
12 집단원의 문제행동
제3절 집단의 발달 단계
13 집단상담의 발달 단계
14 터크만의 연속적 발달 단계
제4절 집단상담의 기술
15 집단상담 시작을 돕는 기법
16 집단 분위기 조성 기법
17 집단 의사소통과 상호작용 촉진 기법
제5절 집단상담 과정과 계획
18 집단상담 단계
19 집단 준비 및 계획
20 집단 계획서 작성
21 예비 집단회기 기능
22 첫 회기 시작
23 매 회기의 시작
24 중간회기에서 사정해야 할 사항
25 집단회기 종결
26 집단 전체 종결
제6절 프로그램 개발 및 집단평가
27 집단상담 평가
28 상담 및 심리교육 프로그램의 개념
29 상담 및 심리교육 프로그램 개발
30 상담 및 심리교육 프로그램 평가
제7절 학교 집단상담
31 성장중심 아동 집단상담
32 문제중심 아동 집단상담
33 청소년 집단상담
34 학교에서의 다문화 집단상담
35 구조화 집단활동
36 집단 구조화 활동의 과정 분석
|부록| 전문상담 과목별 평가영역
Ⅰ. 상담이론과 실제 평가영역
Ⅱ. 상담실습 평가영역
Ⅲ. 진로상담 평가영역
Ⅳ. 가족상담 평가영역
Ⅴ. 집단상담 평가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