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인문계열 > 역사학
· ISBN : 9791165031992
· 쪽수 : 412쪽
· 출판일 : 2023-03-31
책 소개
목차
004 간행사
013 왕건을 금강(錦江) 물 건네주고 이름 받은 이도(李棹)
039 충신의 도(道)를 지킨 독락의 장군 임난수(林蘭秀)
057 하늘과 물이 한 빛을 이루는 독락정(獨樂亭)
077 강을 베고 누운 높은 누각 독락정
103 독락정, 멋스러운 풍류 5백년
119 전의 초수로 눈병 고친 세종대왕(世宗大王)
131 밤실 마을의 충신 김종서(金宗瑞)
147 의심 많은 수양, 김종서 사망 확인, 또 확인
165 선이 굵은 삶의 충신 성삼문(成三問)
191 여전히 숨결이 살아있는 사육신 박팽년(朴彭年)
205 박팽년의 단종 복위 운동 실패, 그리고 세조의 응징
221 실패한 박팽년의 가문과 땅은 어떻게 되었을까?
237 박팽년은 왜 단종을 선택했을까?
263 멸문지화 당한 박팽년, 그의 후손은?
275 왕 네 분을 모신 환관 김처선(金處善)
295 뜻 펴지 못한 기묘사화의 인물 한충(韓忠)
309 한충, 농정과 세금 개혁안을 제시했다
325 토정 이지함과 교류한 기묘사화의 사림 신준미(申遵美)
345 엄정하고 소신 있는 재상 남이웅(南以雄)
365 군주에게 성군의 길을 제시한 김경여(金慶餘)
387 밀무역상 단칼에 처한 관리 홍억(洪檍)
401 참고자료 및 색인
책속에서
추석과 관련하여 세종시를 본관으로 하는 대표적인 성씨로 전의예안이씨가 있다. 전의예안이씨는 전의를 본관으로 하는 이씨 성을 가진 사람과 예안을 본관으로 하는 이씨 성을 가진 사람들을 통칭하는 말인데, 사실은 곧 전의이씨 전체를 일컫는 말이다.
전의이씨의 시조는 이도(李棹)이다. 그는 왕건이 고려를 개국할 때 사람이었다. 그의 원래 이름은 ‘치’(齒)였다. 그런데 ‘도’라는 그의 이름은, 왕건이 그에게 ‘배를 젓는다.’는 뜻의 도(棹)라는 글자를 하사하자, ‘치’에서 개명한 것이다. 이수광(李睟光, 1563년(명종 18) ~ 1628년(인조 6))이 지은 『지봉유설(芝峰類說)』 권 17, 잡사부 성족 편에 보면 ‘이도는 노를 저어 태조 왕건의 군사가 물을 건너게 했다. 이에 왕건이 이름을 도라고 하사했다.’고 기록되어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