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eBook > 어린이 > 사회/역사/철학 > 정치/경제
· ISBN : 9791165691448
· 출판일 : 2020-05-22
목차
<목 차> I. 서문 -3 II. 군대와 국가; 역사와 이론 -5 1. 무엇을 규명하나! -5 1) 문민통제론의 출현 -7 2) 문민통제의 실체 -12 3) 프레토리안 통치 유형의 이론화 -15 4) 신직업주의론의 출현 -20 5) 군부 퇴진론의 전개 -23 2. 군대와 국가, 세계적 추세 -27 1) 서구 선진국 -27 2) 사회주의 권역 -36 3) 발전도상 국가 -42 4) 종합적 평가 -49 3. 군대와 국가, 어떻게 파악하나! -51 1) 민군관계의 개념 -51 2) 민군관계의 유형 -52 3) 군대와 정치 -55 4) 민군관계의 발전 지표 -61 III. 남북한의 군대와 국가; 현상과 비전 -63 1. 군대와 국가, 한반도의 역사 -63 1) 한국, 신직업주의 노선에서 다시 구직업주의 노선으로 -64 ?건국 초창기의 구직업주의 -64 ?5.16 군사쿠데타와 신직업주의 노선 -66 ?6공화국, 군부정권 퇴진 -72 ?문민정부 출범과 구직업주의 노선 -74 2) 북한, 선군정치 노선의 명운 -76 ?빨치산, 그리고 노동당에 의한 군부통제 -76 ?선군정치 노선 -78 ?노동당에 의한 군부통제로 복귀하나? -80 2. 한국의 민군 관계 -82 1) 군 전문직업주의 -83 2) 정치 사회적 안정 -87 3) 안보 위기 -89 4) 민군 일체감 -91 3. 북한의 당-군 관계 -93 1) 김정은 체제에서의 정치와 군사관계 변화 -93 2) 김정은 체제의 군부통제 전망 -97 3) 북한체제의 병영국가 실상 -103 4) 북한의 위기도발 예측 모델 -109 IV. 한국의 군대와 국가; 혁신과 좌표 -116 1. 선진국의 군대와 국가 -116 1) 서구 선진국의 일반적 특성 -116 2) 선진국 민군관계의 유형 -120 2. 선진국 모델의 한국 수용성 -134 1) 안보 여건 -134 2) 군 직업주의 -135 3) 민군 일체감 -136 4) 정치 개입 -137 5) 국민 정향 -137 6) 직업군인 정향 -138 3. 한국군대의 미래 비전과 좌표 -1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