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일간
|
주간
|
월간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가장 빠른 풀스택을 위한 Flask & FastAPI

가장 빠른 풀스택을 위한 Flask & FastAPI

(한 권으로 정리하는 파이썬 백엔드)

Dave Lee (지은이)
비제이퍼블릭
33,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9,700원 -10% 0원
1,650원
28,05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12개 19,00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aladin 26,400원 -10% 1320원 22,440원 >

책 이미지

가장 빠른 풀스택을 위한 Flask & FastAPI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가장 빠른 풀스택을 위한 Flask & FastAPI (한 권으로 정리하는 파이썬 백엔드)
· 분류 : 국내도서 > 컴퓨터/모바일 > 프로그래밍 언어 > 파이썬
· ISBN : 9791165922788
· 쪽수 : 544쪽
· 출판일 : 2024-05-21

책 소개

파이썬 기반 웹 프레임워크는 자바(Java)로의 복잡한 구현에 버금가는 좋은 성능의 결과물을 도출하면서도 개발 기간을 획기적으로 단축시킬 수 있다. 따라서 세계적으로 인기를 누린 지는 이미 오래되었고 국내에서의 니즈도 점차 활발해지고 있다.

목차

제1장 플라스크와 FastAPI 이해하기
_1.1 웹 서비스의 역사와 동향
_1.2 마이크로 프레임워크란?
_1.3 플라스크란 무엇인가?
_1.4 FastAPI란 무엇인가?

제2장 플라스크 시작하기
_2.1 개발 환경 구축
__2.1.1 아나콘다
__2.1.2 비주얼 스튜디오 코드
__2.1.3 curl 명령어
_2.2 안녕, 플라스크!
__2.2.1 Hello, World! 애플리케이션 만들기
__2.2.2 flask run 상세 사용법
__2.2.3 flask run의 추가 옵션
__2.2.4 플라스크 애플리케이션 접속 주소
_2.3 라우팅
__2.3.1 플라스크에서의 라우팅
__2.3.2 URL 변수
__2.3.3 HTTP 메서드
__2.3.4 URL 빌더
__2.3.5 타입 힌트를 활용한 라우팅
_2.4 요청과 응답
__2.4.1 플라스크에서의 요청 처리
__2.4.2 플라스크에서의 응답 처리
__2.4.3 JSON이란 무엇인가?
__2.4.4 상태 코드와 헤더 설정
_2.5 템플릿
__2.5.1 템플릿 기본 사용법
__2.5.2 변수와 제어문
__2.5.3 필터
__2.5.4 반복문
__2.5.5 매크로
__2.5.6 템플릿 상속
_2.6 정적 파일
__2.6.1 플라스크에서 정적 파일 다루기
__2.6.2 정적 파일과 웹페이지 구현
__2.6.3 기존 웹페이지 통합
_2.7 블루프린트
__2.7.1 왜 블루프린트가 필요한가?
__2.7.2 블루프린트 기본 사용법
__2.7.3 애플리케이션 구조 모듈화하기
_2.8 세션과 쿠키
__2.8.1 세션과 쿠키의 필요성
__2.8.2 플라스크에서의 세션 사용법
__2.8.3 플라스크에서의 쿠키 사용법
_2.9 로깅
__2.9.1 왜 로깅이 필요한가?
__2.9.2 로깅 기본 사용법

제3장 플라스크 확장과 성능 개선
_3.1 데이터베이스
__3.1.1 플라스크와 MySQL 연동
__3.1.2 Flask-Migrate
_3.2 인증과 세션
__3.2.1 인증과 세션이란?
__3.2.2 플라스크에서의 인증과 세션
__3.2.3 Flask-Login을 사용한 인증
__3.2.4 예제로 이해하는 인증
__3.2.5 세션을 이용한 상태 관리
__3.2.6 예제로 이해하는 세션
_3.3 RESTful API
__3.3.1 HTTP 메서드 이해하기
__3.3.2 RESTful API 구현하기
_3.4 캐싱
__3.4.1 캐싱이란 무엇인가?
__3.4.2 캐싱 구현하기
_3.5 배포
__3.5.1 웹 서버와 SGI
__3.5.2 WSGI를 지원하는 플라스크
__3.5.3 Gunicorn으로 플라스크 애플리케이션 배포하기
_3.6 테스팅
__3.6.1 플라스크에서의 테스팅
__3.6.2 테스트 실행하기
__3.6.3 unittest의 다양한 기능
_3.7 플라스크 성능 개선 팁
__3.7.1 데이터베이스 쿼리 최적화
__3.7.2 정적 파일 최적화 및 캐싱의 진화된 전략
__3.7.3 로깅을 활용한 효과적인 디버깅
__3.7.4 고도화된 코드 최적화 기법

제4장 플라스크 프로젝트
_4.1 첫 번째 코드: 플라스크 애플리케이션 생성
__4.1.1 플라스크 애플리케이션 생성 및 flask run 설정
__4.1.2 flask run을 사용한 애플리케이션 실행
_4.2 두 번째 코드: 템플릿 사용과 라우팅 확장
__4.2.1 HTML 템플릿 생성
__4.2.2 플라스크 애플리케이션에서 템플릿 렌더링
__4.2.3 추가적인 라우팅 설정
__4.2.4 애플리케이션 실행 및 테스트
_4.3 세 번째 코드: 데이터베이스 연동 및 CRUD 구현
__4.3.1 데이터베이스 연동 및 모델 정의
__4.3.2 CRUD 기능 구현
__4.3.3 CRUD 기능 테스트
_4.4 네 번째 코드: 사용자 인증
__4.4.1 Flask-Login을 활용한 사용자 인증 구현
__4.4.2 사용자 인증 테스트
_4.5 다섯 번째 코드: 사용자별 메모 관리
__4.5.1 사용자별 메모 관리 구현
__4.5.2 memos.html 작성
__4.5.3 메모 관리 기능 테스트
_4.6 여섯 번째 코드: 웹페이지 개선
__4.6.1 home.html 작성
__4.6.2 memos.html 작성
__4.6.3 테스트
_4.7 일곱 번째 코드: 사용자 편의성 향상
__4.7.1 로그인 기능 개선
__4.7.2 회원가입 기능 개선
__4.7.3 프런트엔드 페이지 수정
__4.7.4 로그아웃 기능 개선
__4.7.5 테스트
_4.8 여덟 번째 코드: MVC 패턴 적용
__4.8.1 현재 app.py 파일 구조
__4.8.2 MVC 패턴 적용
플라스크를 마치며

제5장 FastAPI 시작하기
_5.1 안녕, FastAPI!
__5.1.1 Hello, World! API 만들기
__5.1.2 자동 문서화
_5.2 라우팅
__5.2.1 기본 라우팅
__5.2.2 경로 매개변수
__5.2.3 쿼리 매개변수
__5.2.4 curl을 사용한 테스트
_5.3 타입 힌트
__5.3.1 기본 타입 힌트
__5.3.2 고급 타입 힌트
__5.3.3 타입 힌트로 사용 가능한 데이터 타입
_5.4 HTTP 메서드
__5.4.1 FastAPI 코드 작성
__5.4.2 curl을 사용한 테스트
_5.5 Pydantic
__5.5.1 Pydantic 모델 적용
__5.5.2 Pydantic 기본 문법
__5.5.3 중첩된 모델
__5.5.4 List와 Union
_5.6 FastAPI 응답 모델
__5.6.1 기본 응답 모델
__5.6.2 Generic 응답 모델
__5.6.3 Union 응답 모델
__5.6.4 List 응답 모델
_5.7 FastAPI 응답 클래스
__5.7.1 HTMLResponse 예제 코드
__5.7.2 PlainTextResponse 예제 코드
__5.7.3 RedirectResponse 예제 코드
_5.8 요청
__5.8.1 FastAPI에서 쿼리 매개변수 다루기
__5.8.2 Query 클래스의 주요 옵션
__5.8.3 요청 바디
_5.9 예외 처리
__5.9.1 기본 예외 처리
__5.9.2 HTTPException 클래스
__5.9.3 HTTP 헤더

제6장 FastAPI와 풀스택
_6.1 템플릿
__6.1.1 FastAPI 설정
__6.1.2 템플릿 렌더링
__6.1.3 username을 요청에서 받기
__6.1.4 FastAPI와 Jinja2의 기본 문법
__6.1.5 FastAPI와 Jinja2의 고급 문법
_6.2 정적 파일
__6.2.1 FastAPI에서 정적 파일 다루기
__6.2.2 정적 파일과 웹페이지 구현
__6.2.3 기존 웹페이지 통합
_6.3 APIRouter
__6.3.1 다양한 사용법
__6.3.2 미들웨어 설정
__6.3.3 APIRouter와 의존성 함수
__6.3.4 APIRouter와 라우트 설정의 상속
__6.3.5 APIRouter와 플라스크 블루프린트의 비교
_6.4 쿼리 매개변수와 경로 매개변수
__6.4.1 쿼리 매개변수
__6.4.2 경로 매개변수
__6.4.3 타입 지정과 경로 매개변수 연산자
_6.5 백그라운드 태스크
_6.6 스트리밍 응답
_6.7 웹소켓
__6.7.1 웹소켓 기본 사용법
__6.7.2 웹소켓 주요 메서드

제7장 FastAPI 확장과 성능 개선
_7.1 데이터베이스와 ORM
__7.1.1 FastAPI와 MySQL 연동
__7.1.2 SQLAlchemy와 CRUD
_7.2 인증과 세션
__7.2.1 기본 인증 메커니즘 이해하기
__7.2.2 고급 인증1: JWT
__7.2.3 고급 인증2: 세션
_7.3 비동기 처리
_7.4 파일 업로드
_7.5 캐싱과 미들웨어
__7.5.1 FastAPI 캐싱
__7.5.2 FastAPI 주요 미들웨어
_7.6 배포
__7.6.1 Uvicorn 설치 및 실행
__7.6.2 도커로 FastAPI 애플리케이션 배포하기
_7.7 FastAPI 성능 개선 팁
__7.7.1 비동기 프로그래밍 활용
__7.7.2 캐싱 활용
__7.7.3 데이터베이스 커넥션 풀링

제8장 플라스크와 FastAPI 문법 비교
_8.1 라우팅
__8.1.1 플라스크의 라우팅
__8.1.2 FastAPI의 라우팅
_8.2 타입 힌팅
__8.2.1 플라스크의 타입 힌팅
__8.2.2 FastAPI의 타입 힌팅
__8.2.3 주요 차이점
_8.3 요청과 응답
__8.3.1 플라스크의 요청과 응답
__8.3.2 FastAPI의 요청과 응답
__8.3.3 주요 차이점
_8.4 데이터베이스
__8.4.1 플라스크의 PyMySQL과 SQLAlchemy
__8.4.2 FastAPI의 PyMySQL과 SQLAlchemy
__8.4.3 주요 차이점
_8.5 세션 관리
__8.5.1 플라스크의 세션 관리
__8.5.2 FastAPI의 세션 관리
__8.5.3 주요 차이점
_8.6 비동기 처리
__8.6.1 플라스크의 비동기 처리
__8.6.2 FastAPI의 비동기 처리

제9장 FastAPI 프로젝트
_9.1 첫 번째 코드: FastAPI 애플리케이션 생성
__9.1.1 FastAPI 설치 및 프로젝트 구조 설정
__9.1.2 FastAPI 애플리케이션 생성 및 Uvicorn 설정
__9.1.3 Uvicorn을 사용한 애플리케이션 실행
_9.2 두 번째 코드: Jinja2 템플릿 사용과 라우팅 확장
__9.2.1 HTML 템플릿 생성 및 Jinja2 설치
__9.2.2 FastAPI 애플리케이션에서 템플릿 렌더링
__9.2.3 추가적인 라우팅 설정
__9.2.4 애플리케이션 실행 및 테스트
_9.3 세 번째 코드: 데이터베이스 연동 및 CRUD 구현
__9.3.1 데이터베이스 연동 및 모델 정의
__9.3.2 CRUD 기능 구현
__9.3.3 CRUD 기능 테스트
_9.4 네 번째 코드: 사용자 인증
__9.4.1 MySQL을 연동한 사용자 인증 구현
__9.4.2 사용자 인증 테스트
_9.5 다섯 번째 코드: 사용자별 메모 관리
__9.5.1 사용자별 메모 관리 구현
__9.5.2 memos.html 작성
__9.5.3 메모 관리 기능 테스트
_9.6 여섯 번째 코드: 웹페이지 개선
__9.6.1 home.html 작성
__9.6.2 memos.html 작성
__9.6.3 테스트
_9.7 일곱 번째 코드: 마무리
__9.7.1 프런트엔드 페이지 개선
__9.7.2 예외 케이스 보완
__9.7.3 테스트
_9.8 여덟 번째 코드: MVC 패턴 적용
__9.8.1 MVC 패턴에 따른 파일 구조 및 역할
__9.8.2 MVC 패턴 적용

FastAPI를 마치며

저자소개

데이브 리 (지은이)    정보 더보기
고려대학교 일어일문학과에 입학했지만, IT 분야에 관심이 많아서 좌충우돌하며 IT 분야 정복에 도전했습니다. 이후 연세대학교에서 컴퓨터공학 석사 학위를 취득하고, 삼성전자와 쿠팡에서 20년간 개발자 및 데이터 기반 기획자(Product Manager)로 경력을 쌓았습니다. 현재는 노이먼스의 CTO로 재직하고 있으며, 앞선 도전 경험을 바탕으로 잔재미코딩 사이트와 유튜브 채널을 통해 IT 지식을 단계별로 정리한 온라인 강의와 1인 개발, IT 정보 관련 콘텐츠를 제작하고 있습니다. 지난 9년간 9만 명의 수강생에게 사랑받았으며, 현재도 꾸준히 좋은 IT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잔재미코딩 사이트: https://school.fun-coding.org 잔재미코딩 유튜브 채널: https://www.youtube.com/@fun-coding
펼치기

책속에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
97911659228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