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의약학간호계열 > 기초의학 > 약리학
· ISBN : 9791166276484
· 쪽수 : 347쪽
· 출판일 : 2025-05-20
책 소개
임상 현장에서 간호사는 매일 수많은 약물을 다루며 정확한 정보를 필요로 한다. 하지만 많은 간호사가 복잡한 약물 정보를 단순히 외우는 데 급급하여 처방이 바뀌거나 예기치 않은 상황이 발생할 때 불안감을 느낀다. 인터넷에서 얻은 단편적인 정보로 혼란을 겪으며 임상 현장에서 자신감을 상실하기도 한다.
이러한 간호사들의 현실적 어려움을 해소하고자 『크램북 바로 써먹는 임상약리학』이 출간되었다. 베스트셀러 『크램북 vol.1 벼락치기 임상간호 매뉴얼』과 『크램북 vol.2 벼락치기 환자파악 매뉴얼』의 후속작으로, 간호대학생과 현장 임상간호사들을 위한 실무에 가장 가까운 임상 친화적 약물 가이드이다.
『크램북 바로 써먹는 임상약리학』의 최대 장점은 임상 현장에서 근무 중인 간호사들의 생생한 경험담과 실질적인 피드백을 적극 반영해 신뢰도 높은 정보를 제공한다는 점이다. 또한, 약대 교수와 간호대 교수들이 철저히 검수하여 내용의 신뢰성과 정확성을 높였다.
이 책은 단순 암기 방식이 아니라 약물의 작용 원리와 실제 사용 맥락을 연결하여 이해하기 쉽도록 구성되었다. 핵심 내용을 풀 컬러 일러스트와 함께 명쾌하고 유쾌하게 전달하여 독자들이 지루하지 않고 흥미롭게 공부할 수 있도록 돕는다.
『크램북 바로 써먹는 임상약리학』은 임상 경력이 짧아 약물 적용에 대한 불안감을 가지고 있는 신규 간호사부터, 보다 체계적이고 깊이 있는 약리학 지식을 원하는 숙련된 간호사까지 모두에게 필수적인 자료가 될 것이다. 이 책을 통해 간호사들은 임상에서 마주하는 다양한 약물 관련 상황에 대해 정확한 판단과 자신 있는 대처 능력을 갖추게 될 것이다.
약리학에 대한 막연한 두려움을 떨쳐내고, 명확한 이해와 자신감을 얻을 수 있는 최적의 도구 『크램북 바로 써먹는 임상약리학』과 함께 진정한 전문가로 거듭나 보자.
◇ 『크램북 바로 써먹는 임상약리학』 도서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 『크램북 바로 써먹는 임상약리학』
△ Pre-Study: 약리학적 기초 쌓고 출발! △CHAPTER 01: 자율&중추신경으로 이해하는 약물 △CHAPTER 02: 인체 장기로 이해하는 약물 △CHAPTER 03: 미생물과 항균제
목차
Pre Study: 약리학적 기초 쌓고 출발!
#1. 약동학(Pharmacokinetics, PK)을 왜 알아야 할까? 10
#2. 약력학(Pharmacodynamics, PD)은 또 뭐야? 16
#3. 약물 투약 경로에 따른 차이 20
#4. 약물 상호작용 (Drug Interaction) 24
CHAPTER 01: 자율 & 중추신경으로 이해하는 약물
#1. 교감신경 상승: 혈압상승제 31
#2. 교감신경 저하: 항고혈압제 41
#3. 부교감신경 상승(콜린성 약물): 녹내장 & 중증근무력증 치료제, 알츠하이머 치료제 59
#4. 부교감신경 저하: 항콜린제, 항히스타민제 71
#5. 교감신경 상승(β2-아드레날린 작용제) & 항콜린제: 기관지 확장제 81
#6. 중추신경계-세로토닌: 항편두통 약물, 항우울제 95
#7. 중추신경계-도파민: 항정신병약물, 항조증 기분 안정제 105
#8. 도파민 & 항콜린: 항편두통 약물, 항우울제 115
#9. 도파민 & 항콜린 & 세로토닌: 진토제 & 항현기증 약물 125
#10. 중추신경계: 항경련제(항뇌전증제, AEDs), 진정-수면제) & 항불안제 135
CHAPTER 02: 인체 장기로 이해하는 약물
#1 신경-통증 시스템: 통증 조절, 신경전달 조절, 염증 완화 153
① 진통제(Analgesics) 154
② 항염증제(Anti-inflammatory drugs) 168
#2. 내분비-대사 시스템: 호르몬과 신진대사 조절 179
③ 뇌하수체 & 부신 & 갑상선 약물 180
④ 당뇨병약(anti-diabetic drugs) 196
⑤ 임신 & 성호르몬 약물(Pregnancy & Sex Hormones) 212
#3. 심혈관-혈액조절 시스템: 혈액 순환 조절, 응고 조절, 혈압 조절 227
⑥ 심혈관계 약물(Cardiovascular drugs) 228
⑦ 이뇨제(Diuretics) 264
#4. 소화-간-담도 조절 시스템: 위장관 및 간&담도 기능 조절 273
⑧ 소화계통 약물(Gastrointestinal drugs) 274
⑨ 항고지혈증제(Antihyperlipidemic agents) 288
⑩ 간 기능 보호제(Hepatoprotective drugs) 298
#5. 세포-성장-면역 조절 시스템: 세포 증식&면역 조절 307
⑪ 항종양제(Antitumor agent) 308
CHAPTER 03: 미생물과 항균제
#1. 미생물과 항균제 321
① 미생물(Microorganism) 323
② 항균제 3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