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일간
|
주간
|
월간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열흘이면 깨치는 한국어문규정

열흘이면 깨치는 한국어문규정

(제2판)

한용운 (지은이)
한국문화사
19,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9,000원 -0% 0원
950원
18,050원 >
19,000원 -0% 0원
카드할인 10%
1,900원
17,1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2개 17,86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aladin 19,000원 -10% 950원 16,150원 >

책 이미지

열흘이면 깨치는 한국어문규정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열흘이면 깨치는 한국어문규정 (제2판)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어문학계열 > 국어국문학 > 음운론/어휘론
· ISBN : 9791166850066
· 쪽수 : 320쪽
· 출판일 : 2021-02-22

책 소개

한글 맞춤법과 표준어 규정에 대한 강의를 위해 편찬된 교재다. 조항에 대한 해설은 국어학적 용어를 가급적 줄이면서, 필요한 경우 각주를 달아 이에 대한 설명을 하였다. 그리고 조항별로 해설을 붙여 그 조항에 대한 이해를 돕고, 해설 바로 아래에 문제를 수록하였다.

목차

머리말

I. 선행 학습
1. 단어와 품사
2. 단어의 구성 성분
3. 단어의 하위 분류
4. 단어와 구
5. 고유어, 한자어, 외래어
6. 준말

II. 한글 맞춤법
제1장 총 칙
제2장 자 모
제3장 소리에 관한 것
제4장 형태에 관한 것
제5장 띄어쓰기
제6장 그 밖의 것
부록(문장 부호)

Ⅲ. 표준어 규정
제1부 표준어 사정 원칙
제1장 총 칙
제2장 발음 변화에 따른 표준어 규정
제3장 어휘 선택의 변화에 따른 표준어 규정
[붙임] 새로 추가된 표준어 목록
제2부 표준 발음법
제1장 총 칙
제2장 자음과 모음
제3장 음의 길이
제4장 받침의 발음
제5장 음의 동화
제6장 경음화
제7장 음의 첨가

IV. 로마자 표기법
제1장 표기의 기본 원칙
제2장 표기 일람
제3장 표기상의 유의점

틀리기 쉬운 표기
정답 및 해설
찾아보기

저자소개

한용운 (지은이)    정보 더보기
동국대학교 문학박사 사전학회 이사(2011~현재) 국립국어원 국어문화학교 전문강사(2003~현재) 성균관대학교 초빙교수(현재) 겨레말큰사전 남북공동편찬사업회 편찬실장(전)
펼치기

책속에서

머리말

한글 맞춤법과 표준어 규정을 혼자서 익히는 일은 생각만큼 쉽지 않다. 그렇지만 이러한 어려움은 비단 한국인에게만 국한된 것은 아니며, 영어나 중국어, 일본어 등을 모국어로 사용하는 사람들도 자국어의 철자법에 대해서 우리와 같은 어려움을 공통적으로 느낀다. 그만큼 자국어에 대해서는 긴장을 느끼며 따로 학습하지 않기 때문일 것이다.
이 책은 한국 어문 규정(‘한글 맞춤법(문교부 고시 제88-1호, 1988년 1월 19일)’, ‘표준어 규정(문교부 고시 제88-2호, 1988년 1월 19일)’, ‘로마자 표기법(문화 관광부 고시 제2000-8호, 2000년 7월 7일), ‘새로 추가된 표준어 39 항목(2011)’)에 대한 강의를 하기 위해 편찬한 것이다. 아울러 일반인들이 어문 규정을 혼자서 단기간에 학습할 수 있도록 배려하는 것도 잊지 않았다. 즉 ‘선행 학습’을 두어 어문 규정 학습에 필요한 기초 지식을 익힐 수 있도록 하였고, 조항별로 해설을 달고 해설 바로 아래에 연습 문제를 붙여 해당 조항을 확실하게 숙지할 수 있도록 하였다.
2013년도에 미국의 경제지 에서 500명이 넘는 사회 지도층을 대상으로 하여 ‘성공을 가로막는 사소한 습관들’에 대해 조사하였는데, 그 결과가 흥미롭다. 왜냐하면 ‘성공을 가로막는 사소한 습관들’ 가운데 그 첫 번째가 ‘맞춤법 오류’였기 때문이다. 우리나라의 경우에도, 취업을 할 때는 ‘외국어 능력’을 중요시하지만, 취업 후에는 ‘문서 작성 능력’이 승진의 중요한 잣대가 된다는 점에서 이 경제지의 조사 내용은 유념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훈민정음 해례> 서문에서 정인지(鄭麟趾)는 ‘훈민정음’에 대해 ‘故智者不終朝而會? 愚者可浹旬而學’이라 하여 ‘지혜로운 사람은 아침이 지나기 전에 깨우치고, 어리석은 사람일지라도 열흘이면 배울 수 있다’고 하였다. 지혜로운 독자 여러분은 열흘 이내에 충분히 이 책을 독파할 수 있으리라 생각한다.
부디 이 책을 통하여 ‘성공을 가로막는, 첫 번째 사소한 습관’이 제거되길 바란다. 성공을 가로막는, 두 번째 ‘사소한 습관’은 ‘행동보다 말이 앞서는 것’이었다.


Ⅰ 선행학습
1. 단어와 품사

이 장에서는 한글 맞춤법과 표준어 규정을 이해하기 위해 알아 두어야 할 내용을 간략히 제시하기로 한다. 한글 맞춤법과 표준어 규정은 단어에 대한 규정이므로 단어와 단어의 하위 부류, 그리고 품사에 대해 중점적으로 기술하고자 한다.

단어l 국어에서 단어는 문장에서 자립적으로 쓰일 수 있는 말이나 이에 준하는 말을 가리킨다. 여기서 ‘자립적으로 쓰인다’는 말은 문장에서 해당 단어의 앞과 뒤에 띄어쓰기를 할 수 있다는 의미이다. 국어의 경우 ‘명사, 대명사, 수사, 관형사, 부사’ 등은 문장에서 쓰일 때 앞뒤에 띄어쓰기를 할 수 있으므로 자립형식이 된다. 그리고 ‘이에 준하는 말’은 동사와 형용사를 가리키는 것으로, 이들은 뒤에 어미가 결합되지 않으면 문장에서 홀로 나타날 수 없는 형식이다. 학교 문법에서는 동사와 형용사를 어미와 결합하여 자립하는 형식으로 보는 관점이다. 또한 국어에서는 자립적인 말 뒤에 붙어 문법적 기능을 하는 ‘조사’도 단어로 간주한다.

*예문
지금 나에게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는 것일까?
l자립적으로 쓰일 수 있는 말: 지금, 나, 무슨, 일, 것
l이에 준하는 말: 일어나-, 있-
l문법적 기능, 또는 의미적 기능을 하는 말: 에게, 이, 이-(서술격조사)
☞학교문법에서는 어미(-고, -는, ㄹ까)를 용언의 한 부분으로 간주한다.

품사l 단어는 그 문법적 성질의 공통성에 따라 몇 갈래로 묶을 수 있는데, 이렇게 문법적 공통성에 따라 몇 갈래로 묶어 놓은 것을 품사라고 한다. <표준국어대사전>(국립국어연구원:1999)에 수록된 단어는 443,439개에 이르는데, 이 단어들의 특징을 하나하나 이해하려면 상당한 시간이 소요된다. 그런데 ‘문법적 특징’을 기준으로 하여 단어들을 ‘부류별’로 검토하면 개별 단어의 특징을 하나하나 검토하는 것보다 훨씬 효율적으로 국어 단어 전반에 대해 이해할 수 있으므로 ‘품사’ 범주를 설정하는 것이다. 즉 국어의 모든 단어를 일일이 다 검토하지 않더라도 아홉 개 부류의 특징만 이해하면 국어 단어의 전반적인 특징을 이해할 수 있다는 점에서 품사 설정의 의의가 있는 것이다. 이러한 품사는 언어마다 약간의 차이가 있는데, 우리나라의 학교 문법에서는 ‘명사, 대명사, 수사, 동사, 형용사, 관형사, 부사, 감탄사, 조사’의 9가지 품사를 인정하고 있다.
품사를 분류하기 위해서는 객관적이고 합리적인 분류 기준이 있어야 하는데, 일반적으로 많이 쓰이는 품사 분류 기준은 ‘형태’, ‘기능’, ‘의미’이다. 국어의 경우 형태적 기준은 ‘뒤에 격 조사나 어미가 붙을 수 있는지 없는지의 여부’를 따지는 것이다. 그리고 기능적 기준은 ‘문장에서 어떤 성분을 수식하는지, 아니면 어떤 성분의 수식을 받는지의 여부’를 따지는 것이다. 그리고 의미적 기준은 앞의 형태적 기준이나 기능적 기준의 보조적 기준으로 쓰이는 것으로, ‘주로 어떤 의미를 나타내는가’를 따지는 것이다. 이 3가지 기준에 따라 국어의 품사를 분류하면 다음과 같다.

1.1. 명사, 대명사, 수사
명사는 뒤에 ‘격 조사를 취할 수 있고(형태)’, ‘관형사(및 관형어)의 꾸밈을 받을 수 있는(기능)’ 단어들로서, ‘주로 사물의 명칭을 나타내는(의미)’ 품사이다. 흔히 ‘명사’에 대한 정의는 ‘사물의 명칭을 나타내는 말’ 등으로 많이 쓰이고 있는데, 이는 올바른 정의가 아니다. 이 정의에 따르면 대부분의 추상 명사(‘꿈’, ‘사랑’ 등)는 명사에 포함될 수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위의 품사 분류 기준을 적용하여 명사에 대한 정의를 해야 한다. 이에 따르면 형태적 기준을 적용하여 ‘뒤에 격 조사를 취할 수 있다’는 점과, 기능적 기준을 적용하여 ‘관형사(또는 관형어)의 꾸밈을 받을 수 있다’는 점, 그리고 의미적 기준을 적용하여 ‘주로 사물의 명칭을 나타내는 품사’라는 점을 명사의 정의에 포함하게 된다.
한편 명사처럼 뒤에 격 조사를 취할 수 있으면서, 관형사(및 관형어)의 꾸밈을 받을 수 있는 단어로는, 대명사와 수사도 있다. 대명사는 ‘명사의 기능을 대신하는 말’이고, 수사는 ‘수나 차례를 나타내는 말(하나, 둘, 셋, 열, 스물, 서른, 일흔, 여든, 아흔, 한둘, 두셋, 서넛, 너덧, 대여섯, 열두셋, 열서넛, 두서넛, 서너덧, 너더댓 …)’이다. ‘명사, 대명사, 수사’를 묶어 체언이라 부른다.


<알아두기> 의존 명사(것, 데, 수, 바, 자(者) 등)
수식어(관형어) 없이는 단독으로 쓰이지 못하고, 문장의 맨 앞에 놓일 수 없으며, 어떤 실질적인 의미를 나타내지도 못하는 명사를 가리키는 말이다. 그렇지만 다른 일반 명사와 마찬가지로 관형어의 꾸밈을 받을 수 있고, 또한 격 조사를 취할 수 있다는 특성 때문에 명사로 간주된다.

1.2. 동사와 형용사
동사는 ‘활용 어미를 취하는, 특히 명령형 어미(-아라/-어라)와 청유형 어미(-자)를 취할 수 있고(형태)’, ‘부사의 꾸밈을 받을 수 있으며(기능)’, ‘주로 사물의 움직임을 나타내는(의미)’ 품사이다. 이에 비해 형용사는 ‘활용 어미를 취할 수 있지만 명령형 어미와 청유형 어미를 취하지 못하고(형태)’, ‘부사의 꾸밈을 받을 수 있으며(기능)’, ‘주로 사물의 상태나 성질을 나타내는(의미)’ 품사이다. 형용사는 동사와는 달리 ‘-는다/-ㄴ다’와 ‘-느냐’를 취하지 못하며, 동사가 현재형 관형사형 어미로 ‘-는’을 취하는 데 반해, 형용사는 ‘-은/-ㄴ’을 취한다는 점에서도 차이가 있다. 동사와 형용사를 묶어서 용언이라 부른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
979116919706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