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외국어 > 통역/번역 > 통역
· ISBN : 9791166850608
· 쪽수 : 196쪽
· 출판일 : 2021-12-10
책 소개
목차
제2판 머리말
통역사를 위한 Tip
제1부 이론편
I 통역이란
1 통역의 역사
2 통역의 조직화와 양성
3 일본에서의 발전
II 다문화 커뮤니케이션과 통역
1 다문화 커뮤니케이션이란
2 통역사에게 필요한 요소
III 통역방식에 의한 분류
1 순차통역(Consecutive Interpreting)
2 동시통역(Simultaneous Interpreting)
3 위스퍼링 통역(Whispering Interpreting)
4 시차통역(Prepare Interpreting )
IV 통역형태에 의한 분류
1 회의통역
2 비즈니스 통역
3 방송통역
4 예능통역(무대인사 등)
5 통역 가이드
6 법정통역(사법통역)
7 의료통역
8 자원봉사 통역
제2부 실전편
I 통역 트레이닝
1 요약(Summary)
2 문장구역(Sight Translation)
3 순차통역 및 노트테이킹(Note-Taking)
4 쉐도잉(Shadowing)과 동시통역
Ⅱ 통역 스킬 키우기(1)
1 カタカナ語
2 어순 바꾸기와 생략
3 심리상태 표현
4 생활용어 숙지
Ⅲ 통역 스킬 키우기(2)
1 짧고 쉬운 문장 통역하기 –자기소개 통역을 통해
2 시사 상식 늘리기 –뉴스 기사를 통해
3 사전 조사하기 -인터뷰 통역을 통해
4 현장 자료 이용하기 -간략한 메모를 통해
쉬어 가는 페이지! <원격 회의 준비하기> 온라인 회의의 Tip
Ⅳ ST연습
1 하늘을 나는 풍력발전
2 기업의 노하우를 살린 백신접종
3 간호
Ⅴ 실전연습
1 사회/생활
2 문화
3 환경
4 경제
5 법률
6 의료 건강
7 IT・과학
Ⅵ 통역사 되어 보기
0 통역사 H상의 하루
1 관광 상담
2 비즈니스 상담
3 제조 현장 시찰
4 사회
번역 및 해답
부록
참고문헌
찾아보기
책속에서
문화의 차이는 언어의 색이 깊게 반영되는 것입니다. 예를 들면, fairness를 좋아하는 구미문화에서는 일상 회화 속에서도 자주 이 말이 사용된다. 그것은 ‘공평함’이라는 의미를 넘어 자신이 어떤 것을 받아들일 수 있는가 없는가에 대한 의지 표시로써 사용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친구와 즐겁게 놀고 있을 때 어머니에게 무언가를 하라고 지시받았을 때 아이는 ‘That’s not fair!’ 라고 말하는 것이 그 예입니다.
그랜 S 후쿠시마 씨는 미일무역협상의 자리에서 미국 통상 대표 야이타 씨가 당시의 와타나베 미치오(渡辺美智雄) 통상 대신에게 몇 차례 ‘fair enough’라는 가벼운 표현을 사용한 것을 통역사가 그때마다 ‘매우 공평합니다’라고 통역한 것에 위화감을 느꼈다고 합니다.
일본에서는 스피치나 연설의 서두에 ‘방금 소개받은 OOO입니다’라고 자신의 이름을 스스로 언급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영어권 문화에서는 그다지 볼 수 없는 습관이기 때문에 ‘Thank you for your kind introduction, Mr. ABC.’처럼 소개해 준 사람에 대한 감사 표현으로 통역하도록 배우는 경우가 많습니다. 왜냐하면 영어에서는 스피치의 서두에 감사의 말을 하는 것이 일반적이기 때문입니다. 이것은 문화의 차이를 고려하여 원활한 커뮤니케이션을 지향한 방법이라고 말할 수 있을 것입니다.
또한 일본인은 말하고 싶은 것을 그대로 다 말하지 않는다고 일컬어지며, 그와는 대조적으로 미국인은 지나치게 분명하게 말한다고 합니다. 이러한 두 사람이 화자와 청자가 되었을 경우에 커뮤니케이션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서는 통역사가 그 문화적 차이를 숙지하고 있지 않으면 큰 오해가 생기기 쉽습니다. 사회 구조 자체가 언어로 말하는 것을 기반으로 이루어진 구미에서는 변론술이나 토론술이 발달하여 교양 있는 사람들은 실로 웅변에 막힘이 없습니다.
일본의 노벨문학상 수상자인 가와바타 야스나리(川端康成) 씨가 노벨상을 수상했을 때의 일입니다. 가와바타 씨가 기자단에게 둘러싸여 질문을 받고 너무나도 천천히 생각하면서 대답하고 있어 아직 대답이 끝나지 않았는데 기자단으로부터 다음 질문이 나왔습니다. 그러자 가와바타 씨는 사고가 멈춰버려 생각한 대로 대답하지 못했습니다. 그것을 알아차린 통역사는 아직 대답이 끝나지 않았으니 조금 더 기다려 달라고 말했다고 합니다. 본래는 그 자리에 통역사가 있는 것조차 의식할 수 없도록 당사자의 발화만을 통역하는 통역사이지만 때로는 이런 재치가 커뮤니케이션을 원활하게 하는 경우도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