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잡지 > 교양/문예/인문 > 인문/사회
· ISBN : 9791166985331
· 쪽수 : 276쪽
· 출판일 : 2024-12-06
목차
발간사
에디토리얼
Part 1. 생태와 미술의 교차점 탐색
생태미술의 정의와 개념
한국 생태미술의 흐름
해외 생태미술의 사례
붉은 생태 : 한국 여성 생태예술에 관하여
생태주의적 미술관은 가능한가?
Part 2. 생태미술 스펙트럼 만들기
야투,그리고 금강자연미술비엔날레
삶의 실천적 태도를 위한 예술
공존과 균형의 방법론: 권혜원과 나현을 중심으로
기술로 ‘없는’ 세계 만들기
관계 맺기의 가능성에 대해:
장한나, 정혜정, 라이스 브루잉 시스터즈 클럽을 중심으로
공존을 위한 미학적 망막 수집하기
증인으로서의 자연, 증거로서의 예술
동남아시아 생태미술 풍경
생태 위기가 체화하는 해외 비엔날레와 작품의 사례
협력 : 모두의 언어, 모두의 고민, 모두의 해결책
Part 3. 로컬리티와 생태미술
생태예술은 형태가 아니라 태도다:
강원국제트리엔날레 기획자의 고민
“멈추면 생동” 장소의 복선들과 예술
생명수가 흐르는 대청호, 그 현장을 담다:
대청호 환경미술제와 대청호 환경미술 온라인 플랫폼
Part 4. 생태주의를 연결하는 사람들
유현주, 생태미학예술연구소 대표
박범순, KAIST 인류세연구센터 센터장
구지은, 생태교육센터 위드 대표
Part 5. 생태주의적 사고하기
순환하는 물질, 나의 창작 생태계
생태미술을 전시한다는 것
예술은 왜 환경을 이야기하는가?
—김성헌 작가와 생태미술
Part 6. 좌담
생태미술의 어제와 오늘, 그리고 내일
Part 7. 부록
미래를 책임지기 위한 지금의 확실한 실천법
참고 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