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어문학계열 > 국어국문학 > 국어학개론/정서법
· ISBN : 9791167420107
· 쪽수 : 408쪽
· 출판일 : 2021-06-28
책 소개
목차
제1부 총론
제1장 의미론의 형성
1. 의미론의 위상 17
2. 의미 연구의 흐름 18
2.1. 역사의미론_19 2.2. 구조의미론_20
2.3. 생성의미론_22 2.4. 화용론_23
2.5. 형식의미론_24 2.6. 인지의미론_25
3. 의미론의 연구 영역 26
3.1. 언어학적 의미론_26 3.2. 의미의 층위_27
3.3. 의미론의 연구 분야_27
제2장 언어의 기능과 의미
1. 언어의 기능 29
1.1. 기술적 기능_29
1.2. 비기술적 기능: 표현적 기능과 사회적 기능_30
2. 의미의 정의 31
2.1. 지시설_32 2.2. 개념설_34
2.3. 용법설_37 2.4. 진리조건설_37
2.5. 의의관계설_38 2.6. 개념화설_39
3. 의미의 유형 41
3.1. 개념적 의미_42 3.2. 내포적 의미_43
3.3. 사회적 의미_44 3.4. 감정적 의미_45
3.5. 반사적 의미_45 3.6. 연어적 의미_45
3.7. 주제적 의미_47
제2부 어휘의미론
제3장 의미장
1. 의미장의 개념 51
1.1. 의미장의 정의_51 1.2. 의미장과 의미 규정_52
1.3. 개념장과 어휘장_52
2. 장이론의 이론적 배경과 전개 53
2.1. 장이론의 이론적 배경_53 2.2. 장이론의 전개_54
3. 계열적 장이론 55
3.1. 트리어의 장이론_55 3.2. 바이스게르버의 장이론_59
4. 통합적 장이론 63
4.1. 의미장 구성_63 4.2. 의미장 구성의 중심_64
4.3. 은유_66
5. 어휘장과 문화 67
5.1. 언어상대성 가설_67 5.2. 어휘장의 빈자리_70
제4장 성분분석
1. 의미성분 73
1.1. 의미성분과 성분분석_73 1.2. 성분분석 이론의 성립 배경_74
1.3. 성분분석의 과정_78 1.4. 의미성분의 유형_85
1.5. 의미성분의 형식적 표상_88 1.6. 성분분석의 효용과 한계_91
2. 의미원소 94
2.1. 생성의미론의 어휘분해_95 2.2. 개념의미론의 의미원소_97
2.3. 자연 의미 상위언어의 의미원소_98
제5장 국어 어휘의 의미관계
1. 동의관계 101
1.1. 동의관계의 규정_101 1.2. 동의어 생성_106
1.3. 동의어의 경쟁_110
2. 반의관계 113
2.1. 반의관계의 규정_113 2.2. 반의어의 유형_116
2.3. 반의관계의 복합성과 비전형성_124
2.4. 비양립관계_127
3. 하의관계 130
3.1. 하의관계의 규정_130 3.2. 상의어와 하의어_131
3.3. 하의관계의 특성_133
4. 부분관계 134
4.1. 부분관계의 규정_134 4.2. 부분어와 전체어_135
4.3. 부분관계의 특성_136
제6장 국어 어휘의 의미 변이
1. 의미 변이 139
2. 단의어와 다면어 141
2.1. 단의어_141 2.2. 다면어_142
3. 다의어 149
3.1. 다의어의 규정_149 3.2. 다의어의 생성_152
4. 동음이의어 156
4.1. 동음이의어의 규정_156 4.2. 동음이의어의 유형_158
4.3. 동음이의어의 생성_160 4.4. 다의어와 동음이의어의 구별_164
제7장 국어 어휘의 비유 의미
1. 비유와 의미 169
1.1. 비유의 본질_169 1.2. 유사성과 인접성_170
1.3. 비유의 언어학적 접근_171
2. 개념적 은유 172
2.1. 개념적 은유의 정의_172 2.2. 근원영역과 목표영역_173
2.3. 개념의 사상_174 2.4. 개념적 은유의 언어적 표현_175
2.5. 은유의 유형_176
3. 개념적 환유 182
3.1. 개념적 환유의 정의_182 3.2. ‘매체-목표’의 사상_183
3.3. 환유의 특성_184 3.4. 환유의 유형_185
제8장 의미변화
1. 의미변화의 규정 193
2. 의미변화의 원인 194
2.1. 언어적 원인_195 2.2. 역사적 원인_197
2.3. 사회적 원인_199 2.4. 심리적 원인_201
2.5. 외국어의 영향_202 2.6. 새로운 명칭의 필요성_203
3. 의미변화의 분류 203
3.1. 명칭의 변화_204 3.2. 의미의 변화_206
3.3. 복합변화_207
4. 의미변화의 결과 208
4.1. 범위의 변화_208 4.2. 가치의 변화_211
제3부 문장의미론
제9장 문장과 의미
1. 문장의 구조와 의미 215
1.1. 문장성분과 서술어_215 1.2. 논항과 의미역_216
1.3. 서술어의 선택제약_218 1.4. 명제와 양태_220
2. 문장 의미의 해석 원리 221
2.1. 단어의 의미와 통사규칙_221 2.2. 합성성 원리_222
3. 문장의 구조와 정보 224
3.1. 구정보와 신정보_224 3.2. 주제와 설명_227
4. 문장의미의 기본 속성 230
제10장 문장의 동의성
1. 동의성의 규정 235
2. 동의문의 유형 236
2.1. 어휘적 동의문_237 2.2. 구조적 동의문_241
3. 문장의 동의성과 화자의 관점 247
제11장 문장의 중의성과 모호성
1. 중의성의 규정 249
2. 중의성의 유형 250
2.1. 어휘적 중의성_250 2.2. 구조적 중의성_252
2.3. 영향권 중의성_255
3. 중의성의 해소 257
4. 모호성 261
4.1. 모호성의 규정_261 4.2. 모호성의 유형_262
5. 중의성 검사 266
제12장 함의와 전제
1. 함의 269
1.1. 함의의 개념_269 1.2. 일방함의와 상호함의_271
1.3. 함의의 생성_272
2. 전제 279
2.1. 전제의 개념_279 2.2. 전제의 생성_283
2.3. 화용론적 전제_289
제4부 화용론
제13장 화용론의 성격
1. 화용론의 특성과 역사적 배경 295
1.1. 화용론의 특성_295 1.2. 화용론의 역사적 배경_296
2. 화용론의 정의와 의미론과의 관계 298
2.1. 화용론의 정의_298 2.2. 의미론과 화용론_299
3. 화용론의 연구 영역 301
3.1. 화용론의 연구 분야_301 3.2. 쓰레기통 속의 화용론_302
제14장 직시
1. 직시의 규정 305
1.1. 직시의 개념_305 1.2. 직시 표현_306
2. 직시의 중심 307
2.1. 직시의 기준점_307 2.2. 직시의 투사_308
3. ‘이?그?저’에 의한 직시 표현 309
3.1. ‘이?그?저’의 직시 체계_309 3.2. 2원 체계와 3원 체계_310
3.3. 나 먼저 원리_312
4. 직시의 유형 313
4.1. 인칭 직시_313 4.2. 시간 직시_319
4.3. 장소 직시_324 4.4. 담화 직시_330
4.5. 사회 직시_333
5. 직시 표현의 비직시적 용법: 조응 336
5.1. 조응의 개념_336 5.2. 조응 표현과 선행사_337
제15장 발화행위
1. 발화행위 이론의 출발 341
2. 발화행위와 언표수반효력 342
2.1. 발화행위의 세 측면_342 2.2. 언표수반행위_343
2.3. 언표수반효력_344 2.4. 수행발화_345
3. 언표수반행위의 분류와 적정조건 348
3.1. 언표수반행위의 분류_348 3.2. 적정조건_351
4. 간접발화행위 353
4.1. 간접발화행위의 개념_353 4.2. 문장 형태와 언표수반행위_355
제16장 함축
1. 그라이스 고전 이론 358
1.1. 함축의 개념_358 1.2. 협력 원리와 함축의 생성_359
1.3. 함축의 유형_366 1.4. 대화함축의 특성_370
2. 신그라이스 이론 374
2.1. 혼의 체계_374 2.2. 레빈슨의 체계_375
3. 적합성 이론 378
3.1. 적합성과 적합성 원리_378 3.2. 외축_381
3.3. 함축된 가정과 함축된 결론_384
참고문헌 / 387
찾아보기 / 3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