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농축산생명계열 > 수의학
· ISBN : 9791168362611
· 쪽수 : 376쪽
· 출판일 : 2022-05-20
책 소개
목차
머리말
저자 소개
1장 수의학에서의 의사소통
2장 동물병원 의료팀의 관리
3장 고객 중심의 대화와 공유 의사 결정을 위한 기술:고객- 수의사의 의사소통
4장 수의학 진료에서의 비언어적 소통
5장 의사소통이 어려운 상태에서 소통하기
6장 수의 임상에서 진료 비용 청구하기:왜 돈에 대하여 이야기해야 하는가?
7장 수의학적 응급상황에서의 의사소통
8장 동정 피로와 수의 의료팀
9장 수의임상에서 실망감 전달
10장 고객의 진료에서 진료 사항 따르게 하기:고객을 진료 파트너로 만들기
11장 수의 임상에서의 윤리적 딜레마
12장 특수 집단과의 커뮤니케이션: 어린이와 노인
참고 문헌
책속에서
수의학에서는 말을 할 수 없는 반려동물과 말을 할 수 있는 제3자(보호자)에게 임상 치료를 제공하기 때문에 적절한 의사소통은 더욱 도전적인 영역이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그렇기에 무엇보다 보호자(고객)와의 의사소통에 대한 교육 및 훈련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반려동물 보호자와의 의사소통 개선은 불만 사항 감소, 만족도 증가, 약물 오 처방 및 기타 유형의 오류 감소와 관련이 있습니다.
고객과의 의사소통을 향상하고자 하는 수의사는 완벽한 모델이 없다는 것을 먼저 알아야 합니다. 각각의 고객은 특정 요구사항이 있는 개별개인으로 간주해야 합니다. 우리가 논의한 핵심 의사소통 기술의 도움으로 수의사의 책임하에 각 고객의 필요를 확인하고 적응시킵니다.
수의학은 빠르게 발전하고 있고, 환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관리의 수준이 급속도로 증가하고 있습니다. 반려동물을 가족으로 여기는 사람이 많아지면서 반려동물의 중요성에 대한 인지가 변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사람과 문화에 따라 동물들의 도덕적 지위에 관련한 생각이 일치되지 않는 부분이 있습니다. 수의사들과 고객들은 동물의 중요성, 동물에 대한 책임감, 환자에게 무엇이 최선인지, 그리고 수의사들의 책임감들에 대한 의견은 다를 수 있습니다. 이러한 분야에 대한 고객들의 믿음과 인식을 짐작하는 것보다는, 수의사들은 고객들과 근본적인 가치에 대해 논의하는 것에 익숙해져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