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컴퓨터/모바일 > 프로그래밍 개발/방법론 > 데이터베이스 프로그래밍 > 데이터베이스 구축
· ISBN : 9791168363274
· 쪽수 : 324쪽
· 출판일 : 2022-06-08
책 소개
목차
머리말
일러두기
PART Ⅰ
사전준비
01. SAP Fiori에 대한 이해
02. OData Model에 대한 이해
03. SAPUI5에 대한 이해
04. 개발 Tool 준비
PART Ⅱ
Fiori App
01. SAPUI5 Project
02. Standard Fiori App
03. Fiori Element
PART Ⅲ
SAP OData
01. OData Service 생성 방식
02. SAP Gateway Project
03. SAP OData Service 구조
PART Ⅳ
List Report Project
01. OData Service
02. Fiori App
03. 더 알아보기
PART Ⅴ
Master-Detail Report Project
01. CDS View
02. OData Service
03. Fiori App
PART Ⅵ
Additional Features Project
01. 제품정보 관리 및 주문 생성 Fiori App
02. 제품·주문 관리 Table
03. OData Service
04. 제품정보 관리 Fiori App
05. Rich Text Editor
06. File Attachment
07. 주문 관리 Fiori App
08. Deep Entity
PART Ⅶ
추가 지식
01. 다국어 지원
02. Fiori Launchpad
03. 권한 관리
맺음말
부록 - 유용한 사이트
저자소개
책속에서
우리나라에서는 아직 SAP Fiori가 도입 초기이다 보니 레퍼런스가 부족한 이유가 가장 큽니다. 구글링을 하더라도 SAP Fiori 관련 자료는 찾아보기 쉽지 않습니다. 한글로 된 자료는 그나마 최근 1~2년 사이에 작성된 블로그 글들이 가끔 보이는 정도입니다. SAP Fiori란 게 무엇이고 어떻게 사용하는 건지에 대한 전반적인 내용을 다루는 한글 자료는 아직 접해보지 못했습니다. 부족한 실력이지만 지금까지 제가 알아낸 것들을 정리하고 공유해야겠다는 생각을 하게 된 이유입니다. 그렇게 하나씩 내용을 정리하고 추가하다 보니 제법 페이지가 많아지게 됐고 책으로까지 출판하게 되었습니다.
다음은 SAP 공식 사이트(httpss://www.sap.com/products/fiori.html)에 게시된 SAP Fiori에 대한 정의입니다.
“SAP Fiori는 모든 기기와 사용자를 위한 현대적인 사용자 경험으로, 디자이너와 개발자에게 모든 플랫폼에서 일관성 있고 혁신적인 경험을 제공하는 앱을 개발할 수 있는 일련의 툴과 가이드라인을 제공합니다.”
처음 SAP Fiori를 접하게 되면 S/4HANA, SAPUI5, OData, Launchpad, Gateway Project 등의 용어들과 함께 SAP Fiori가 무엇인가에 대한 혼란을 겪게 됩니다. 그러면서 우리가 이전까지 알고 있던 개념들 중 하나에 맞추어 이해하려고 하게 됩니다. 예를 들어 “SAP Fiori는 SAP에서 새로 나온 웹 개발 언어”와 같습니다. SAP의 기존 웹 페이지 개발방식이었던 BSP(Business server page), Webdyn pro, Web UI들의 다음 버전 정도로 말입니다. 하지만 이는 SAP Fiori의 여러 관점 중 개발자가 바라보는 아주 일부만을 이야기하는 것입니다. 혹은 “SAP Fiori는 SAP에서 새로 나온 웹 플랫폼”과 같이 이해하려 할 수도 있습니다. SAP Enterprise portal과 비슷하게 바라보는 것이죠. 이것도 Fiori를 사용자 관점에서만 바라보고 이해하려 하는 것입니다.
제 나름대로 정의해보자면 SAP Fiori는 개발자와 디자이너, 사용자 모두에게 소비되는 개발 언어와 툴, 가이드라인, 플랫폼의 통합 환경이라고 이해해볼 수 있겠습니다.
OData Model의 Deep Entity는 계층구조의 데이터를 일괄 처리할 때 사용할 수 있는 기능입니다. 앞서 진행했던 Master-Detail의 경우는 Master 데이터를 생성하고 Detail 데이터를 나중에 생성해도 문제가 되지 않습니다. 즉 데이터는 연관되어 있지만 데이터 생성 프로세스는 독립적이어도 된다는 뜻입니다. 하지만 판매 주문과 같은 경우는, 주문 데이터(Sales order)와 주문항목 데이터(Sales order item)가 동시에 생성되어야 합니다. 이렇게 계층구조의 데이터가 하나의 프로세스로 처리되어야 할 때 OData Model의 Deep Entity 기능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 3가지 기능 구현을 위해서 간단한 제품정보 관리 Fiori App과 주문 생성 Fiori App을 개발해보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