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어문학계열 > 중어중문학
· ISBN : 9791169190459
· 쪽수 : 271쪽
· 출판일 : 2022-10-20
책 소개
목차
추천사 5
머리말 7
제1장 들어가며 21
1.1. 문제 제기 21
1.2. 연구 대상 22
1.3. 연구 방법론 23
1.3.1. 조사의 의미기능 및 특징 분석 방법 23
1.3.2. 중국어 ‘起來’와 ‘來著’의 양태 의미 증명 방법 24
1.3.3. 연구에 사용된 언어자료의 출처 및 처리방법 25
제2장 중국어 조사의 의미 범주 탐색 27
2.1. 현대중국어 조사 의미 범주 및 특징 탐색의 필요성과 결과 28
2.1.1. 사전류 28
2.1.2. 전문서적류 30
2.1.3. 종합 서적류(교재 포함) 32
2.2. 다른 언어의 조사 의미 범주 및 특징 42
2.2.1. 굴절어류 조사의 특징 43
2.2.2. 교착어류 조사의 특징 54
2.2.3. 조사의 공통된 의미 범주 및 특징 60
2.3. 현대중국어 조사 중 양태 의미 범주 표현과 관련된 연구 63
2.4. 분석대상 확정 69
2.5. 소결 72
제3장 조사의 양태 의미기능 판별 기준 75
3.1. 양태 범주 및 양태 의미기능 76
3.1.1. 양태 범주의 개념 76
3.1.2. 양태 범주의 분류 및 관련 어휘의 근원 78
3.2. 문법화 이론 및 검증 기제 92
3.2.1. 문법화 및 심리변화 기제 92
3.2.2. 통사적 문법화 기제 100
3.3. 문법화 연구에 대한 계량화 통계 107
3.4. 소결 110
제4장 조사 ‘起來’의 양태 의미 변화 113
4.1. ‘起來’에 관한 공시적 연구 성과 114
4.1.1. 동사 또는 보어에서 인신된 ‘起來’ 114
4.1.2. 중동구 표지로서의 ‘起來’ 117
4.1.3. ‘起來’와 ‘양태(Modality)’의 상관성 120
4.2. ‘起來’의 통시성 및 의미범주 변화 121
4.2.1. ‘起來’의 비(非)양태 의미 발전과 양태 의미의 발생 122
4.2.2. ‘起來’의 ‘추정양태’ 의미로의 변화 131
4.2.3. ‘起來’의 ‘감각양태’ 의미로의 변화와 발전 162
4.3. ‘起來’의 통시적 의미범주 변화과정 175
4.4. ‘起來’ 양태 의미의 화용적 기능 180
4.5. 소결 184
제5장 사태조사 ‘來著’의 유래 및 양태 의미로의 변화 189
5.1. 사태조사 ‘來著’에 관한 공시적 연구 성과 190
5.2. ‘來’의 변화 방식과 과정 194
5.2.1. ‘來’의 ‘동사-결과상-완료상’ 변화 과정 196
5.2.2. 사태조사 ‘來’ 의미 변화의 방식 및 기제 203
5.3. 사태조사 ‘來著’의 변화기제 및 과정 218
5.4. ‘來著’의 사태조사 기능에서 양태 기능으로 변화 가능성 228
5.4.1. 청대에서 민국시기의 ‘來著’의 사용 상황 229
5.4.2. 현·당대 ‘來著’의 사용 상황과 변화 과정 240
5.4.3. 청대에서 당대(當代)까지 양태 기능 ‘來著’의 사용 빈도 249
5.5. ‘來(著)’의 통시적 변화과정 251
5.6. 소결 254
제6장 나가며 257
참고문헌 263
저자소개
책속에서
머리말
이 책에서 우리는 화자의 양태범주를 나타내는 중국어 조사에 대해, 통시적 변화를 검증하고 그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어떤 단어가 양태조사(Modal Particle, 情態助詞)인가에 대한 검증은 의미범주, 통시적 변화 메커니즘, 빈도 등 세 가지 조건을 통해 가능하며, 그 결과에 따라 양태조사로서의 문법기능을 확정지을 수 있다. 저자는 ‘시상범주(Tense-Aspect Category)’와 ‘양태범주’ 사이의 긴밀한 관계성 및 계승관계를 발견하였다. 따라서 저자는 설정한 양태조사의 세 가지 검증조건을 기준으로, 현대중국어 ‘起來’와 ‘來著’을 연구대상으로 삼았다.
현대중국어 조사(Particle, 助詞) 및 그 체계를 고찰해보면,1 지금까지 중국어학계에서 조사에 대해 내린 정의는 아직 모호하다는 것을 쉽게 알 수 있다. 먼저 선행 연구를 정리하자면, 조사는 ‘단독으로 사용되지 않고 뒤에 부가되는 허사이며 문법의미를 표시한다.’는 말로 정리할 수 있다. 그러나 문제는 이와 같은 정의로도 조사와 구별되는 다른 허사를 효과적으로 구분할 수 없다는 것이다. 왜냐하면 ‘부착성(附著性)’과 ‘문법 기능이 있다’는 것이 모든 허사들의 공통적인 특성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연구는 ‘부착성’이라는 통사구조의 문법 특징은 물론이고, ‘조사’가 다른 허사와 구별될 수 있는 의미 범주의 문법 기능과 문법 특징 역시 중요하기에, 우리는 이 기능과 특징을 분석하고자 한다. 또한 이 연구는 조사가 가지는 문법 기능과 특징을 명확하게 구분 짓기 위하여 언어 간(Cross linguistic, 跨語言)의 대비를 통해 중국어 조사가 가지는 문법 특징과 기능이 무엇인지를 고찰해보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