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수험서/자격증 > 공무원 수험서 > 7/9급 공무원 > 교육학 > 교육학개론 및 기본서
· ISBN : 9791170237709
· 쪽수 : 376쪽
· 출판일 : 2017-03-25
책 소개
목차
제1장 교육의 이해
01 교육의 정의 ··· 8
02 교육과 구별되는 개념 ··· 16
03 교육목적의 위계와 유형 ··· 16
04 우리나라의 교육목적 ··· 18
05 평생교육 ··· 20
06 가정교육 ··· 29
07 영재교육 ··· 30
08 특수교육 ··· 31
09 대안교육 ··· 32
10 다문화 교육 ··· 34
11 교육제도 ··· 36
12 학교제도 ··· 36
13 교사론 ··· 38
제2장 한국교육사
01 전통교육의 흐름(삼국~조선) ··· 42
02 한국교육사의 특징 ··· 43
03 삼국시대의 교육 ··· 44
04 남북국시대의 교육 ··· 46
05 고려시대의 교육 ··· 47
06 조선시대의 교육Ⅰ ··· 50
07 조선시대의 교육 Ⅱ ··· 56
08 근대의 교육 ··· 58
09 일제 강점기의 교육 ··· 61
10 현대의 교육 ··· 63
제3장 서양교육사
01 서양교육사의 흐름 ··· 68
02 고대 그리스의 교육 ··· 69
03 고대 로마의 교육 ··· 72
04 중세의 교육 ··· 73
05 14-15세기 인문주의 교육 ··· 74
06 16세기 종교개혁기의 교육 ··· 74
07 17세기 실학주의 교육 ··· 75
08 18세기 계몽주의 교육 ··· 77
09 19세기 신인문주의 교육 ··· 80
10 20세기 현대의 교육 ··· 83
제4장 교육철학
01 교육철학의 기초 ··· 88
02 지식의 이해 ··· 90
03 현대의 교육철학 Ⅰ ··· 91
04 현대의 교육철학 Ⅱ ··· 95
05 동양의 교육철학 ··· 102
제5장 교육과정
01 교육과정 모형 ··· 106
02 교육과정의 연구방법 ··· 112
03 교육과정의 유형 ··· 113
04 우리나라 교육과정의 역사 ··· 118
05 제7차 교육과정 ··· 119
06 2007 개정 교육과정(제7차 수정) ··· 122
07 2009 개정 교육과정 ··· 123
08 2015 개정 교육과정 ··· 126
제6장 교육심리학
01 교육심리학의 기초이론 ··· 132
02 발달단계이론의 비교 ··· 134
03 발달(Development) ··· 135
04 인지발달이론 ··· 138
05 성격발달이론 ··· 145
06 도덕성 발달이론 ··· 149
07 해비거스트의 발달과업이론 ··· 151
08 지능(Intelligence) ··· 152
09 창의력(Creativity) ··· 159
10 인지양식(Cognitive style) ··· 163
11 동기(Motivation) ··· 165
12 행동주의 학습이론 ··· 171
13 인지주의 학습이론 Ⅰ: 형태주의 이론 ··· 177
14 인지주의 학습이론 Ⅱ:정보처리이론 ··· 178
15 사회학습이론(사회인지이론) ··· 184
16 인본주의 학습이론 ··· 185
17 전이(Transfer) ··· 186
18 적응기제 ··· 187
제7장 교수-학습이론
01 교수 -학습이론의 기초 ··· 192
02 수업설계 ··· 194
03 교수설계모형 ··· 197
04 교수 -학습방법 ··· 199
05 여러 가지 수업방법 ··· 203
06 교수이론 ··· 205
제8장 교육공학
01 교육공학의 개요 ··· 216
02 교육공학 이론의 전개 ··· 218
03 교수매체의 이해 ··· 220
04 교수매체의 종류 ··· 221
05 컴퓨터를 활용한 교육 ··· 223
06 뉴미디어와 교육 ··· 224
07 우리나라의 교육정보화 ··· 227
제9장 생활지도와 상담
01 생활지도의 개념과 원리 ··· 232
02 생활지도의 과정 ··· 233
03 상담(counselling)의 이해 ··· 234
04 상담의 대화기법 ··· 235
05 상담이론 ··· 238
06 비행이론 ··· 244
07 진로교육이론 ··· 245
제10장 교육평가
01 교육관에 따른 평가관 ··· 250
02 교육평가의 모형 ··· 251
03 교육평가의 유형 ··· 254
04 평가의 오류 ··· 260
05 평가도구의 양호도 ··· 260
06 검사문항의 제작 ··· 264
07 표준화검사 ··· 266
08 문항분석 ··· 267
제11장 교육통계
01 측정치(척도) ··· 272
02 집중경향치(대표치) ··· 274
03 변산도 ··· 276
04 상관도 ··· 278
05 원점수와 규준점수 ··· 279
제12장 교육연구
01 양적 연구와 질적 연구 ··· 284
02 표집방법 ··· 286
03 자료수집방법 ··· 287
04 교육연구의 방법 ··· 291
05 가설의 검증 ··· 294
제13장 교육행정학
01 교육행정의 기초 ··· 298
02 교육행정의 이론 ··· 300
03 의사결정이론 ··· 305
04 지도성 이론 ··· 308
05 동기이론 ··· 312
06 의사소통이론 ··· 315
07 교육행정조직 ··· 317
08 지방교육 자치제 ··· 322
09 학교운영위원회 ··· 323
10 조직풍토 및 조직문화 ··· 326
11 교육기획과 교육정책 ··· 327
12 장학(Supervision) ··· 329
13 학교경영과 학급경영 ··· 331
14 교육재정 ··· 332
15 학교회계제도 ··· 334
16 지방교육재정 ··· 335
17 교육예산제도 ··· 337
18 교육인사행정(교육직원의 분류) ··· 339
19 교원의 근무평정 ··· 340
20 교원의 복무 및 징계 ··· 342
21 교육법 및 교원노조 ··· 345
22 학교실무 ··· 346
제14장 교육사회학
01 교육사회학의 이론 ··· 352
02 구교육사회학 ··· 354
03 신교육사회학(교육과정 사회학) ··· 357
04 사회와 교육 ··· 361
05 문화와 교육 ··· 365
06 학교교육과 사회평등 ··· 366
07 교육평등관 ··· 368
08 교육격차(학업성취격차) 이론 ··· 370
09 학력상승(교육팽창) 이론 ··· 37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