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의약학간호계열 > 병별 > 당뇨병
· ISBN : 9791170683742
· 쪽수 : 240쪽
· 출판일 : 2025-11-17
책 소개
목차
PART 01 당뇨발, 제대로 알기 Understanding Diabetic Foot: The Big Picture
CHAPTER 01 "발이 편해야 온몸이 편하다"라고 한다. 왜 그럴까?
발은 몸을 지탱하고 삶을 이끄는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고, 발 건강이 전신 건강과 직결된다고 하는데 왜 그럴까?
CHAPTER 02 당뇨발은 왜 생길까?
당뇨와 창상치유가 어떤 관계가 있길래 당뇨가 있으면 창상이 쉽게 생기고, 잘 낫지도 않을까?
CHAPTER 03 당뇨발을 왜 공부해야 할까?
당뇨발은 어렵고 복잡해서 관심을 갖고 싶지 않은데 그래도 당뇨발을 공부해야 할까? 또 당뇨발은 모든 만성창상 치료의 기초가 된다고 하는데 이유는?
CHAPTER 04 AI 시대에 오히려 '암묵지'가 중요한 이유는?
당뇨발을 치료하기 위해서는 관련된 여러 분야의 지식이 필수적인데, AI 시대에 특히 암묵지가 중요한 이유는?
CHAPTER 05 당뇨발은 왜 유독 어렵게 느껴질까?
만성창상에는 당뇨발 이외에도 욕창, 혈관궤양 등 여러 종류가 있다. 그런데 다른 만성창상과는 차별화되는 당뇨발의 어떤 특성이 유독 당뇨발을 어렵게 느껴지게 할까?
CHAPTER 06 복잡한 당뇨발 치료, 핵심원칙은 무엇일까?
많은 당뇨합병증을 일일이 찾아 당뇨발을 치료한다는 것이 현실적으로 어려울 것 같은데, 핵심이 되는 치료원칙은?
CHAPTER 07 당뇨발은 왜 그렇게 치료가 잘 안 될까?
당뇨발은 열심히 최선을 다해서 노력을 해도 결국은 악화돼서 절단으로 이어지는 경우가 흔한데, 왜 이럴까?
CHAPTER 08 절단과 보존치료, 판단 기준은 무엇인가?
대부분의 환자들은 당연히 발을 절단하지 않고 치료받기를 원한다. 그러나 창상이 악화되거나 악화될 가능성이 높아 고통스럽긴 하지만 절단을 고려해야 할 경우가 생긴다. 이런 경우에 절단으로 마무리하는 것이 좋을지? 아니면 도저히 불가능하다고 확인될 때까지는 발을 보존하기 위한 치료를 계속해야 할지?
CHAPTER 09 절단 가능성을 미리 예측할 수 있을까?
환자의 상태상 절단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을 미리 알 수 있다면, 조기절단으로 매몰비용을 줄이는 데 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치료 전략을 결정할 수 있는 중요한 포인트, 절단확률을 미리 예측할 수 있는 방법은?
CHAPTER 10 고가의 새로운 치료들, 정말 효과가 있을까?
당뇨발 치료를 위해 여러 치료법들이 개발되어 있다. 그러나 새로운 장비나 재료들은 대부분 비용이 만만치 않다. 과연 이런 치료법들이 비용 대비 유의미한 효과를 보이는지?
CHAPTER 11 IWGDF(국제당뇨발연구회) 가이드라인, 꼭 따라야 할까?
IWGDF (International Working Group on Diabetic Foot)에서는 정기적으로 당뇨발 치료 가이드라인을 내고 있다. 이것을 따르는 것이 최선일까?
CHAPTER 12 모든 당뇨발이 전문가를 찾아야 할까?
당뇨발은 당뇨발센터나 협진체계가 갖추어진 곳에서 당뇨발 전문가가 진료해야만 하는지?
PART 02 당뇨발 실전 팁, 이렇게 하라 Practical Tips
CHAPTER 13 당뇨발에서는 어떤 기준으로 드레싱제를 선택해야 할까?
일반적으로 창상드레싱제의 선택은 삼출물 양과 상태, 감염여부, 창상 크기 등을 고려하여 선택한다. 당뇨발에서는 다른 선택 기준이 있는지?
CHAPTER 14 혈류검사가 양호한데 왜 괴사될까?
혈관도플러, ABI, CT혈관조영술 등의 혈류검사 결과가 양호하고, 감염이나 외상 또는 독성물질 등에 의한 화학적 손상이 없는데도 불구하고 조직이 괴사되거나 창상치유가 지연되는 경우가 있는데 숨은 이유는?
CHAPTER 15 경피산소분압, 꼭 측정해야 하나?
VIPS의 첫째에 해당하듯이 당뇨발에서 혈액순환을 확인하는 것은 필수이다. 그런데 여러 혈류검사 중 경피산소분압을 꼭 측정해야 하는지?
CHAPTER 16 조직산소화, 경피산소분압 말고 다른 방법은?
경피산소분압(TcPO₂) 장비가 없는데 대안으로 사용할 수 있는 다른 방법은 없는지?
CHAPTER 17 조직산소화, 어떻게 높일까?
당뇨발에서 조직산소화를 높이기 위해 임상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치료법에는 무엇이 있는지?
CHAPTER 18 고압산소치료를 못 할 경우 대체 치료법은?
고압산소장비가 없거나 혹은 여러 가지 이유로 고압산소치료가 어려운 경우 대안으로 사용할 수 있는 다른 방법이 있는지?
CHAPTER 19 당뇨발 음압치료, 주의할 점은?
당뇨발에서 음압치료(NPWT)를 했는데 오히려 악화됐다. 당뇨발에서 음압치료를 할 때 주의할 점은 무엇인지?
CHAPTER 20 당뇨발 감염, 어떻게 진단하나?
일반창상의 경우 증상, 징후, 혈액검사소견 등으로 어렵지 않게 감염을 진단할 수 있는데, 당뇨발의 경우는 어떤지?
CHAPTER 21 세균배양검사 음성 = 감염 없음?
창상이 깨끗하지 않고 호전이 없어 임상적으로는 창상감염이나 세균부하가 높다고 판단된다. 감염 확인과 항생제 치료를 위해 세균배양검사를 했는데 음성이다. 검사결과와 임상소견이 엇갈릴 때 어떻게 판단하는지?
CHAPTER 22 창상을 수돗물로 씻어도 될까?
많은 의료진과 환자들이 창상이 오래돼서 지저분하고 냄새가 나는데도 불구하고, 감염의 우려 때문에 항균제만 사용하는데 비누와 수돗물로 닦아도 되는지?
CHAPTER 23 Surgical/sharp debridement, 제대로 하려면?
Surgical/sharp debridement를 효과적으로 시행하기 위한 원칙, 기구, 방법 등은?
CHAPTER 24 당뇨발 전용 신발, 필수일까?
당뇨발 환자는 신발이나 바닥의 압력손상을 피하기 위해 당뇨발 환자용 신발을 꼭 신어야 하는지?
CHAPTER 25 피부세포, 활성화하려면?
조직재생이 원활히 되도록 피부세포 기능을 활성화해야 하는데 임상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치료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