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수험서/자격증 > 공무원 수험서 > 교원임용시험 > 교육학
· ISBN : 9791171020782
· 쪽수 : 464쪽
· 출판일 : 2025-02-17
책 소개
목차
PART 1 교육철학
Contents
⋙ 교육학 점수를 키우기 위한 책 키위교육학
제1장 교육철학의 기초 4
01 교육철학의 개념과 의미 4
02 교육의 어원 5
03 교육의 성립조건 6
04 교육의 목적 16
제2장 지식과 교육 17
01 철학의 분류 17
02 인식론의 제 이론 18
제3장 전통철학과 교육 26
01 관념론(Idealism)과 교육 26
02 실재론(Realism)과 교육 27
03 자연주의(Naturalism)와 교육 28
04 실용주의(Pragmatism)와 교육 29
제4장 현대철학과 교육 31
01 진보주의 교육철학(Progressivism) 31
02 본질주의 교육철학(Essentialism) 37
03 항존주의 교육철학(Perennialism) 38
04 재건주의 교육철학(Reconstructionism) 40
제5장 20세기 후반의 교육철학 42
01 실존주의(existentialism) 42
02 구조주의(structuralism) 44
03 분석철학 45
04 포스트모더니즘(Postmodernism) 46
05 비판이론(critical theory) 49
06 현상학(phenomenology) 56
07 해석학(hermeneutics) 57
08 신자유주의와 교육 60
09 오크쇼트(Oakshott) 61
10 롤즈(Rawls)의 사회정의론 64
11 허스트(Hirst)의 실제적 교육철학 65
12 화이트(J. P. White)의 자율성 교육론 66
PART 2 교육사회학
제1장 교육사회학 이론 74
01 구조기능주의(Structural functionalism) 74
02 갈등론(Conflict Theory) 80
03 신교육사회학(New Sociology of Education) 94
04 기능론, 갈등론, 신교육사회학의 종합적 비교 105
제2장 사회이동과 교육 109
01 사회이동(Social mobility)의 개념 109
02 사회이동의 유형 109
03 사회이동과 교육체제 110
04 사회이동에 관한 두 관점 112
제3장 교육과 평등 116
01 교육기회균등의 의미 116
02 교육평등관의 유형 117
03 교육격차의 인과론 119
04 퍼셀(Persell)의 사회적 지배구조 모형 126
05 부르코버(Brookover)의 사회적 체제접근 모형 127
제4장 교육경쟁과 교육개혁 129
01 학력사회와 교육경쟁 129
02 입시제도와 시험 131
03 교육개혁의 이론과 과제 136
04 우리나라의 교육개혁 139
제5장 교육과 문화 141
01 문화의 개념 141
02 문화의 특성 141
03 문화변화와 교육 141
04 청소년 비행문화론 143
PART 3 교육심리학
제1장 교육심리학의 본질 152
01 교육의 정의 152
02 교육의 세 측면 153
03 교육심리학의 성격 153
04 주요 교육심리학의 이론 154
제2장 학습자의 지적 특성 156
01 지능과 지능검사 156
02 지능이론 159
03 창의력 171
04 인지양식과 초인지 185
제3장 학습자의 정의적 특성 189
01 동기(motivation) 189
02 학습동기 193
03 정서와 학습 209
04 동기와 학습의 관계 214
제4장 학습자의 발달 217
01 발달의 원리와 단계 217
02 인지 발달 이론 218
03 성격 발달 이론 239
04 도덕성 발달 이론 246
제5장 학습이론 252
01 학습의 개념 252
02 행동주의 학습이론 252
03 인지주의 학습이론 265
04 기억연구의 새로운 접근 274
05 망 각 284
06 학습의 전이 286
제6장 적응, 부적응과 정신위생 289
01 좌절(욕구불만) 289
02 갈등(conflict) 290
03 적응기제 291
PART 4 생활지도와 상담
제1장 생활지도의 기초 298
01 생활지도의 정의 298
02 생활지도의 목적 298
03 생활지도의 목표 298
04 생활지도의 성격 299
05 생활지도의 기본원리 299
06 생활지도의 실천원리 299
07 생활지도의 주요영역 300
제2장 상담의 활동 302
01 상담의 정의 302
02 상담의 목표 302
03 상담의 기본 조건 302
04 상담에서의 대화의 기법 303
05 상담의 기법 304
06 상담 시 교사의 준수사항 312
07 상담면접의 기술 312
제3장 상담이론 318
01 상담 기법에 따른 상담이론의 분류 318
02 상담영역에 따른 상담이론의 분류 319
03 상담이론 320
PART 5 교육연구법
제1장 교육연구의 기초 398
01 교육연구의 유형 398
제2장 교육연구의 실제 401
01 자료수집 방법 401
02 표 집 431
03 실험의 타당성 438
✔ 찾아보기(Index) 4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