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컴퓨터/모바일 > 인공지능
· ISBN : 9791173075247
· 쪽수 : 130쪽
· 출판일 : 2025-03-24
책 소개
목차
메타버스와 인공지능
01 메타버스와 인공지능의 융합
02 메타버스 활용 교육의 접근
03 인공지능 활용 교육의 접근
04 메타버스와 인공지능의 이론적 기저
05 메타버스와 인공지능의 생태계
06 메타버스와 인공지능 시대의 교수자 역량
07 메타버스와 인공지능 시대의 학습자 역량
08 메타버스와 인공지능 교육의 가능성
09 메타버스와 인공지능 교육의 주의점
10 지속 가능한 미래 교육을 위한 제언
저자소개
책속에서
잘파 세대는 스마트폰 대중화와 함께 성장하며, 디지털 환경이 곧 생활의 일부인 디지털 네이티브 세대다. 특히 메타버스와 인공지능 기술이 일상과 밀접하게 연결된 세상에서, 이들은 디지털 콘텐츠 소비뿐 아니라 생산에도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유튜브(YouTube)·틱톡(TikTok)·로블록스(Roblox) 등을 통해 크리에이터로서 수익을 창출하며 경제 활동을 하고, 그 안에서 소비까지 하는 크리에이터 이코노미(creator economy)를 주도하는 모습을 보여 주고 있다. 또한, 잘파 세대는 온라인 학습과 오프라인 교실을 넘나드는 혼합형 교육 환경에서 자라나며, 이러한 변화를 자연스럽게 받아들이는 세대가 되었다.
-01_“메타버스와 인공지능의 융합” 중에서
지능형 튜터링 시스템은 단계별 교수와 과제, 맞춤형 학습 경로를 계열화하고 실시간 맞춤형 피드백을 제공하는 것이 특징이다. 학습 위계와 지식의 구조화가 명확한 수학이나 과학 등과 같은 교과에서 주로 활용되고 있으며, 대표적인 사례로는 카네기 멜런 대학(Carnegie Mellon University)에서 개발한 매시아(MATHia), 뉴턴(Knewton)사에서 개발한 알타(Alta) 등이 있다. 대화형 튜터링 시스템(DBTS)은 지능형 튜터링 시스템(ITS)의 한 종류로, 학습자들을 학습 주체에 대한 대화에 참여시키는 방법이며, 대표적인 사례로는 일리노이 공과대학에서 만든 멤피스 대학에서 개발한 오토튜터(AutoTutor), IBM과 피어슨(Pearson)이 공동 개발한 왓슨튜터(Watson Tutor) 등이 있다.
-03_“인공지능 활용 교육의 접근” 중에서
교수자는 인공지능 전공자가 될 필요는 없지만, 인공지능의 기본 개념과 용어를 이해함으로써 복잡한 모델과 기술을 효과적으로 탐색하고 활용할 수 있어야 한다. 디지털 리터러시는 교수자가 변화하는 교육 패러다임 속에서 중심적 역할을 수행하며, 학습자들이 디지털 환경에서 정보를 비판적으로 평가하고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지도하는 데에 필요한 필수 역량이다. 특히, 메타버스와 인공지능 기반의 학습 도구를 통합적으로 설계하고 운영할 때 디지털 리터러시의 수준은 교수자의 교육적 성과와 직결된다.
-06_“메타버스와 인공지능 시대의 교수자 역량” 중에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