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범계열 > 교과교육론 > 예체능교육 전공
· ISBN : 9791174570956
· 쪽수 : 361쪽
· 출판일 : 2025-08-07
책 소개
플라잉디스크, 킨볼, 컬링, 스포츠 피구, 스내그 골프, 피클볼까지
교사와 학생이 함께하는 뉴스포츠 수업의 모든 것
교사와 학생이 함께 뛰며 배우는, 살아있는 체육수업의 설계도
《교사와 학생이 함께하는 뉴스포츠 수업》은 플라잉디스크, 킨볼, 컬링, 스포츠 피구, 스내그 골프, 피클볼 등 여섯 종목을 중심으로 뉴스포츠의 개념과 교육적 가치, 그리고 구체적인 수업 운영 방법을 다룬 실천적 안내서다. 저자는 오랜 시간 초등체육 현장과 예비교사 교육에서 쌓은 경험을 바탕으로, 학생들이 자율성과 배려, 책임감을 익히는 체육수업 모델을 제시한다. 책의 1부에서는 뉴스포츠의 개관과 교육적 가능성·한계를 분석하고, 효율적인 운영과 미래 체육교육 방향을 제시한다. 2부에서는 종목별 이해와 세부 수업 사례를 풍부하게 담아, 실제 수업 설계에 즉시 활용할 수 있도록 했다.
이 책의 강점은 ‘같이 움직이는 수업’의 구체적인 모습과 그 교육적 함의를 동시에 보여준다는 점이다. 단순히 새로운 종목을 소개하는 데 그치지 않고, 수업 전개 구조(이해-체험-소통 단계), 교수자의 피드백 방식, 변형 게임과 교구 활용, 학생들의 참여를 이끌어내는 전략 등 현장에서 마주치는 고민들을 세세하게 풀어낸다. 덕분에 체육 수업을 새롭게 기획하려는 교사뿐 아니라, 생활체육 지도자나 교육정책 담당자에게도 실용적인 시사점을 준다.
목차
머리말
제1부 뉴스포츠의 이해
제1장 뉴스포츠의 개관
1.뉴스포츠의 개념
2.뉴스포츠의 특징
제2장 뉴스포츠 수업의 교육적 가능성과 한계
1.뉴스포츠 수업의 교육적 가능성
가. 흥미와 만족감: 실(失) 지양, 득(得) 지향 정서
나. 참신성: 낯선 것에 대한 호기심
다. 몰입성: 동기유발을 통한 과제 참여의 지속성
라. 파급성: 동학년으로, 가정으로의 확산(擴散)
2. 뉴스포츠 수업의 교육적 한계
가. 흥미와 만족 본위로 체육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가?
나. 주관적 체험이 수업내용의 객관성을 보장하는가?
다. 학습자 중심의 활동에서 교사는 무엇을 하는가?
제3장 초등 예비교사교육자가 뉴스포츠 수업에서 주목한 내용 측면
1. 뉴스포츠의 내용 구성
가. 수업 운영에 관한 인지적 이해와 생각
나. 뉴스포츠 체험에 관한 이해와 생각
2. 뉴스포츠 강좌의 운영 방식
가. 이해 단계에서 주목한 내용과 생각
나. 체험 단계에서 주목한 내용과 생각
다. 소통 단계에서 주목한 내용과 생각
3. 교수자의 학습내용 전달 방식
가. 언어적 설명
나. 시범 보이기(교수자, 학습자)
다. 매체의 활용
4. 뉴스포츠 수업 주목하기에 관한 이해
제4장 효율적인 뉴스포츠 운영과 미래 학교체육
1. 효율적인 뉴스포츠 운영
가. 목표 중심의 수업 전개구조의 활용
나.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다. 축소형 신체활동의 활용
라. 학습 동기유발하기
마. 교수적 언어단서 활용하기
바. 학습자의 운동 내용발달
2. 미래의 체육교육
가. 체육의 역할
나. 미래 체육교육에서 주목해야 할 3가지 측면
다. 미래 체육교육의 교사상
제2부 뉴스포츠로 즐기는 체육수업의 실제
제5장 플라잉디스크
1. 플라잉디스크의 이해
가. 플라잉디스크의 역사
나. 플라잉디스크를 활용한 게임의 가치
다. 플라잉디스크 던지는 방법
2. 플라잉디스크를 활용한 체육수업
가. 플라잉디스크 던져 넣기
나. 플라잉디스크 표적 맞히기
다. 플라잉디스크 목표물 통과시키기
라. 플라잉디스크를 활용한 전통놀이
3. 디스크골프
가. 학교운동장을 활용한 골프코스
나. 기초기능 변형 게임
다. 디스크골프의 종류, 규칙 및 에티켓
4. 플라잉디스크를 활용한 다양한 활동
가. 얼티미트 게임
나. 더블 디스크 코트(Doble Disc Court)
다. 거츠(Guts)
제6장 킨볼
1. 킨볼의 이해
가. 킨볼의 창안 배경
나. 킨볼 게임의 교육적 의미
다. 킨볼 게임 방법
라. 킨볼 게임의 장비
마. 킨볼 게임의 점수 획득
바. 킨볼 게임의 효과
2. 킨볼을 활용한 체육수업
가. 핵심전술지도 계획
나. 단원지도계획
다. 차시별 수업활동소개
라. 평가 시트
제7장 컬링
1. 컬링의 이해
가. 컬링의 개요
나. 컬링의 특징
다. 컬링의 장비
라. 컬링의 경기 방법
2. 컬링을 활용한 체육수업
3. 의미와 즐거움이 넘치는 컬링 수업
제8장 스포츠 피구
1. 피구의 역사
2. 피구의 시설 및 장비
가. 피구 경기장의 규격
나. 피구경기의 장비
3. 피구의 기초기능
가. 공 잡는 방법
나. 공 던지는 방법
다. 공 받는 방법
라. 수비 시 공을 피하는 방법
4. 피구의 복합기능
가. 일대일 던지기
나. 삼각패스
다. 지그재그로 주고받기
라. 날아오는 공 피하기
마. 교구를 활용한 기능 익히기
5. 피구의 경기기능
가. 기본 공격 대형
나. 기본 수비 대형
다. 경기기능 간이 게임 하기
라. 실전 경기하기
6. 경기규칙 및 파울의 종류
가. 경기규칙
나. 파울의 종류
제9장 스내그 골프
1. 스내그 골프의 창안 배경
2. 스내그 골프의 의미
3. 스내그 골프의 목적
4. 스내그 골프의 장비
가. 스내그 교구(Playing Tools)
나. 스내그 훈련 교구(Training Tools)
다. 스내그 타깃 교구(Target Tools)
라. 스내그 플레이를 위한 안전사항
5. 스내그 골프의 경기 방식
가. 스트로크 플레이
나. 매치 플레이
다. 포섬, 포볼매치
6. 스내그 골프의 코스설계
가. 파3
나. 파4
다. 파5
7. 스내그 골프의 규칙
8. 스내그 골프의 경기 용어
제10장 피클볼
1. 피클볼의 의미
2. 피클볼의 어원
3. 피클볼의 역사
4. 피클볼의 성장
5. 코트와 장비
가. 코트
나. 네트
다. 공
라. 패들
6. 게임의 규칙
가. 선수 위치
나. 스코어 발표
다. 논 발리 존(Non-Volley Zone)
라. 서브의 규칙
마. 투 바운스 규칙
바. 경기의 진행
사. 점수
아. 발리 불가 지역
자. 타임아웃
차. 기타 규칙
카. 경기복장
제11장 뉴스포츠 구안하기
1. 뉴스포츠 종목
2. 뉴스포츠 수업 배경
3. 수업 실천
가. 수업 실천의 특징
나. 수업 목표와 방법
다. 교육과정 탐색
라. 교육과정 재구성
마. 수업의 흐름 및 판서계획
바. 수업지도안의 특징
사. 교수·학습과정안
아. 본시 배움 활동 과정 평가계획
4. 수업 후기
부록 체육과 교수·학습과정안(디스크골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