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고등학교참고서 > 논술/면접/수시 > 구술면접
· ISBN : 9791185025360
· 쪽수 : 552쪽
· 출판일 : 2017-07-05
책 소개
목차
들어가며 - 4
개인과 사회 - 11
1) ‘긍정적사고’의 문제와 ‘부정적 사고’의 한계 - 12
2) 도덕적 개인이 왜 비도덕적 사회를 만들까? - 25
사회문제론 - 43
3) ‘저 출산 고령화’를 어떻게 해결할 것인가? -42
4) 변화하는 사회 - 이민과 가족 - 63
자유론 - 89
5) 자유는 왜 버거운 짐인가? - 90
정의론 - 109
6) 분배의 공정성, 정의의 실현 -110
7) 사회 불평등 현상으로서의 카스트제도 -125
자유와 평등 - 143
8) 쏠림, 사회적 차별과 배제 - 144
정치 (국가) - 165
9) 대의 민주주의의 위기 - 166
10) 사회적 합의로서 법 VS 양심적 불복종 - 181
경제 - 202
11) 행동경제학 - 202
세계화 - 221
12) 세계화가 초래하는 사회문제 - 222
13) 시장의 실패, 공유지의 비극 - 239
기술과 사회 - 253
14) 로봇기술이 초래하는 미래사회 - 254
15) 가상공간이 가져 온 사회변화 - 269
윤리학 - 287
16) 윤리의 기원으로서 연민 - 288
17) ‘연민’과‘폭력’의 공통점과 차이점 - 302
18) 국제구호의 실효성과 한계 - 314
환경운동 - 331
19) 인간과 자연 - 332
20) 동물윤리 - 348
철학 - 367
21) 죽음 - 368
22) 행복-의미 있는 삶이란? - 381
23) 지식의 두 가지 근원 : 경험과 이성 - 398
지식론 - 417
24) 지식, 지식인이란? -418
25) 인문학과 과학의 차이 - 436
언어와 사고 - 453
26) 언어와 사회와의 관계 - 454
27) 빈말과 거짓말의 본질적인 차이는 어디에 있는가 ? - 457
문화이론 - 489
28) 서양과 동양, 그 세계관의 차이 - 490
29) 타자와의 관계, 관용이 갖는 한계 - 508
30) ‘문화접변’의 다양한 현상과 유형 -525
저자소개
책속에서
1) 긍정적 사고의 문제와 부정적 사고의 한계
서울대2015학년 인문학 구술면접
오후 자유전공학부 (제시문2)2-1
오후 인문대학, 사회과학대학(경제학부 제외), 사범대학(수학교육과 제외)(제시문2)2-1,2-2
제시문 2) 정적 사고는 성공이 선한 사람에게 주어지는 보상이고, 실패가 구조적인 조건이 아니라 나쁜 태도의 결과라고 믿고 싶은 욕망에서 비롯되는 집단적인 환상이다. 우리 사회에서 긍정적인 사고는 종종 부를 획득하고 성공을 이루며 질병을 극복하는 비결로 제시 된다.......
문제2-1) 본인이 읽은 책에서 적적한 인물 하나를 예를 들어서, 위 제시문에서 규정하는 ‘긍정적 사고’를 하는 사람괴 ‘부정적 사고’를 하는 사람이 각각 그 인물의 삶을 어떻게 평가할지 설명하시오.
문제2-2) 위 제시문은 ‘긍정적 사고’의 문제점과 ‘부정적 사고’의 이점을 부각시킨다. ‘부정적 사고’에는 어떤 문제점이 있을 수 있는지 설명하시오.
논제해설
제시문 분석
이 제시문은 낙관주의의 근간을 이루는 ‘긍정적 사고’의 문제점을 지적하고, ‘부정적 사고’를 그 대안으로 내세운다. 제시문에 따르면 ‘긍정적 사고’와‘부정적 사고’는 다음과 같은 함의를 지닌다.
문제2-1해설
인문학 문제의 제시문2는 긍정적 사고의와 부정적 사고를 설명하는 글이다. 문제2-1에서는 자신이 읽은 책에서 한 인물을 찾아 긍정적 사고를 하는 사람과 부정적 사고를 하는 사람의 관점에서 각각 평가 하라는 것이다.
문제 2-2해설
문제 2-2에서는 부정적 사고의 문제점을 들라고 하였다. 부정적 사고는 개인이나 사회의 문제를 개인이 아닌 사회 구조의 관점에서 찾으려 한다는 점에서 사회개혁의 원동력이 될 수 있다.
예상 답안
문제 2-1 답안
제시문2에서 말하는 ‘긍정적 사고’는 “성공과 실패는 사회구조가 아니라 바로 개인에게 달려 있다”고 본다, 즉 성공은 개인의 선함에 대한 보상이고, 실패는 나쁜 태도의 경과이다.
문제2-2 답안
‘부정적 사고’란 우리 사회의 성공과 실패의 원인을 개인적 차원이 아닌 사회 구조에서 찾으려한다 이러한 부정적 사고는 결과적으로 사회 구조의 변화를 통하여 더 나은 사회로의 개선을 가져온다는 장점이 있다.
배경지식
‘긍정적 사고’와‘부정적 사고’에 대한 이 시험의 주제는 이와 같은 ‘사고’를 결정 하는 요인이 바로 ‘개인의 의’인지 ‘사회구조’ 인지를 물어 보고 있다.
관련 문제
2007학년도 수시 2학기 외대 논술 기출문제
다음 제시문 A,B,C를 읽고 문제1과 문제2에 답하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