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수험서/자격증 > 공무원 수험서 > 7/9급 공무원 > 국어 > 7/9급 기본서 및 부교재
· ISBN : 9791185235226
· 쪽수 : 1739쪽
· 출판일 : 2013-10-05
책 소개
목차
1권
제1편 현대 문법
제1장 현대 문법 8
01 언어와 국어 8
언어의 본질 8
1. 언어의 본질과 특성 8
2. 언어와 인간 18
3. 국어와 한글 20
어휘적 언어 순화의 대상 34
참고자료 38
1. 일본어의 순화된 우리말 · 38
2. 북한의 문화어 42
3. 국립국어원 권장 순화어 · 44
4. 숫자와 단위를 나타내는 우리말 48
5. 24절기와 일기에 관계 있는 속담 52
기출문제 풀이 55
02 국어문법 66
음운론 66
1. 음성과 음운 66
2. 국어의 음운 67
3. 국어의 음운 체계 67
4. 국어의 음운(音韻)의 변동(變動) 74
5. 음운의 동화 78
6. 음운의 축약과 탈락 81
7. 사잇소리 현상 83
8. 그 외 여러 음운 현상 87
형태론 90
1. 말의 단위 90
2. 단어의 형성 91
3. 용언(用言, 동사·형용사) 103
4. 체언(體言, 명사·대명사·수사) 112
5. 수식언(修飾言, 관형사·부사) 121
6. 독립언(獨立言, 감탄사) 122
통사론 123
1. 문 장 123
2. 문법 요소의 기능과 의미 129
3. 문장의 이해 139
의미론 144
1. 언어의 의미 144
2. 의미의 종류 144
3. 단어 간의 의미 관계 145
4. 중의적 표현 150
5. 지시어와 접속어 151
이야기론 152
1. 발 화 152
2. 이야기 154
기출문제 풀이 155
제2편 국어 규범
제1장 국어 규범 172
01 국어 규범의 여러 영역 172
표준어 규정 172
추가된 표준어(2011. 8. 31.) 192
복수 표준어 정리 195
표준발음법 197
한글맞춤법 209
틀리기 쉬운 어휘 정리 234
어문 규정 정리 241
문장부호론 256
문장부호 정리 256
로마자표기법 265
외래어표기법 269
외래어 바른 표기 277
기출문제 풀이 285
2권
제1편 말과 글
제1장 말 문장 다듬기 8
01 말 다듬기 8
말 다듬기의 중요성 8
어법에 어긋난 말 바로잡기 8
02 문장 다듬기 15
생략된 문장 성분 보충하기 15
불필요한 문장 성분 삭제하기 15
문장 성분을 자연스럽게 호응시키기 16
관형화 명사화 구성을 바르게 하기 19
정확한 의미를 알 수 없는 문장 유형 20
외래 어법이 쓰인 문장 다듬기 21
03 독해 능력 기르기 23
화제와 제한 진술 23
문장 독해 ·· 24
단락 독해 ·· 38
제2장 비문의 유형 60
언어 규범에 맞지 않아 비문이 되는 경우 60
성분의 호응이 바르지 못한 경우 68
중복된 표현 80
중의적 표현 81
제3장 글의 논리적 이해 84
01 글의 진술 방식과 전개 방식 84
글의 진술 방식 84
글의 전개 방식 89
02 추리의 방법 105
논증의 전개 105
추리(추론)의 종류 111
추론의 오류 118
추리의 문제 유형 130
03 여러 가지 글의 독해 134
논설문 134
주요 논설문의 독해 143
기미 독립 선언서(己未獨立宣言書) 143 / 나의 소원 156 / 유재론
(遺材論) 159 / 기예론 161 / 현대 과학은 환경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가 164 / 독서와 인생 167 / 민족 문화의 전통과 계승 170 /
간디의 물레 173 / 황소개구리와 우리말 176 / 민주주의 한국의 청
사진 179 / 건축과 동양정신 181
정보 전달을 위한 글 - 설명문, 기행문 185
주요 설명문과 기행문 ··········· 188
정보 사회와 인간 생활 188 / 한국 축제의 역사 191 / 인간의 특징
193 / 불국사 기행 195 / 산정무한 197
실용적인 글 - 기사문, 광고문, 공문, 연설문, 보고문 ··· 201
개인적인 글 - 일기문, 서간문, 전기문 208
주요 실용적인 글의 독해 212
잊지 못할 윤동주 212 / 역사 앞에서 215 / 매헌에게 주는 글 217
/ 유배지에서 보낸 편지 219 / 독립신문 창간사 221
제4장 계촌법 224
친족(親族) · 224
촌수(寸數) · 224
촌수 계산법 224
친족의 계보와 촌수 225
친척 관계를 말하는 법 ········ 225
제5장 언어예절 226
01 호칭어와 지칭어 226
가정에서의 호칭, 지칭 226
사회에서의 호칭, 지칭 248
02 경어법 ·············· 253
가정에서 253
직장, 사회에서 255
03 일상생활의 인사말 256
전화 예절 ·· 256
소개할 때 ·· 257
04 특정한 때의 인사말 259
연말연시 259
생일 축하 ·· 259
축하, 위로 · 260
문 상 ·········· 261
건배할 때 ·· 261
05 서 식 ················ 262
편지(봉투 쓰는 법) 262
연하장 262
결혼 청첩장 263
기출문제 풀이 264
3권
제1편 현대 문학
제1장 문학 일반론 ············ 8
문학이론 8
문학의 기능 ·············· 9
문학의 갈래 ·············· 10
문학의 가치 ·············· 14
문학의 수용과 문예사조 15
제2장 현대 문학사 ············ 18
개화기 문학 ·············· 18
1910년대 문학(1908~1919) ··········· 22
1920년대 문학(1919~1930) ··········· 26
1930년대 문학(1930~해방) 35
1940년대 문학 43
1950년대 문학 47
1960년대 문학 51
1970 80년대 문학 59
제3장 문학의 주요 갈래 68
시의 이해 68
시 작품의 실제 91
깃발 91 / 추천사 92 / 바다와 나비 93 / 성북동 비둘기 94 / 새 96 / 가을
에 97 / 초혼 100 / 이별가 102 / 하관 104 / 봄비 106 / 유리창 108 /
은수저 110 / 눈물 111 / 향수 112 / 고향 114 / 고향 115 / 그 먼 나라를 알
으십니까 116 / 아직 촛불을 켤 때가 아닙니다 118 / 남으로 창을 내겠소 121
/ 청노루 122 / 꽃 123 / 꽃을 위한 서시 124 / 오렌지 125 / 과목 127 /
풍장 128 / 와사등 131 / 추일서정(秋日抒情) 132 / 외인촌 134 / 오감도
(烏瞰圖) 136 / 거울 138 / 위독(危篤) 139 / 접동새 140 / 귀촉도 141 /
석문 142 / 광야 143 / 교목 145 / 참회록 146 / 쉽게 씌어진 시 147 / 길
149 / 낡은 집 152 / 여승 154 / 껍데기는 가라 155 / 폭포 158 / 풀 160 /
타는 목마름으로 161 / 벼 164
시(詩) 더 보기 ········· 167
일월 167 / 문의 마을에 가서 169 / 즐거운 편지 171
소설의 이해 172
소설 작품의 실제 191
혈(血)의 누(漏) 191 / 금수회의록 194 / 무정(無情) 196 / 만세전 198 / 운수
좋은 날 201 / 감자 203 / 홍염 207 / 화랑의 후예 211 / 삼대(三代) 214 /
두 파산 216 / 소설가 구보 씨의 일일 218 / 천변풍경 221 / 날개 223 / 봄봄 225 / 메밀꽃 필 무렵 227 / 사하촌 229 / 수라도 233 / 복덕방 236 / 치숙
(痴叔) 239 / 태평천하 243 / 미스터 방 247 / 유예 251 / 요한시집 255 /
오발탄 258 / 닳아지는 살들 261 / 광장 264 / 서울, 1964년 겨울 268 / 난쟁이
가 쏘아올린 작은 공 270 / 삼포 가는 길 275 / 장마 277 / 우리들의 일그러진
영웅 280 / 그 여자네 집 283 / 눈길 287
희곡과 시나리오의 이해 292
희곡 작품의 실제 300
토막(土幕) 300 / 불모지(不毛地) 305 / 원고지 308 / 살아있는 이중생 각하 311 / 파수꾼 314 / 어느 날 심장이 말했다 317 / 만선 320
수필의 이해 324
수필 작품의 실제 327
그믐달 327 / 딸깍발이 329 / 구두 331 / 꼴찌에게 보내는 갈채 334 / 은전 한
닢 337 / 권태 340 / 마고자 342 / 달밤 343 / 헛기침으로 백 마디 말을 한
다 345 / 두꺼비 연적을 산 이야기 347 / 피딴문답(皮蛋問答) 349 / 특급품
351
기출문제 풀이 ··········· 354
4권
제1편 고전 문법
제1장 고전 문법 개요 · 10
01 고전 문법 읽기 10
고전시가 읽기 요령 10
상투적 표현 이해하기 13
고전 읽기 필수어휘 15
제2장 고전 문법의 이해 22
01 국어가 걸어온 길 22
고대국어(古代國語) 22
중세국어(中世國語) 24
근대국어의 의의 및 특징 25
02 고전 문법 26
문자(文字) · 26
표기법 ········· 30
음 운 ·········· 32
단어(單語) · 34
체언의 형태 바꿈 38
용 언 ·········· 40
중세국어의 관형사, 부사, 감탄사 44
03 고전 문법으로 문헌 읽기 45
훈민정음(訓民正音) 어지 45 / 소학언해(小學諺解) 48 / 동국신속삼강행실
도(東國新續三綱行實圖) 51 / 노걸대언해(老乞大諺解) 53
제2편 고전 문학
제1장 고전 문학의 이해 56
01 한국 문학의 본질 56
02 고대의 문화와 문학 57
고대의 문학 57
고대문학 작품의 실제 60
1. 고대가요 60
작품의 실제 63
구지가(龜旨歌) 63 / 공무도하가(公無渡河歌) 65 / 황조가(黃鳥歌)
66 / 정읍사(井邑詞) 67
2. 설 화 ··········· 70
단군신화 70 / 용소와 며느리 바위 74 / 조신지몽 78
3. 향 가 ··········· 81
작품의 실제 83
서동요 83 / 도솔가 84 / 모죽지랑가 85 / 처용가 87 / 찬기파랑
가 89 / 제망매가 90 / 안민가 91 / 원왕생가 92
4. 삼국시대의 한문학 93
작품의 실제 95
여수장우중문시(與隋將于仲文詩) 95 / 제가야산독서당(題伽倻山
讀書堂) 96 / 추야우중(秋夜雨中) 97 / 야청도의성(夜聽 衣聲)
98 / 화왕계(花王戒) 100
고려 시대의 문학 104
1. 고려가요 104
작품의 실제 107
정과정(鄭瓜亭) 107 / 도이장가(悼二將歌) 108 / 가시리 109 / 청산
별곡 111 / 서경별곡 113 / 정석가 115 / 동동 118 / 처용가(處容歌)
121 / 사모곡 122 / 상저가(相杵歌) 123 / 쌍화점 124 / 이상곡
(履霜曲) 127 / 만전춘(만전춘별사, 滿殿春別詞) 128
2. 경기체가 131
작품의 실제 134
한림별곡 134 / 죽계별곡 136 / 관동별곡 137
3. 한시(漢詩) ·· 139
작품의 실제 140
송인(送人) 140 / 부벽루(浮碧樓) 141 / 사리화(沙里花) 142 / 절화
행 143
4. 패관문학(稗官文學) 144
작품의 실제 146
경설 146 / 슬견설 147 / 이옥설(理屋說) 149 / 방선부(放蟬賦)
151 / 차마설(借馬說) 152
5. 가전체 문학 155
작품의 실제 157
공방전(孔方傳) 157 / 국선생전(麴先生傳) 159
조선 시대의 문학 162
1. 악 장 ·········· 162
작품의 실제 164
용비어천가(龍飛御天歌) 164 / 월인천강지곡(月印千江之曲)
169 / 신도가(新都歌) 170
2. 시 조 171
작품의 실제 172
⑴ 고려 말 시조 172
이화(梨花)에 월백(月白)하고 172 / 춘산(春山)에 눈 녹인 바람 173
/ 한 손에 막대 잡고 173 / 백설(白雪)이 자자진 골에 174 / 구룸이
무심(無心) 말이 174 / 가마귀 싸우는 골에 175
⑵ 조선 시조 176
오백년(五百年) 도읍지(都邑地)를 176 / 흥망이 유수하니 177 /
선인교(仙人橋) 나린 믈이 178 / 대쵸 볼 불근 골에 179 / 말 업슨 청산
(靑山)이요 180 / 십년을 경영하여 180 / 재너머 성궐롱 집에 182
/ 추강에 밤이 드니 182 / 두류산(頭流山) 양단수(兩端水)를 183 /
청산(靑山)도 절로절로 183 / 마음이 어린 후(後)니 184 / 이화우 흩날
릴 때 185 / 묏버들 골라 것거 186 / 동짓달 기나긴 밤을 186 / 청산
리(靑山裏) 벽계수(碧溪水)야 187 / 어져 내일이야 188 / 눈 맞아 휘
어진 대나무를 189 / 수양산 바라보며 190 / 삼동에 뵈옷 닙고 190
/ 풍상이 섯거 친 날에 191 / 오리의 짧은 다리 192 / 천만리 머나먼
곳에 192 / 가노라 삼각산아 193 / 국화야, 너는 어찌 193 / 뉘라셔
가마귀를 194 / 동기(同氣)로 세 몸 되어 195 / 강호사시가(江湖四時
歌) 195 / 도산십이곡 197 / 훈민가(訓民歌) 198 / 견회요(遣懷謠)
200 / 어부사시사(漁父四時詞) 203 / 오우가(五友歌) 206 / 매화사
(梅花詞) 208 / 조홍시가(早紅 歌) 209 / 님이 오마 하거늘 210 /
두터비 파리를 물고 211 / 싀어마님 며늘아기 낫바 212 / 개야미 불개
야미 213 / 댁(宅)들에 동난지이 사오 214 / 귓도리 져 귓도리 214 /
나모도 바히돌도 215 / 창 내고쟈 창을 내고쟈 215 / 장진주사(將進酒辭)
216 / 바람도 쉬여 넘는 고개 216 / 발가버슨 兒孩(아해)ㅣ들리 217
3. 가 사 219
작품의 실제 223
상춘곡(常春曲) 223 / 면앙정가( 仰亭歌) 226 / 관동별곡(關東別
曲) 230 / 사미인곡(思美人曲) 242 / 속미인곡(續美人曲) 248 /
규원가(閨怨歌) 252 / 누항사(陋巷詞) 254
4. 민 요 258
작품의 실제 259
논매기 노래 259 / 시집살이 노래 261
5. 잡 가 264
작품의 실제 265
유산가(遊山歌) 265
6. 고대소설 269
작품의 실제 274
금오신화(金鰲新話) 274 / 홍길동전(洪吉童傳) 277 / 구운몽(九雲
夢) 280 / 양반전(兩班傳) 283 / 허생전(許生傳) 285 / 호질(虎
叱) 289 / 장끼전 292
7. 고대수필(古代隨筆) 294
작품의 실제 296
서포만필 296 / 동명일기 298 / 조침문 300 / 규중칠우쟁론기(閨中
七友爭論記) 302
8. 한문학 305
절명시(絶命詩) 305 / 탐진촌요(耽津村謠) 306 / 타맥행(打麥行)
307
9. 판소리 309
10. 민속극 311
작품의 실제 313
봉산탈춤 313 / 춘향전 316
기출문제 풀이 321
5권
제1편 어휘 및 한자Ⅰ
제1장 어휘 및 한자 8
01 고유어와 한자어 8
단 위 8
날씨와 바람 9
시간과 절기 10
여러 가지 호칭 11
필수 고유어 13
02 한자의 이해 39
한자의 짜임 39
한자어의 짜임 40
필수 한자어 42
기출문제 풀이 121
제2편 어휘 및 한자Ⅱ
제1장 어 휘 144
01 신체 관련 관용구 144
02 관용구 162
03 속 담 165
제2장 한 자 192
01 교과서 한자어 및 시사 한자어 192
02 주제별 한자성어 257
제3장 한문(漢文) 304
01 한문의 이해 304
한문의 이해 304
한문의 구조 304
수사법 307
허자의 쓰임 309
02 명문 풀이 3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