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의약학간호계열 > 임상의학 > 영상의학과
· ISBN : 9791185658841
· 쪽수 : 482쪽
· 출판일 : 2025-05-28
책 소개
목차
I. 상부소화관 ESD 준비
Section 1 시술 관리 _ 2
Section 2 고주파 장치의 설정 _ 10
Section 3 내시경 선택 _ 20
Section 4 처치기구 선택 _ 23
II. 식도
STEP UP ESD
1. 기초 ESD
[도달목표]
1. 식도 ESD는 ‘머리를 활용한’ 전략으로 _ 30
2. 병변 주위의 마킹 요령과 주의사항 _ 32
3. 기구 처리 요령 _ 34
4. 스코프 처리 _ 37
5. 국소주사의 요령_ 39
6. 지혈의 요령 _ 41
2. 초급 ESD
[도달목표]
7. 종점 만들기의 요령 _ 43
8. 변연 트리밍의 요령 _ 45
[증례]
1. 중부식도(중력 반대측) ~C자 절개란?~ 47
2. 중부식도 ~원주 1/2정도의 병변~ _ 51
3. 중급 ESD
[도달목표]
9. 생리적 협착부(벽외압박 포함) 병변에서의 고려와 주의사항 _ 55
10. 터널 만드는 법 _ 57
[증례]
3. 경부식도 _ 60
4. 식도 위 접합부 병변(주로 Barrett 식도선암) _ 64
5. 식도아전주성 병변 _ 68
6. 식도 전주성 병변 _ 72
7. 식도 전주성 병변 (2) _ 77
4. 상급 ESD
[도달목표]
11. CRT 후 증례 _ 81
12. 식도 ESD의 어려운 예(고도의 섬유화, 게실) _ 85
[증례]
8. CRT 배경에서 생긴 이소성 식도암 _ 93
9. 식도정맥류를 합병한 식도암 증례 _ 97
10. 고도의 반흔 예 ~CRT 후ESD 중단 증례~ _ 102
Trouble Shooting
Section 1 작은 근층 손상에서 천공까지
[증례]
11. 작은 근층 손상 _ 109
12. 천공과 광범위한 근층 손상 _ 111
Section 2 지연 출혈
[증례]
13. 지연 출혈 _ 115
Section 3 지연 천공
[증례]
14. 지연 천공 ① _ 118
15. 지연 천공 ② _ 122
Section 4 포기해야 할 때[증례]
16. ESD 후 궤양 반흔에 위치한 병변 _ 125
특별편
Section 1 얼룩 식도를 어떻게 할까 _ 129
Section 2 식도 ESD 후 협착에 대하여 _ 133
Section 3 협착 해결 _ 137
III. 위
STEP UP ESD
1. 기초 ESD
[도달목표]
1. 병변 주위로의 마킹 _ 146
2. IT계 또는 선단계? ~프리컷까지~ _ 148
3. 국소주사의 요령 ~엄선한 국소주사란?~ _ 151
4. 변연절개의 포인트 _ 155
5. 박리 요령 ~최적거리란?~ _ 157
6. 박리 요령 ~테두리(엣지) 잡기~ _ 159
7. 박리 요령 ~시작점과 종점을 조절하다~ _ 161
8. 박리 요령 ~이 점막하층은 절개모드? 응고모드?~ _ 163
9. 지혈 비법 _ 166
10. 병변에 대한 접근 ~정방향(내려다보기)인가, 반전인가~ _ 169
2. 초급 ESD
[도달목표]
11. 트리밍의 의의와 요령 _ 171
12. 스코프를 안정시키기 위해서 _ 173
13. 주름을 만들지 않는다 _ 175
[증례]
1. 전정부 전벽 _ 178
2. 전정부 소만 _ 182
3. 위각 전벽 _ 186
4. 전정부 대만 _ 190
5. 체하부 소만 _ 194
3. 중급 ESD
[도달목표]
14. 지방이 많은 부위의 대처 _ 198
15. 스코프가 닿지 않을 때 _ 199
16. 대만 처리란? _ 200
17. 호흡성 변동에 대한 대책 _ 201
18. 천통지, 두꺼운 동맥이 보인다면? _ 202
[증례]
6. 체중부 소만 _ 203
7. 체하부 대만 _ 207
8. 분문부 _ 211
9. 체상부 전벽_ 214
10. 체상부 후벽 _ 218
4. 상급 ESD
[도달목표]
19. 고도의 섬유화 대책 _ 221
20. 대형 병변에 대한 대책_ 226
21. 유문 병변에 대한 대책 _ 233
[증례]
11. 대형 병변 _ 237
12. 궁륭부 _ 248
13. 체상부 대만 _ 257
14. 반흔_ 262
15. 유문에 걸쳐 있는 병변 _ 269
16. 잔위의 ESD _ 27
Trouble Shooting
Section 1 치료 중의 고도 출혈
[증례] 17. 고도 출혈 _ 289
Section 2 지연 출혈
[증례] 18. 지연 출혈 _ 294
Section 3 시술 중 천공
[증례] 19. 시술 중 천공 ① _ 297
[증례] 20. 시술 중 천공 ② _ 300
[증례] 21. 시술 중 천공 ③ _ 303
Section 4 지연 천공
[증례] 22. 지연 천공 ① _ 310
[증례] 23. 지연 천공 ② _ 313
[증례] 24. 지연 천공 ③ _ 316
[증례] 25. 지연 천공 ④ _ 319
[증례] 26. 지연 천공 ⑤ _ 320
Section 5 포기하는 순간을 알다.
[증례] 27. 보존적으로 경과를 지켜보기 어렵다고 판단한 증례 _ 323
특별편
Section 1 Hybrid ESD_ 327
Section 2 경비내시경을 이용한 ESD _ 330
Section 3 트랙션법_ 337
[증례] 28. 실이 부착된 클립에 의한 트랙션 _ 339
[증례] 29. 고리실에 의한 트랙션 _ 342
IV. 십이지장
기본지식
Section 1 치료방침 _ 348
Section 2 봉합의 의의 및 중요성 _ 352
Section 3 봉합 술기와 방법 _ 353
Section 4 우발증 요약 _ 359
Section 5 적응 외 병변 _ 361
Section 6 시술 관리 _ 363
Section 7 ESD를 언제부터 시작하면 좋을까? _ 367
STEP UP ESD
1. 기초 ESD
[도달목표]
1. 적절한 치료전략을 세울 수 있다. _ 368
2. 봉합 전략 _ 371
3. 마킹_ 374
4. 출혈에 대한 대응 _ 377
2. 초급 ESD
[도달목표]
5. 신속하게 플랩 형성(처음이 중요) _ 379
6. 무리하게 진입하지 않는다. _ 381
[증례]
1. 하행각 후벽 _ 383
2. 하행각 외측 _ 389
3. 중급 ESD
[도달목표]
7. 생검에 의한 섬유화 대책 _ 394
8. 심부에서 조작성이 나쁠 때의 대책 ~하부 스코프~ _ 396
9. 위아래를 뒤집는다 ~ 위에서 아래로~ _ 398
10. 수직으로 대치하는 병변 _ 400
11. 커다란 궤양 바닥의 봉합 _ 402
12. 구부는 봉합할 것인가?_ 404
[증례]
3. 구부 _ 407
4. 하행각 내측(췌장 측) _ 413
5. 수평각 _ 419
4. 상급 ESD
[도달목표]
13. 거대 병변에 대한 대책 _ 425
14. 광범위한 섬유화 병변의 대책 _ 428
15. 배액관을 넣을까? 넣지 않을까? _ 430
[증례]
6. 크기가 큰 병변_ 433
7. 아전주성(3/4바퀴 이상)의 병변 _ 438
8. 유두 근방 병변_ 444
9. 거대한 융기성 병변 _ 450
Trouble Shooting
Section 1 시술 중 출혈
[증례] 10. 시술 중 출혈_ 455
Section 2 지연 출혈
[증례] 11. 지연 출혈 _ 458
Section 3 시술 중 천공
[증례] 12. 시술 중 천공 _ 462
Section 4 지연 천공
[증례] 13. 지연 천공 _ 468
Section 5 OTSC 문제
[증례] 14. 술기 실패로 인한 문제 _ 473
[증례] 15. OTSC의 물리적 요인에 의한 문제 _ 476
Section 6 포기해야 할 증례
[증례] 16. 시술 중 중단 검토 _ 478
[증례] 17. 내시경 치료 적응 외 _ 47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