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컴퓨터/모바일 > 프로그래밍 개발/방법론 > 네트워크 프로그래밍
· ISBN : 9791185890081
· 쪽수 : 308쪽
· 출판일 : 2014-10-31
책 소개
목차
chapter 1 네트워크 전반에 대한 이해 1
1-1 누구를 위한 네크워크인가? 2
누가 네트워크를 사용하는가? 2
네트워크를 어디에 사용하나? 2
서비스 프로바이더 네트워크 5
정리 6
1-2 네트워크 형태 7
LAN/WAN/MAN 7
인트라넷(사내 인트라넷) 8
정리 10
1-3 일반적인 네트워크 구성 11
네트워크의 전체 구성 11
소규모 거점 네트워크 13
중규모 거점 네트워크 15
대규모 거점 네트워크 17
정리 20
chapter 2 LAN 초보 입문 21
2-1 OSI 기본 참조 모델 22
통신을 위한 대전제 22
OSI 기본 참조 모델 24
정리 27
2-2 LAN 28
네트워크 전체에서의 LAN의 위치 28
LAN의 구성 요소 28
LAN의 배선 32
정리 36
2-3 IP 주소 37
네트워크 기기에 주소를 할당 37
IP 주소의 클래스 39
할당할 수 없는 주소 41
특수 용도의 주소 42
서브넷 마스크 44
공인 주소와 사설 주소 47
정리 50
2-4 IPv6 51
IPv6의 개요 51
IPv6 주소 표기 52
정리 53
chapter 3 WAN 초보 입문 55
3-1 WAN이란? 56
‘외부’와의 접속 56
누가 운용, 관리하고 서비스 제공을 하는 걸까? 57
네트워크의 연속성을 고려한 WAN 구성 57
정리 59
3-2 WAN에서의 등장인물 60
WAN으로 연결하기 위한 ‘건물 내 설치(액세스 라우터)’ 61
WAN과 LAN의 전송 방식을 변환하는 ‘회선 종단 장치’ 63
WAN의 회선 ‘액세스 회선’ 67
고속도로 ‘WAN 중계망’ 68
정리 69
3-3 WAN 회선 서비스 71
통신 사업자가 제공하는 통신망 71
인터넷망 77
정리 78
chapter 4 스위치 초보 입문 81
4-1 스위치 설명에 들어가기 전에 82
앞으로의 각오 82
정리 85
4-2 리피터 허브와 브릿지 86
CSMA/CD 방식 87
콜리전 도메인 89
콜리전 도메인을 분할할 수 있는 브릿지 90
정리 92
4-3 먼저 스위치의 기본을 이해하자 93
리피터 허브와의 차이 93
브릿지에서 스위치로 94
이것만은 기억하자! 스위치의 포인트 95
정리 102
4-4 조직 분리 - 당신이라면 어떻게 처리할까?(VLAN) 103
VLAN과 브로드캐스트 도메인 104
트렁크 링크로 하나의 케이블에 여러 VLAN 프레임을 사용 106
VLAN 간의 통신 108
정리 109
4-5 여러 가지 스위치 종류 111
IP의 개념이 들어 있는 레이어3 스위치 111
네트워크 부하를 분산하는 로드 밸런서(레이어4~7 스위치) 114
정리 118
4-6 이중화로 네트워크의 신뢰성을 높인다 119
스위치 본체의 이중화 120
스위치 단일 구성 123
스패닝 트리 프로토콜을 사용하지 않는 이중화 방법이 메인 124
정리 126
chapter 5 라우터 초보 입문 127
5-1 네트워크 전체에서의 라우터 위치 128
소규모 거점에서의 라우터는 가장 중요한 기기 129
중/대규모 거점에서의 라우터는 네트워크 간의
다리 역할에 치중 130
정리 132
5-2 라우터의 역할과 기본 원리 133
라우터는 네트워크 계층에 해당하는 기기 133
라우팅 133
라우팅 프로토콜 137
일치하는 라우팅 정보가 없을 때 할당되는 경로 143
다른 LAN 간의 접속 144
정리 145
5-3 라우터에도 종류가 있다 146
서비스 프로바이더용 네트워크에는 성능이 가장
좋은 라우터를 선택 147
WAN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라우터 148
건물 내에서의 라우터는 레이어3 스위치 151
그 외의 라우터 종류 152
정리 153
5-4 레이어3 스위치와의 차이점 155
패킷 전송을 하드웨어로 처리하는 레이어3 스위치 155
라우터는 VPN이나 NAT/NAPT 기능을 지원 155
정리 158
5-5 패킷 필터링 159
이중화로 네트워크의 신뢰성을 높인다 159
라우터를 효과적으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159
정리 165
chapter 6 보안 초보 입문 167
6-1 네트워크 보안 접근 방법 168
보안 전체의 관점 168
정리 171
6-2 ‘무엇으로부터 보호할까?’ 외부 범행의 대표 예 172
정리 175
6-3 외부 범행의 대책 177
방화벽이란? 179
방화벽의 주요 기능 180
방화벽에도 한계는 있다 183
정리 186
6-4 ‘무엇으로부터 보호할까?’ 내부 범행에 대비 187
내부 범행 187
사용자 인증 189
정보 데이터의 암호화 191
물리 보안 191
정리 195
6-5 고속화 네트워크 활용에 대응 196
방화벽에서 UTM으로 196
애플리케이션 제어 시대로 197
차세대 방화벽에서는? 199
정리 201
chapter 7 VoIP 초보 입문 203
7-1 VoIP의 기초 지식 204
‘여보세요’를 IP화 205
IP 전화를 이용하는 방법 205
정리 207
7-2 IP 전화의 구성 요소 208
사람의 목소리를 IP 네트워크망으로 전달 213
아날로그 전화기를 IP 네트워크망으로 213
전화기를 포함하여 음성을 모두 IP화 215
전화기를 네트워크상에서 제거 219
음성 신호가 IP 패킷으로 변환되기까지 220
VoIP 환경은 단말만으로도 만들 수 있다 221
VoIP의 핵심, IP 네트워크망에서 음성 품질 확보 222
전화번호와 IP 주소 정보를 집중 관리 224
송신 측과 동일한 간격으로 재생할 필요가 있다 226
‘안녕하세요’를 디지털 신호로 227
정리 228
7-3 VoIP 시그널링 프로토콜 229
VoIP 시그널링 프로토콜이란? 229
H.323의 성과 230
대규모 VoIP 네트워크를 위한 Megaco/H.248과 MGCP 231
현재 사용되고 있는 프로토콜 SIP 232
정리 234
7-4 음성 품질 기초 지식 235
음성 품질이 나빠지는 이유 235
코덱 압축률이 높아지면 음성 품질이 저하된다 236
지연 발생 장소 236
지연에 대한 대처 237
소리가 지직지직하며 중간에 끊김 238
소리의 에코 현상 239
정리 240
chapter 8 무선 LAN 초보 입문 241
8-1 무선 LAN이란? 242
무선 LAN 기본 구성 243
무선 LAN의 설치 장소 246
무선 LAN의 통신 모드 247
통신 상태 248
무선 LAN의 규격 249
정리 251
8-2 무선 LAN의 구조 252
무선 LAN의 접속 방법 252
CSMA/CA 253
무선 LAN 액세스 포인트의 제한 범위 254
채널 설계 255
정리 257
8-3 무선 LAN의 보안 258
무선 LAN 기기의 보안 기능 258
정리 264
APPENDIX 부록 265
부록-1 가상화 266
가상화의 장점 266
가상화 적용 범위은 넓다 267
정리 270
부록-2 네트워크에서 본 스마트 디바이스 271
스마트 디바이스란? 271
스마트 디바이스에서 사용되는 운영체제 272
네트워크 측면에서 본 스마트 디바이스 273
통신의 흐름 274
데이터 통신의 흐름 274
정리 276
찾아보기 277
리뷰
책속에서
네트워크를 공부하려고 추천 도서들을 찾아보면 누구나 한 번쯤 들어본 유명한 책들이 많다. 그러나 IT를 접해 보지 못한 일반인들은 수많은 네트워크 장비에 대한 설명과 고급 용어들로 이루어져 있는 그 책들에 쉽게 접근하지 못하는 것이 현실이다. 도대체 무슨 이야기인지, 어디서부터 어떻게 공부를 해야 하는지에 대한 안내가 필요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 책은 네트워크 입문자 및 초보자와 프로그래머, 그리고 일반인까지 누구나 쉽게 공부할 수 있도록 만들어진 책이다.
라우터 본연의 역할은 다른 네트워크 사이를 연결해 주는 것이다. 여기서 말하는 네트워크 전체 구성에서 보면 자사 건물 내, 즉 LAN상에서 발생하는 사용자 데이터를 다른 거점으로 전달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또한 소규모 거점의 라우터는 반대쪽 라우터와의 가상 네트워크(VPN)의 경로를 확립하거나, 외부에서 들어오는 부정 패킷에 대한 방파제 역할도 한다. 이와 같이 소규모 거점에서의 라우터는 마치 네트워크의 생명선과도 같아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한번 네트워크에 트러블이 발생하면 엔지니어든, 영업사원이든, 관리자든 상관없이 네트워크에 관련된 모든 사람이 주인 의식을 가지고 복구 작업에 참여하여 사용자가 네트워크를 정상적으로 이용할 수 있게 노력해야만 한다. 이런 의미에서 생각하면 OSI의 기본 참조 모델은 네트워크 관련 일을 하는 그 누구라도 알아 두어야 하는 개념인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