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2016 전공영어 케빈 신 일반영어 영미문학

2016 전공영어 케빈 신 일반영어 영미문학

케빈 신 (엮은이)
지금(도서출판)
30,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2개 5,90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2016 전공영어 케빈 신 일반영어 영미문학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2016 전공영어 케빈 신 일반영어 영미문학 
· 분류 : 국내도서 > 수험서/자격증 > 공무원 수험서 > 교원임용시험 > 중등 전공
· ISBN : 9791186041253
· 쪽수 : 696쪽
· 출판일 : 2014-12-30

책 소개

현 교원임용 시험의 경향에 대비할 수 있도록 2014~2015년 대비 기출문제를 심층 분석 및 수록하였으며, 중요 개념들을 이해한 후, 그 개념들을 응용할 수 있도록 다양한 자료(작품) 및 문제를 제공하고 있다.

목차

일반영어
Chapter 01 Understanding 일반영어 in National Teacher's Appointed Test
Chapter 02 2014~2015년 대비 일반영어 기출문제 분석
Chapter 03 Effective Reading Skills
Chapter 04 Effective Writing Skills
Chapter 05 Reading Various Subjects Short and Medium Passages
Chapter 06 Real Tests

영미문학
Chapter 01 2014∼2015년 대비 영미문학 기출문제 분석
Chapter 02 Understanding the Poetry
Chapter 03 Understanding the Prose
Chapter 04 Reading Prose
Chapter 05 Understanding the Drama
Chapter 06 Real Tests
Chapter 07 Literary History (간략한 영국, 미국 문학사)

부록 기출문제(2015~2009학년도)

저자소개

케빈 신 (엮은이)    정보 더보기
경력 University California of Irvine 졸업 미국 고등학교 졸업 現, KG에듀원 희소고시학원 영어과 전임교수 www.ssamplus.com 교원임용 영어과 전임교수 前, EBS 교원임용 영어과 강의(2001, 2002, 2005) EBS PELT 전임강의(2008, 2009) CBS 영어방송 고정게스트 삼성전자 인력개발원 전임강사 IMI Language Institute Program Director 언론고시 강의 TSE, TOEFL, TOEIC 강의 Irvine Achievement Center Academic Director 주요 저서 TOEIC/AFKN(1999, 1998, 박문각) 교원임용 영어과 Express 일반영어(2000, 1999, 박문각) TSE(Test of Spoken English)(2002, 2001, 2000, 박문각) EBS 전공영어 기출문제풀이 모음집(2005) EBS 전공영어 이론서 일반영어·영미문학(2006, 2002, 2001) EBS PELT(2007, 2006) i035 전공영어 일반영어·영미문학(2005, 2004, 2003, 2002, 현대고시사) i035 전공영어 일반영어·영미문학(2008, 2007, 2006, 새롬) 전공영어 케빈 신 일반영어·영미문학(2013, 2012, 2011, 이든북스) 전공영어 케빈 신 일반영어·영미문학 이론서, 심화이론서(2014, 2010, 2009, 진석출판사) 전공영어 케빈 신 일반영어·영미문학(2019, 2018, 2017, 2016, 2015, 도서출판 지금) 전공영어 영역별 적중예상 문제집(2015, 도서출판 지금)
펼치기

책속에서

머리말

일반영어
When we read for pleasure, we are not tested or held accountable for understanding the text. Most readers tend to skim. In fact, today's news papers, magazines, and popular novels are usually written with monosyllabic words, and rarely venture beyond simple and compound sentence structures. The average English newspaper is written at a sixth grade level. So, if you have not read a demanding text in some time, you may not be ready for this exam.

Reading is based upon understanding inferences, identifying main ideas, making accurate interpretations, and having a reasonable vocabulary. You must develop each of these skills and practical strategies for understanding questions and answering those questions effectively.

There are numerous ways you can prepare for the reading and writing portions of this test. Reading good essays, poetry, short stories, novels, histories, and biographies can help you with your reading as well as your writing. Regardless of methods or ways, it would certainly require time and effort. So make your own plans and strategies today.

일반영어 영역의 문제 구성 및 학습준비
일반영어는 기입형 1∼2문제, 서술형 2∼3문제, 논술형 1문제가 일반적으로 출제될 것으로 예상되며 지문의 주제와 내용은 academic reading과 authentic reading으로 구성되어 출제되고 있다. 예를 들어 2014년, 2015년 대비 시험에는 2:8 비율로 authentic reading passage가 출제되었다. 따라서 예비교사들은 다양한 academic passage뿐만 아니라 authentic reading passage를 읽고 적절한 쓰기 훈련을 하여야 한다. 서술, 논술의 경우 제시된 지문이나 내용들을 근거로 paraphrase하여 답안을 작성하여야 하는데 가장 어려운 점은 시간이 충분하지 않다는 점이다. 따라서 지문의 내용적 의미를 그대로 유지하면서 다른 표현으로 쓰는 훈련을 많이 하도록 한다.

예비교사들이 자주하는 일반영어, 영미문학 관련 질문과 답변
1. 특정한 일반영어 지문(특히 authentic reading passage)을 이해하는데 어려움을 느낍니다. 무엇이 문제일까요?
→ 임용시험에서 출제되는 지문들은 다양한 배경지식이 있으면 읽고 이해하는데 많은 도움이 됩니다. 그러나 상당수 예비교사들은 전공 관련 원서들은 많이 접하고 읽어 보았으나 그 외의 시사적 뉴스 나 다양한 주제의 사실적 내용을 담고 있는 지문에 대한 읽기는 많이 하지 않고 따라서 익숙지 않은 주제의 지문이 나오면 (특히, healthrelated, politics, economies, social-related passage) 어려움을 겪을 수밖에 없습니다. 따라서 다양한 읽기를 매일 하는 것이 유일한 방법입니다.

2. 지문을 읽다 보면 영어단어, 숙어에 관한 이해가 부족함을 느끼고, 문장구조 파악도 잘 안 됩니다. 좋은 방법이 없을까요?
→ 이 문제 역시 읽기경험이 없어서 생기는 현상입니다. 먼저 모르는 단어나 표현들은 지문을 읽으면서 습득하셔야 합니다. 일부 예비교사들은 지문을 전체적으로 이해하면 모르는 단어나 표현들은 대충 넘어가는 경우가 있는데 아주 좋지 않은 습관입니다. 모르는 단어나 표현은 꼭 context 안에서 어떻게 사용되었는지 확인하고 이해하셔야 합니다. 문장구조 역시 글쓴이의 스타일과 글의 목적에 따라 다양하게 제시됩니다. 따라서 꼼꼼하게 분석하고 이해하여야 다음에 비슷한 구조가 나올 때 바로 이해할 수가 있습니다. 읽기는 모든 학습의 근본입니다. 임용시험 역시 좋은 읽기 능력이 없으면 좋은 시험 결과를 가져올 수가 없습니다. Read, Read, and Read라는 생각을 가지고 꾸준히 읽기 연습을 하셔야 합니다.

3. 지문은 충분히 이해했다고 생각하고 지시문이나 질문에서 요구하는 내용을 쓰고 보면 항상 빠지거나 때로는 없는 내용들도 서술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무엇이 문제일까요?
→ 일반영어든 영미문학이든 임용시험에서는 제시된 지문에 근거를 두고 지시문이나 질문에서 원하는 내용을 찾아 쓰거나 아니면 서술하면 됩니다. 문제는 쓰기능력은 읽기보다 좀 더 많은 연습과 집중력을 요구한다는 것입니다. 다시 말해 읽기능력을 향상시키는 것보다 2∼3배의 시간과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는 것입니다. 비유적으
로 musical instrument를 아주 잘 다루기 위해서는 엄청난 시간과 노력이 필요 하듯이 쓰기능력 역시 일정한 기간 동안 intensive한 연습이 필요한 것입니다. 특히 시험과 같은 timed reading and writing에서는 많은 반복적인 연습과정을 거쳐야 되는데 대부분 예비교사들은 이러한 쓰기과정을 충분히 하지 못하고 시험을 보기 때문에 답안을 작성하는 정확성과 유창성들이 떨어질 수밖에 없는 것입니다.

4. 영미문학은 항상 어렵고 읽은 작품이 아니면 문제 파악조차도 안 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문학영역을 포기하고 다른 영역에 신경을 쓰라고 하는 사람도 있는데 어떻게 해야 할까요?
→ 대부분의 예비교사들은 영미문학 작품을 읽은 경험이 많지 않습니다. 학부 1·2학년 때 선택한 문학과목이 전부일 정도로 시, 산문, 현대 드라마 어느 장르 하나 제대로 꾸준히 읽은 경험이 없는 것이 현실입니다. 또한 작품 한두 개 읽는 것으로 해결되는 것이 아니다 보니 시간이 많이 걸리고 노력한 만큼 결과도 보이지 않으니 차라리 포기하고 다른 영역에 집중하는 것이 좋다고 느껴질 수도 있습니다. 그러나 문학영역을 준비하지 않고는 합격할 수가 없습니다. 꾸준히 시간을 가지고 준비하는 것만이 유일한 방법입니다. 반복적인 이야기지만 일반영어·영미문학 영역은 어느 영역보다 많은 연습과 반복적인 훈련을 통해서만 충분한 competence가 생깁니다. 작품은 시대적으로 500년 전부터 불과 2∼30년 작품들이 다양하게 제시되고 따라서 언어적인 어려움(어휘, 비유적·사실적 표현), 시대적 문화에 대한 이해부족(15∼16세기 영국문화), 독창적인 문학적 기법, 장치에 대한 이해부족, 다양한 장르의 작품(시, 산문, 현대드라마)들이 갖고 있는 언어적 표현적 특성에 대한 이해부족들이 장애물처럼 여겨질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요소들을 잘 극복하면 생각보다 빠르게 적응하고 이해력을 높일 수가 있습니다. 사실 영미문학은 일정한 과정 속에서 준비하면 일반영어보다 쉽게 읽고 답안을 작성할 수 있습니다.

5. 마지막으로 논술형 일반영어는 주어진 논제에 대하여 내용적·언어적으로 완벽하게 쓰고 싶은데 잘 되지 않습니다. 어떻게 해결하면 될까요?
→ 일반영어 논술형은 대략 문단 2개로 구성하여 최소 100단어에서 최대 150단어 이내로 서술하면 됩니다. 먼저 제시된 일정한 내용들을 근거로 서술하는 일종의 guided writing들이 출제되기 때문에 지시문에 근거하여 쓰는 연습을 하는 것이 무엇보다도 중요합니다. 예를 들어 2014년 대비 시험에는 단락에 들어가는 핵심내용을 제시하고 선택하게 한 후에 필요한 내용들로 support하게 하는 유형이었다면 2015년에는 지문을 주고 지문의 내용을 활용하여 paraphrase하면서 서술하게 하는 유형이었습니다. 다시 말해 지시문에 원하는 형식과 내용을 정확히 서술하면서 필요한 부분만 add하는 훈련을 하여야 합니다. 적절한 correction과 feedback은 논술형 유형을 준비하는데 많은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입니다.

끝으로 열심히 공부하고 있는데도 실력이 향상되지 않고 제자리인 경우, 지난 몇 년간 최선을 다해 시험 준비에 매진했지만 결과가 실망스러웠던 경우, 우린 이럴 때 좌절하고 우울해집니다. 교회나 성당, 절에 가서 기도를 해보기도 하고 여타 다른 방법을 모색해 봤지만 이렇다 할 변화가 일어나지 않습니다. 아무리 노력해도 원하는 결과가 보이지 않을 때 도대체 어떤 마음가짐을 가져야 지금의 어려움을 헤쳐 나갈 수 있을까요?

먼저 이 질문에 답하기 전에 저에 관한 얘기를 하도록 하겠습니다. 2012년 12월 급성골수백혈병 진단을 받고 4번의 공격적인 약물, 방사선 항암치료와 생명을 건 골수이식을 받았습니다. 그리고 아직까지 이식 후에 오는 이식숙주편대 반응과 싸우고 있습니다. 때로는 이 모든 과정이 괴롭고 힘들어서 모든 것을 놓고 싶었지만 그래도 포기하지 않았습니다. 이제 질문에 대한 답을 드리겠습니다. 용기만을 가지라고 또는 긍정적으로 생각하라고 말하지 않겠습니다. 다만 현재 상황을 좀 넓은 시야를 가지고 볼 필요는 있습니다. 어쩌면 지금 경험하는 이 모든 것들이 우리 삶의 일부로 껴안고 가야 될 우리의 몫이고 뜻대로 되지 않는다고, 쉽게 짜증내고 불안해하고 다른 원인을 찾는 것은 아닌지 한번 돌아봅시다. 결국 지금의 어려움과 도전들은 파도가 다시 올라가기 위해 반드시 거쳐야 하는 하나의 과정일 것이고 지금의 경험 덕분에 교사가 되었을 때 교만하지 않고 겸손하며, 쉽게 마음이 들뜨지 않고 미래의 학생들에게 좀 더 친절하고 따뜻해질 수 있을 것입니다.

저에게 기적과 은총으로 새로운 생명을 살게 해주신 하나님께 이 모든 영광을 드립니다.

2015년
케빈 신

영미문학
교원임용고사에서 영미문학이란?
영미문학 영역은 2∼3문항이 출제되며 총 배점은 10점 이내로 비중은 10%밖에 되지 않지만 출제 영역이 가장 광범위하고 포괄적이고 문학 작품이 주는 언어적, 문화적 어려움은 대다수 예비교사들이 시험을 준비하는데 많은 어려움을 가질 수밖에 없다. 우선적으로 문학 작품(시, 산문)을 가능한 많이 읽으면서 생소함과 두려움을 극복하여야 한다. 일반적인 출제 영역은 영국문학의 경우 16세기부터 20세기 초, 미국문학의 경우 19세기부터 20세기 초 사이의 시와 산문 작품들을 예측할 수 있다. 이 기준은 영미문학 영역에 관한 교육부 고시와 전국 주요 사범대학의 영미문학 범위에 기준을 두고 있다.

중요한 출제기준은 문학의 시대성과 작품성보다는 보편적인 주제와 익숙한 문화적인 배경을 가지고 있는 작품들이 출제될 것이고 이러한 작품들은 실질적으로 영어교육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시와 산문 중심으로 출제되는데, 시의 경우 작품 전체를 제시하고 산문의 경우 주요한 내용 일부를 발췌하여 제시하고 답안을 작성하게 할 것이다. 문제유형은 문학적 장치와 표현(literary devices or figurative language) 또는 지문의 내용(plot, climax, conflict)을 이해했는지를 확인하는 단답 기입형과 50단어 이내로 작품에 대한 분석과 설명(short analysis and explication)을 쓰게 하는 서술형으로 구성될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작품을 직접 읽은 후에 지시문에서 요구하는 분석과 내용들을 영어로 쓸 수 있는 능력을 만들어야 한다.

시의 경우 먼저 학부에서 공부한 classical poetry에 대한 이해를 한 후에 좀 더 보편적인 주제를 가지고 있는 Modern poetry도 같이 보면 도움이 될 것이다. 소설의 경우 보편적인 소재나 주제를 가지고 있는 18, 19세기부터 20세기 초반까지의 대표 작품을 중심으로 준비하도록 한다. 대부분의 문학 작품들은 다양한 figure of speech와 description style을 많이 사용하고 있으며 자주 읽어보는 것이 문학 영역에서 만점을 받을 수 있는 방법이다. 또한 작품 속에서 작가가 사용한 비유적인 묘사를 잘 이해하면서 이러한 비유적인 내용들을 글의 중심적인 내용과 연결하여 작가의 의도된 요소를 파악할 수 있어야 한다.

아직은 출제되지 않았지만 문학 작품을 영어교육에 어떻게 적용하고 지도할 것인지에 관한 지문으로 출제될 수도 있다. 전통적인 방법을 통한 문학지도는 문화적, 언어적인 한계에 직면하기 때문에 ESL/EFL 상황의 언어교육에 문학을 어떻게 활용할 것인지가 가장 핵심적인 내용이다.

마지막으로 영미문학사와 관련된 문제는 1990년대 초, 중반 임용시험에서는 자주 출제되어 왔지만 최근에는 거의 출제가 되지 않고 있다. 실제 현장 영어교육에서 영미문학사와 관련된 내용은 연관성이나 필요성이 없기 때문에 그러나 최근에는 문학과 관련된 작품론 또는 문학사 시대배경에 관한 지문을 주고 그 지문에서 내용을 파악하는 문제가 출제될 수도 있다. 그러나 이 역시 일반영어처럼 지문을 이해하면 충분히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답안 작성과 문제유형
1. 대부분의 답안 작성은 일반영어와 유사한 기입형과 서술형의 답안 작성이 주를 이룰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주어진 작품의 내용을 먼저 이해한 후에 답안을 작성한다.
2. 답안을 작성할 때 주어진 내용을 그대로 쓰는 것인지 아니면 내용을 요약하거나 추론하여 작성하는지를 확인한다.
3. 시의 경우 심상, 주제, 요지, 운율, diction, rhythm, meter, pattern 등에서 출제되며 산문, 소설의 경우 배경, 등장인물, intended message, plot, conflicts(problem or dilemma)등에서 출제된다. 문학사 관련 지문은 시대적 배경, movement, 작품의 특성 등을 출제한다.

방대한 영국문학과 짧지만 다양성을 가지고 있는 미국문학은 어쩌면 다른 내용과목과 비교할 때 무엇부터 준비를 하여야 할지 고민이 될 수밖에 없다. 이 책은 그러한 고민을 해결할 수 있게 교원임용고사에 출제되는 핵심적인 부분만을 정리하여 요약하였다.

이 책은 시대적으로 중요한 문학 작품과 다양한 서답형 문학 문제를 해설과 같이 수록하였고, 또한 기출유형과 비슷한 실전문제를 같이 포함시켜 더 많은 학습을 할 수 있게 구성하였다.

마지막으로 강조하고 싶은 말은 단편적인 문학 관련 지식만을 추구한다든지 영미문학 개론에서 다루지 않는 부분을 너무 심도 있게 학습하지 않도록 하고, 궁극적으로 영미문학이라는 영역을 중등영어 교육에 어떻게 활용하고 응용할 것인지에 대한 생각을 가져야 한다는 것이다.
2015년
케빈 신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