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펫코디전문가 2급

펫코디전문가 2급

(국내최초 반려동물 주거환경 컨설턴트)

박준영 (지은이)
형설미래교육원
25,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5,000원 -0% 0원
750원
24,25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펫코디전문가 2급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펫코디전문가 2급 (국내최초 반려동물 주거환경 컨설턴트)
· 분류 : 국내도서 > 수험서/자격증 > 기타 수험서/자격증 > 기타 자격증/수험서
· ISBN : 9791186320570
· 쪽수 : 248쪽
· 출판일 : 2019-05-27

책 소개

‘펫 코디네이터(Pet Coordinator)’ 전문가 과정은 1급과 2급으로 나누어, 2급은 반려동물의 주거환경에 관심이 있는 일반인들도 공부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펫코디 전문가 과정 2급을 대비할 수 있는 교재다.

목차

01 반려동물이란

1 애완동물과 반려동물의 차이점 이해 19
1. 애완동물(愛玩動物, Pet) 19
2. 반려동물(伴侶動物, Companion Animal) 19
3. 개, 고양이의 반려화의 역사 20
4. 역할의 변화 21

2 각종 통계자료를 통해 본 반려동물의 관련 지표 22
1. 반려동물의 수 22
2. 반려인 및 반려 가구 22
3. 반려동물의 주거환경 변화 23

3 국내외 반려동물 산업의 규모와 전망 25
1. 국내 반려동물 산업의 규모 25
2. 미국의 반려동물 산업 26
3. 중국의 반려동물 산업 28
4. 일본 반려동물의 규모 및 산업 현황 29
5. 인구 구성비와의 관계 31
6. 반려동물의 증가와 주거환경 32

02 반려동물의 동물학적 특성 및 주거환경 특성

1 반려동물의 생물학적 특성 37
1. 생물학적 특성 - 5감 37
2. 5감(5感)의 종류 38
3. 최우선으로 작동하는 감각기관 38
4. 정보를 받아들이는 순서 및 비중 39
5. 시각(視覺) 40
6. 청각(聽覺) 42
7. 후각(嗅覺) 43
8. 미각(味覺) 45
9. 촉각(觸覺) 46

2 반려동물의 행동학적 특성 48
1. 개의 행동 특성 48
2. 고양이의 행동 특성 50
3. 마킹(Marketing) 51
4. 물어뜯기(개) 52
5. 할퀴기 또는 발톱긁기(고양이) 53
6. 짖기 54
7. 땅파기 57
8. 수면 57

3 반려동물의 신체학적 특징 59
1. 개 59
2. 고양이 61
3. 개와 고양이의 털 62

4 반려동물의 주거 특성 64
1. 개 64
2. 고양이 65

03 반려동물 공생주택(共生住宅)

1 반려동물 공생 주택 및 반려동물 가능 주택 69
1. 반려동물 공생 주택의 개념 69
2. 반려동물 가능 주택의 개념 70

2 공생 주택이 갖춰야 할 편의성 71
1. 개별주택 관점에서 71
2. 공동주택 관점에서 72

3 공생 주택이 갖춰야 할 안전성 74
1. 개별주택 관점에서 74
2. 공동주택 관점에서 75

4 국내외 공생 주택의 사례 76
1. 한국의 사례 76
2. 일본의 사례 81

04 주거환경의 이해:기초적 이해

1 인간의 주거공간 87
1. 인간의 주거공간의 이해 87
2. 인간의 주거공간의 특징 88

2 반려동물의 주거공간 90
1. 반려동물의 주거공간의 이해 90
2. 반려동물의 주거공간의 특징 92

3 인간과 반려동물의 공생 94
1. 공유 공간 94
2. 반려인과 반려동물의 공생을 위한 고려사항 95

05 주거환경의 이해:인테리어(Interior, 내부환경)의 이해

1 인테리어의 기본 개념 99

2 인테리어의 기본 구성 요소 100

06 주거환경의 이해:반려동물 인테리어의 이해

1 반려동물을 위한 인테리어 103
1. 개념 103
2. 적용범위 103

2 인테리어의 기본 구성 요소 104
1. 핵심 요소 - 기능적 요소 104
2. 펫 인테리어시 고려사항 104

3 반려동물을 위한 인테리어(건축) - 바닥재 106
1. 건축 바닥재 적용 시 고려사항 106
2. 바닥재의 종류 107
3. 바닥재의 미끄럼 저항 성능 108
4. 바닥재의 흡수성 110
5. 바닥재의 강성 112
6. 바닥재의 친환경성 112
7. 바닥재 접착제의 친환경성 115
8. 기타 바닥재 116
9. 바닥 미끄럼 방지 대책 118
4 반려동물을 위한 인테리어(건축) - 벽재(壁材) 120
1. 건축 벽재 적용시 고려사항 120
2. 벽재의 종류 121
3. 마킹(Marking), 스프레이에 대비한 마감 122
4. 캣스텝을 고려한 마감 123
5. 반려동물의 냄새를 고려한 마감 124
6. 반려동물의 물어뜯기와 스크래치를 고려한 마감 125
7. 이물오식(異物誤食) 126

07 주거환경의 이해:반려동물 인테리어의 이해2

1 반려동물을 위한 인테리어 - 전기 131
1. 플리커 프리 전등의 적용 131
2. 블루라이트 차단 등 적용 132
3. 안정기 134
4. 전선과 콘센트 135
5. 펫엘리베이터 139
6. 초인등(招人燈) 143

2 반려동물을 위한 인테리어 - 기계설비 145
1. 환기설비 145
2. 위생설비 152
3. 냉방 설비-에어컨 155
4. 난방 설비 157

3 반려동물을 위한 기타 인테리어 160
1. 펫도어(Pet Door) 160
2. 리드후크(Lead Hook) 163
3. 캣스텝(Cat Step) 166
4. 캣타워(Cat Tower) 169
5. 캣워크(Cat Walk) 170
6. 기타 고양이 시설 172
7. 마킹 봉(Marking 棒) 174

08 주거환경의 이해:반려동물 인테리어의 이해3

1 반려동물을 위한 인테리어 - 차음, 흡음 179
1. 차음과 흡음의 의미 179
2. 차음과 흡음의 중요성 180
3. 개, 고양이가 받는 자극, 위협 & 스트레스 182
4. 소리를 차단하는 인테리어 183
5. 시공사례 186

2 반려동물을 위한 인테리어 - 미끄러짐 방지 188
1. 미끄러짐의 개념과 대책 188

09 주거환경의 이해:익스테리어(Exterior, 외부환경)의 이해

1 익스테리어의 기본 개념 195
1. 익스테리어란 195

2 익스테리어의 기본 구성 요소 196
1. 공간적 요소 196
2. 기능적 요소 196
3. 심미적 요소 196
3 익스테리어 사례 197

10 주거환경의 이행:반려동물 익스테리어의 이해

1 반려동물을 위한 익스테리어(펫 익스테리어) 201
1. 공간의 확장성 201
2. 주거의 안전성/안정성 202
3. 친환경성 203

2 펫 익스테리어 - 정원/조경 204
1. 일반적 의미 204
2. 펫 익스테리어의 조경 204
3. 고려해야 할 반려견의 특성 205
4. 반려견의 특성에 따른 대응 조치 207
5. 천연잔디와 인조잔디 211

3 펫 익스테리어 - 대문/울타리(담장) 216
1. 대문의 기능 216
2. 대문/울타리(담장) 설치 시 주의 사항 217
3. 대문/울타리(담장) 디자인 시 주의사항 218

4 펫 익스테리어- 우드데크 220
1. 우드데크의 종류 220
2. 천연목재와 합성목재의 장단점 220

5 펫 익스테리어 - 정원 딸린 주택의 위험 요소 6가지 222
1. 펜스 223
2. 텃밭 223
3. 창고 223
4. 연못, 웅덩이 224
5. 작은 화분 224
6. 바비큐 등의 불판 224

11 반려동물을 위한 인테리어+익스테리의 시공사례

1 연예인 K씨 댁 227
1. 반려조건 227
2. 문제점 227
3. 해결 방안 228
4. 현장점검 및 보호자 협의 228
5. 기본 설계 방향 229
6. 공사진행과정 230
7. 펫인테리어 적용사항 231

2 탤런트 L씨댁 234
1. 반려조건 234
2. 문제점 234
3. 해결방안 235
4. 펫인테리어 적용사항 235

12 펫 코디네이터(pet coordinater)

1 펫 코디네이터의 정의 243
1. 펫코디란 243

2 펫코디의 필요성 244
1. 반려동물에게 필요한 주거환경 244
2. 주거환경에 대한 정보 부족 해소 244
3. 펫 공생주택에 대한 니즈의 반영 - 기획, 설계, 시공 ▷ 1급 244

3 펫코디의 역할 245
1. 방문 서비스 245
2. 매칭 서비스 245
3. 평가 서비스 246
4. 직업 역량 강화(1급) 246

저자소개

박준영 (지은이)    정보 더보기
㈜반려견주택연구소 대표이사를 비롯하여 ㈜한국펫코디협회 대표이사, KBS 반려동물교육원 대표강사이다. 그밖에 건축기사 1급 취득, 실무 및 컨설팅 경력 28년(건축 특급 기술자), 국내 최초 반려견 전원주택단지 조성 및 국내 최초 펫빌라 건축, 반려동물 공생주택 20여 프로젝트 컨설팅 완료 및 진행 중이며 펫인테리어 다수 컨설팅을 했다. 저서로는 <나는 개집에 산다>(2016), <펫코디전문가 2급>(2019) 등이 있다.
펼치기

추천도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