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공학계열 > 도시/환경공학 > 환경학
· ISBN : 9791186459904
· 쪽수 : 96쪽
· 출판일 : 2019-02-22
책 소개
목차
1. 머리말
2. 혐기성 소화에서 생물전기화학시스템(BES)의 개념 및 이론
2.1.생물전기화학시스템의 전기화학적 이론
2.2. 생물전기화학시스템의 미생물학적 이론22
3. 생물전기화학시스템의 적용 1 ? 혐기성 소화 효율 향상
3.1.에너지(열역학) 측면에서의 역할
3.2.반응속도 측면에서의 역할
3.3.황산염(Sulfate), 질산염(nitrate) 등의 독성물질 제거
4. 생물전기화학시스템의 적용 2 ? 바이오가스 정제
4.1.바이오가스 정제 1 - 이산화탄소의 메탄 전환
4.2.바이오가스 정제 2 - 이산화탄소의 흡착
5. 생물전기화학시스템의 적용 3 ? 바이오센서
5.1.BOD, COD 센서50
5.2.휘발성지방산 센서
5.3.이외의 센서들
6. 맺음말
책속에서
생물전기화학시스템은 전기에너지를 화학에너지로, 혹은 화학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전환시킬 수 있는 기술로 전기적인 활성을 가지는 미생물이 관여하는 시스템이다. 이러한 에너지의 전환과정은 전자를 세포밖으로 내보낼 수 있는 전자방출균에 의하여 일어난다. (중략) 생물전기화학시스템과 더불어 전기적인 활성을 가지는 미생물에 대한 연구도 진행중인데 이러한 미생물들은 전극과 같은 전도체, 혹은 용존 상태의 전자수용체/전자공여체에 전자를 전달해주거나 받을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중략) 다양한 생물전기화학시스템이 되고 있으며 미생물 연료전지를 이용하여 전기에너지를 생산하는 것뿐 아니라 고부가가치 을 생하는 . 혐기성 소화 처리 및 생산 접목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