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고등학교참고서 > 논술/면접/수시 > 입시자료집
· ISBN : 9791186759080
· 쪽수 : 222쪽
· 출판일 : 2024-05-17
목차
Ⅰ. 프롤로그. 학종 이해하기
Ⅱ. 대학별 기준과 합격사례
01. 건국대학교 합격자 학생부(사회과학계열 등등)
02. 경희대학교 합격자 학생부(유전공학 등등)
03. 고려대학교 합격자 학생부(수학과 등등)
04. 고려대학교 합격자 학생부(기계공학과)
05. 국민대학교 합격자 학생부(에너지전자융합전공 등등)
06. 단국대학교 합격자 학생부(의생명공학부 등등)
07. 동국대학교 합격자 학생부(사회학전공 등등)
08. 서강대학교 합격자 학생부(사회과학부 등등) 09. 서울대학교 합격자 학생부(응용생물화학부 등등) 10. 서울시립대학교 합격자 학생부(도시공학과 등등)
11. 성균관대학교 합격자 학생부(사회과학계열 등등)
12. 성균관대학교 합격자 학생부(공학계열)
13. 세종대학교 합격자 학생부(건축학부 등등)
14. 숙명여자대학교 합격자 학생부(소프트웨어융합학과 등등)
15. 숭실대학교 합격자 학생부(사회복지학과 등등)
16. 연세대학교 합격자 학생부(경제학과 등등)
17. 이화여자대학교 합격자 학생부(생명과학전공 등등)
18. 중앙대학교 합격자 학생부(간호학과 등등)
19. 한국외국어대학교 합격자 학생부(중국언어문화학부 등등)
20. 한양대학교 합격자 학생부(전기생체공학부 등등)
21. 홍익대학교 합격자 학생부(자율전공 등등)
22. 홍익대학교 합격자 학생부(컴퓨터공학과)
23. 충북대학교 합격자 학생부(의예과 등등)
Ⅲ. 학종 20문 20답
1. 학생부종합전형에서 가장 중요한 항목은 무엇인가요?
2. 학생부종합전형에서 고등학교에 따라 평가가 다르다고 하는데 사실인가요?
3. 2015 개정교육과정에서 교과목 선택은 어떻게 해야 좋을까요?
4. 학생부종합전형에서 문과에서 이과를 교차지원할 때 불이익이 있나요?
5. 학급반장을 하지 않아도 리더십을 보여줄 수 있나요?
6. 진로가 학년마다 바뀌었는데 학생부종합전형에서 불리할까요?
7. 제가 수강하고 싶은 과목이 개설이 되지 않았어요. 이럴 때는 어떻게 해야 하나요?
8. 다른 과목보다도 수학이 가장 걱정이에요. 어떻게 공부해야 할까요?
9. 독서활동은 대학에서 어떠한 시각으로 바라보나요?
그리고 좋은 독서활동이란 어떻게 해야 할까요?
10. 독서활동상황이 대입에 미반영 되는데 굳이 독서를 할 필요가 있을까요?
11. 봉사활동은 어떻게 해야 좋을까요? 희망 전공과 어울리는 봉사활동이 따로 있을까요?
12. 같은 학교 친구가 저와 진로가 같아 학교생활 활동이 비슷해요.
이러한 경우에 대학교에서는 어떻게 평가하나요?
13. 어떻게 하면 제가 활동했던 내용을 학교생활기록부에 선생님이 적어주실 수 있나요?
14. 자율활동 특기사항을 보면 다른 학생의 내용과 별반 차이가 없는데,
어떻게 하면 저만의 활동을 구체화할 수 있을까요?
15. 동아리는 몇 개 정도가 좋으며, 어떻게 활동하는 게 바람직할까요?
16. 진로활동시간에 탐구활동을 하라고 하는데, 어떻게 진행하면 될까요?
17. 교과목 세부능력 및 특기사항이 중요하다는 이야기를 많이 들었는데, 어떻게 준비해야 할까요?
18. 학교에서의 활동은 자신의 진로와 어떻게 연결시킬 수 있나요?
19. 행동특성 및 종합의견은 선생님의 추천서라고 들었는데요.
그렇다면 어떤 내용이 기록이 되어야 좋은 평가를 받을 수 있나요?
20. 학교생활기록부 내용 중 어느 학년의 내용이 가장 중요한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