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수험서/자격증 > 공무원 수험서 > 7/9급 공무원 > 행정학 > 7/9급 교재
· ISBN : 9791186938317
· 출판일 : 2018-08-10
책 소개
목차
제1편 행정학의 기초이론
제1장 행정의 의의 2
01 행정의 개념 2
02 행정의 과정과 변수 7
03 행정과 환경 11
04 행정학의 성립과 발달 18
제2장 현대행정국가의 성립과 제특성 22
01 행정국가의 성립과 특성 22
02 시장실패와 정부실패 30
제3장 행정 가치 49
01 행정이념 49
02 공익과 사회적 자본 63
제4장 행정현상에 대한 주요접근방법 69
01 과학적 관리론과 인간관계론 69
02 형태론적 접근방법 74
03 생태론적 접근방법 78
04 체제론적 접근방법 80
05 비교행정론 84
06 발전행정론 89
07 신행정론 92
08 해석학 및 포스트모더니티 이론 96
09 신제도론적 접근방법 99
10 거버넌스이론 110
제2편 목표설정과 정책결정
제1장 목표설정 136
01 행정목표 (Administrative Goal) 136
02 목표관리(MBO;Management By Objectives) 141
제2장 정책형성론 145
01 정책학의 기초 145
02 정책의제 형성 159
03 정책결정 174
04 정책결정이론모형 188
05 정책집행 202
06 정책평가 215
07 정책종결 232
08 주요관리기법 234
제3장 기 획 242
01 기획의 본질 242
02 기획의 미래예측법 252
제3편 행정조직론
제1장 조직의 기초이론 276
01 서 론 276
02 조직과 개인 294
03 조직의 제원리 310
제2장 조직의 제형태 및 구조 317
01 관료제(bureaucracy) 317
02 공식조직과 비공식조직 327
03 계선기관(Line)과 막료기관(Staff) 329
04 위원회 조직 331
05 공기업 334
06 책임운영기관(Agency)과 중간조직 344
07 조직구조 357
08 한국의 중앙행정조직 364
제3장 조직관리론 370
01 의사전달 370
02 리더십이론 377
03 최고관리층과 중간관리층 385
04 행정PR(공공관계) 387
05 사무관리 391
06 행정관리 392
07 권 위 396
08 갈 등 399
제4장 조직변동론 405
01 조직과 환경 405
02 조직의 동태화 409
03 조직발전(OD;Organization Development) 412
04 조직혁신 416
05 조직진단 417
06 조직문화 420
07 정보와 행정정보체계 423
제4편 인사행정론
제1장 총 론 456
01 인사행정의 총설 456
02 엽관주의와 실적주의 457
03 직업공무원제 463
04 중앙인사행정기관 467
05 공직의 분류 472
제2장 임용과 능력발전 490
01 임 용 490
02 교육훈련 500
03 근무성적평정 506
04 승 진 518
제3장 사기양양 521
01 공무원의 사기 521
02 사기와 관련된 제도 523
03 공무원의 신분보장 529
04 공무원의 보수 532
05 공무원연금과 연봉제 539
06 공무원의 정치적 중립 544
제5편 재무행정론
제1장 예산의 기초이론 564
01 예산의 개념과 발달 564
02 예산의 기능과 원칙 572
03 예산의 분류 577
04 예산의 종류 583
제2장 예산과정 595
01 예산과정의 개요 595
02 예산의 편성 596
03 예산의 심의 600
04 예산의 집행 605
05 결 산 615
06 회계검사 617
제3장 예산제도 623
01 예산결정이론 623
02 예산제도론 625
03 구매행정 645
04 회계제도 646
제6편 재무행정론행정통제와 행정개혁
제1장 행정책임과 행정통제 666
01 행정책임 666
02 행정통제(행정책임성의 보장방안) 670
03 대표적 관료제 677
04 행정의 시민참여 681
05 공직의 윤리 683
06 공직부패 686
제2장 행정개혁과 기관형성 695
01 행정개혁 695
02 기관형성 713
제7편 지방행정론
제1장 집권과 분권 722
01 집권과 분권의 의의 722
02 중앙집권과 지방분권 724
제2장 지방자치 729
01 지방행정의 의의 729
02 지방자치와 민주주의의 관계 743
03 지방자치단체의 사무 747
04 의결기관과 집행기관 753
05 지방재정 761
06 중앙통제와 일선기관 779
07 광역행정 78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