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수험서/자격증 > 민간자격 > 전산세무회계
· ISBN : 9791187474227
· 쪽수 : 755쪽
· 출판일 : 2021-03-10
책 소개
목차
Part 1 재무회계
제 1 장 재무회계의 개념체계
제1절 재무회계원리의 이해 14
1. 회계의 개념 14
2. 재무회계의 개념체계 14
3. 재무제표요소의 인식 및 측정 20
제 2 장 거래의 기장
제1절 금융자산에 관한 기장 27
1. 현금 및 현금성자산 27
2. 현금성 자산에 관한 기장 31
3. 유가증권에 관한 거래 34
제2절 채권 및 채무에 관한 거래 42
1. 매출채권 및 매입채무의 처리 42
2. 어음에 관한 회계처리 43
3. 기타의 채권 및 채무에 관한 거래 49
4. 채권의 대손 55
제3절 재고자산에 관한 거래 64
1. 재고자산의 의의 64
2. 재고자산에 대한 회계처리 65
3. 재고자산의 원가배분 및 평가 72
제 3 장 비유동자산의 거래
제1절 투자자산에 관한 거래의 기장 84
1. 투자자산 84
제2절 유형자산 및 무형자산에 관한 거래의 기장 88
1. 유형자산 88
2. 무형자산 96
- 5
제 4 장 부채와 자본거래
제1절 부채에 관한 거래 105
1. 부채의 정의 105
2. 사채 106
3. 퇴직급여제도 110
제2절 주식회사의 자본 113
1. 주식회사의 자본 113
2. 주식회사의 자본 분류 118
제 5 장 기업의 결산
제1절 법인기업의 결산 126
1. 결산 126
2. 기업의 기말정리사항의 정리 126
제2절 재무제표의 작성 137
1. 재무제표의 작성 137
Part 2 원가회계
제 1 장 원가계산의 이해
제1절 원가계산의 의의 150
1. 원가회계 150
2. 원가의 개념과 분류 151
제2절 원가의 흐름 158
1. 원가의 흐름과 원가계산 158
2. 제조기업의 손익계산서와 제조원가명세서 168
제3절 요소별 원가계산 172
1. 재료원가의 계산 172
6 -
2. 노무원가의 계산 176
3. 제조경비의 계산 180
제 2 장 원가의 배분 및 배부
제1절 원가의 배분 190
1. 원가의 배분 대상 및 용어 190
2. 원가의 배분목적 191
3. 원가의 배분기준 192
4. 원가배분의 유형 193
제2절 제조간접원가의 배부 194
1. 제조간접원가의 계산 194
제3절 부문별 원가계산 198
1. 부문별 원가계산 198
2. 부문별 원가의 집계 199
제 3 장 제품별 원가계산
제1절 개별원가계산 209
1. 개별원가계산의 의의와 특징 209
2 개별원가계산의 종류 209
3 개별원가계산의 절차 210
제2절 종합 원가계산 215
1. 종합원가계산의 의의 및 특징 215
2. 종합원가계산의 절차 216
3. 기말재공품의 평가 218
제3절 결합 원가계산 224
1. 결합원가계산 224
2. 부산물 228
3. 공손품 229
- 7
Part 3 부가가치세
제 1 장 부가가치세 총칙
제1절 부가가치세 총설 238
1. 부가가치세 이론 정의 238
2. 부가가치세 총칙 240
제2절 부가가치세 과세거래 246
1. 과세거래 246
2. 공급시기 및 공급장소 252
제3절 영세율과 면세 255
1. 영세율 255
2. 면세 257
제 2 장 과세표준 및 납부세액
제1절 과세표준 262
1. 과세표준 262
2. 재화의 간주공급에 대한 과세표준 266
3. 부동산의 공급 269
4. 임대용역의 공급 270
5. 대손세액공제 271
제2절 거래징수와 세금계산서 273
1. 거래징수 273
2. 세금계산서 273
3. 영수증 277
제3절 매입세액공제와 납부세액 계산 280
1. 매입세액공제 281
2. 공제받지 못할 매입세액 286
3. 기타 경감공제세액 288
4. 예정신고 미환급세액과 예정고지세액 289
8 -
제4절 겸영사업자의 세액계산 특례 290
1. 과세표준의 안분계산 290
2. 공통매입세액의 안분계산 292
3. 납부세액 또는 환급세액의 재계산 294
제 3 장 신고 및 간이과세제도
제1절 부가가치세 신고와 납부 296
1. 부가가치세의 신고 및 납부절차 296
2. 경정 297
3. 부가가치세의 환급 298
4. 가산세 299
제2절 간이과세제도 305
1. 간이과세자의 개념 305
2. 과세유형의 전환 306
3. 간이과세의 포기 307
4. 간이과세자의 납부세액 계산구조 308
5. 신고와 납부 310
Part 4 소득세(원천징수)
제 1 장 소득세법 총칙
제1절 소득세 총칙 314
1. 소득세 이론 314
2. 소득세의 납세의무 317
3. 소득세의 계산구조 320
제 2 장 종합소득금액의 계산
제1절 이자와 배당소득 321
1. 이자소득 321
2. 배당소득 323
3. 금융소득에 대한 과세방법 325
- 9
제2절 사업소득과 근로소득 327
1. 사업소득 327
2. 근로소득 331
제3절 연금소득과 기타소득 338
1. 연금소득 338
2. 기타소득 342
제 3 장 종합소득세액의 계산
제1절 소득금액 계산 및 세액계산의 특례 347
1. 부당행위계산의 부인 347
2. 결손금과 이월결손금의 공제 348
제2절 종합소득 과세표준의 계산 350
1. 종합소득 과세표준 350
2. 인적공제 350
3. 연금보험료 공제 353
4. 주택담보 노후연금 이자비용공제 353
5. 특별소득공제 354
6. 신용카드사용액에 대한 소득공제 355
7. 종합소득세액의 계산 361
8. 세액감면 362
9. 소득세법상 세액공제 362
제3절 소득세의 신고납부절차 375
1. 소득세의 납세절차 375
Part 5 재무회계실습
제 1 장 기초정보관리
제1절 프로그램의 설치 380
1. 프로그램의 설치와 백업데이터 380
10 -
제2절 기초정보관리 386
1. 회사등록 386
2. 거래처등록 389
3. 계정과목 및 적요등록 392
4. 환경등록 396
제3절 전기분 재무제표 관리 398
1. 전기분 재무상태표 398
2. 전기분 원가명세서 403
3. 전기분 손익계산서 406
4. 전기분 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 410
5. 거래처별 초기이월 413
제 2 장 전표관리
제1절 일반전표 입력연습 415
1. 기본적인 입력방법 415
2. 일반전표의 종류 416
제2절 매입매출전표의 입력연습 436
1. 매입매출전표 436
제 3 장 기업의 결산 관리
제1절 결산자료의 입력 454
1. 수익과 비용의 검토 454
2. 자산 및 부채의 검토(평가) 455
3. 고정자산 및 감가상각 456
4. 자동결산과 수동결산 460
5. 결산정리사항의 처리 461
6. 결산정리 및 결산자료의 입력 461
7. 결산자료 입력 완료 후 순서 467
- 11
Part 6 세무관리실습
제 1 장 부가가치세 실습
제1절 부가가치세 신고서 470
1. 사업장명세 470
2. 일반과세 471
제2절 세금계산서 합계표 474
1. 조회방법 474
제3절 부가가치세 부속명세서 476
1. 부동산 임대공급가액 명세서 476
2. 영세율첨부서류와 수출실적명세서 481
3. 대손세액공제 신고서 485
4. 신용카드매출전표 등 발행금액 집계표 487
5. 신용카드매출전표 등 수령명세서 488
6. 의제매입세액 공제신고서 490
7. 재활용폐자원세액 공제신고서 494
8. 건물 등 감가상각자산 취득명세서 497
9. 공제받지 못할 매입세액명세서 497
제4절 가산세의 계산 504
1. 부가가치세법상 가산세 504
2. 국세기본법상 가산세 506
제 2 장 원천징수 신고실습
제1절 근로소득 관리 512
1. 사원등록 512
2. 급여자료의 입력 522
제2절 근로소득의 연말정산 및 원천징수 관리 525
1. 연말정산 자료입력 525
2. 원천징수이행상황신고서 534
Part 7 실전문제풀이 실습
제 1 장 최신 기출문제 연습
제82회 기출문제연습 536
제83회 기출문제연습 546
제84회 기출문제연습 556
제85회 기출문제연습 565
제86회 기출문제연습 574
제87회 기출문제연습 585
제88회 기출문제연습 595
제90회 기출문제연습 605
제91회 기출문제연습 615
제92회 기출문제연습 625
제93회 기출문제연습 636
제 2 장 실전모의고사 연습
제 1 회 실전모의고사 647
제 2 회 실전모의고사 656
제 3 회 실전모의고사 665
제 4 회 실전모의고사 675
Part 8 정답 및 해설
제 1 장 최신 기출문제 정답 및 해설 686
제 2 장 실전모의고사 정답 및 해설 738
책속에서
머리말
현대의 사회에서“회계와 세법”은 이제는 상식에 속하는 세상이 되었다. 그렇기 때문에 우리는 기본적으로 회계와 세법에 대해서는 어쩔 수 없이 공부를 해야만 한다. 특히 회계와 세무 관련 자격증을 취득해야 하는 학생들은 회계와 세법을 필연적으로 열심히 공부를 해야 하는데, 그러나 처음 회계학과 세법을 공부하기란 결코 만만치가 않은 과목에 속한다.
본 저자는“왜? 학생들은 회계와 세법이 어렵다고 할까?”하며 많은 물음을 한 적이 있다. 저자는 과거 회계보다는 부기라는 학문으로 회계를 접했다. 이렇게 저자가 회계와 세법을 처음 접할 때를 생각해보고, 강단에서 20여 년 동안 강의를 하면서 학생들의 학습 방법을 분석하면 그 해답은 다음과 같이 찾을 수 있었다. 학생들이 어렵게 공부하는 이유는
첫째, 시중 교재들이 참 어렵게 집필되어 시중에 출간되고 있다는 것이다.
둘째, 학습자들이 기본이 되는 이론을 등안시 하고, 무조건 자격증을 취득하기 위하여 실무를 먼저 접근한다는 것이다. 즉, 전문용어에 대한 생소함과 이해부족으로 학습을 매우 어렵게 하고 있다는 것이다.
셋째, 어려운 내용일수록 이해를 바탕으로 계속적인 반복학습이 필요한데도 학습자들이 집중력과 반복학습효과의 효율성을 너무 모르고 있다는 것이다.
저자는 수험생에게 필요한 부분을 잘 알기에 위와 같은 부분을 감안하여 교재집필에 심혈을 기울였다. 수험생들이 회계와 세법을 좀 더 쉽게 공부하면서 이해를 바탕으로 하는 반복적인 학습에 의한 수준 높은 공부가 되는 교재의 저술과 수험생들이 짧은 학습투여 시간에서도 목적하는 자격증을 무난히 취득할 수 있는 교재의 출간을 위해 부단히 노력하였다. 두말 할 필요 없이 자격증 대비 공부의 최종목표는 자격증을 취득하는 데 있으며, 특히 본 교재는 전산회계1급 자격증 시험에 합격할 수 있는 교재가 되도록 아래와 같은 내용에 중점을 두어 집필하였다.
본 교재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기본 개념을 이해하기 위하여 이론을 충분히 할 수 있도록 이론부분을 매우 많이 제공하였다. 회계학과 세법은 기본내용의 이해와 체계적인 학습이 선행되어야만 다음 공부를 할 수가 있으며 응용력이 증대가 된다. 따라서 본 교재는 수험생들이 이해와 체계적인 학습을 할 수 있도록 노력을 하여 집필하였다.
둘째, 중요한 내용은 반복 학습을 통해 학습효과를 극대화하였다.
“공부를 했다는 것”은 해당 내용을 이해하고 있어야 한다는 뜻이다. 특히 시험공부를 하는 수험생은 어렴풋이 기억하는 학습수준으로는 높은 점수를 기
- -
대 할 수도 없고, 또한 원하는 시험합격은 어려울 것이다. 따라서 본 교재의 특징은 중요한 내용은 반족적인 내용과 많은 문제풀이를 통해 학습자의 학습에 대한 효율성을 중대되도록 노력하였다.
셋째, 고득점 합격에 심혈을 기울여 집필하였다.
자격증 취득을 위해 공부하는 수험생은 자격증을 취득해야 한다. 따라서 본 교재는 수험생목적에 충실하여 집필되었다. 기출문제의 철저한 분석을 바탕으로 앞으로 출제 가능한 예상문제를 엄선하여 실었으며, 하나의 예상문제로 실제 시험문제에서 여러 문제를 풀 수 있는 실력을 갖추는 수험생이 되도록 수준 높은 문제로 구성하려고 노력을 하였다.
넷째, 개정된 내용을 모두 반영하였다.
회계학과 세법은 사회과학분야이기 때문에 회계기준과 법이 자주 개정이 된다. 따라서 수험생은 개정된 내용으로 공부를 해야만 한다. 본 교재는 가장 최근에 개정된 내용을 반영하여 집필을 했기 때문에 학습하는 데 어려움이 없을 것이며, 출간 후 개정된 내용은 출판사의 홈페이지를 통해 업그레이드된 정보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아무리 많은 노력을 했다고 해도 항상 부족함이 있는 것이 세상사이고 교재의 집필이다. 부족한 내용은 앞으로 많은 노력을 통해 완성도를 높이려고 한다. 자격증시험에 합격했다는 것은 전문지식을 습득하고 있다는 사실이다. 합격한 수험생은 전문지식도 갖추어 자신의 역량이 한층 증대되고 삶의 질도 나아질 것이다. 하지만 수험생입장에서는 결코 쉽지 않은 공부이기 때문에 시작을 하지 않거나 중도에 포기하는 수험생이 많으며, 이런 학생들을 볼 때마다 저자들은 참 가슴이 아프다. 그러나 이 글을 본 수험생만큼은 절대 중도에 시험을 포기하지 말고 끝까지 공부할 것을 염원한다. 그래서 원하는 자격증을 꼭 취득하기 바라고, 사람은 자신의 생각의 크기만큼 세상을 보는 혜안이 있기 때문에 계속 지식과 상식을 쌓기 바란다.
이 교재가 출간되기 전까지 많은 분들의 도움이 있었지만, 출간이 되기까지 가장 수고를 많이 한 에이티패스원 기획실, 서일대학의 윤경옥 교수, 동원대학의 최영목 교수, 연성직업학교 신주영 교수께 감사드리며, 끝으로 본 교재로 공부하는 모든 수험생들에게 합격의 영광이 함께하기를 기대한다.
2021년 3월 8일
공동저자 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