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고등학교참고서 > 논술/면접/수시 > 대입논술
· ISBN : 9791188326501
· 쪽수 : 596쪽
· 출판일 : 2019-07-12
책 소개
목차
들어가며 5
1주차 연구방법
01일 2009학년 모의 인문계열 역사의 해석 10
02일 2011학년 수시 사회계열 과학적 방법론: 인과관계와 상관관계 20
03일 2018학년 수시 사회계열 과학적 설명방식: 인과적 감정이입 30
04일 2013학년 수시 사회계열 현실주의적 낙관성 40
1주차 개인과 사회
05일 2019학년 수시 인문계열 중독의 문제 및 해결 62
06일 2014학년 수시 사회계열 사회적 갈등에 대한 해결방식 72
07일 주간 복습 90
2주차 개인과 사회
08일 2008학년 모의 1차 인문계열 사회형성론- 전통 vs 계약 92
09일 2015학년 모의 사회계열 사회문제를 바라보는 눈 - 기능론 vs 갈등론 110
2주차 정치와 사회
10일 2017학년 수시 인문계열 평화를 가져오는 정치 142
2주차 국가와 정치
11일 2009학년 수시 사회계열 대립상황을 해결하는 방식 166
2주차 공정성과 정의
12일 2015학년 모의 인문계열 행복 188
13일 2016학년 수시 인문계열 예술적 성취 200
14일 주간 복습 228
3주차 공유지의 비극
15일 2010학년 수시 인문계열 공공성 실현의 주체 230
3주차 행동 경제학
16일 2011학년 모의 사회계열 인간행위론(합리적 이성) 248
3주차 기술과 사회
17일 2017학년 수시 사회계열 과학기술과 문화변동 266
3주차 환경과 미래
18일 2015학년 수시 인문계열 인간과 동물의 관계 290
3주차 윤리학
19일 2016학년 수시 사회계열 진정성 있는 사람에 대한 서로 다른 관점 312
20일 2019학년 수시 사회계열 명예와 명성 320
21일 주간 복습 346
4주차 윤리학
22일 2010학년 모의 인문계열 상호호혜성의 형성(인간본성론) 348
23일 2014학년 수시 인문계열 공감의 방식과 그 차이 376
24일 2015학년 수시 사회계열 문화적 갈등과 그 해소 방식 384
25일 2011학년 수시 인문계열 죽음에 대한 태도의 비교(인간본성론) 402
4주차 미학
26일 2013학년 수시 인문계열 ‘아름다움’에 관한 3개의 태도 420
4주차 사고 과정
27일 2012학년 수시 인문계열 낭비에 관한 두 개의 태도 440
28일 주간 복습 460
5주차 역사 철학
29일 2018학년 수시 인문계열 신뢰관계에 따른 사회변화 462
30일 2009학년 정시 인문계열 역사의 진행방향 474
31일 2008학년 모의 2차 인문계열 역사의 진행방향 486
32일 2012학년 수시 사회계열 대중의 역할 504
33일 2008학년 수시 인문계열 중용론: 정치철학 514
34일 2008학년 정시 인문계열 민족주의 538
35일 주간 복습 564
5주차 미디어와 사회
36일 2020학년 모의 인문/사회계열 미디어 기술과 사회변화 566
참고 문헌 596
저자소개
책속에서
나는 이 책을 논술시험이 로또가 되는 것을 조금이라도 막아내려는 목적으로 썼다. 논술시험을 둘러싸고 푸념이나 넋두리처럼 해대는 ‘역시 로또였어.’라는 말들이 사라지기 바라서이다. 논술은 운이 아니라 실력으로 평가받는 전형이어야 한다. 물론 논술이 단기간에 완성되는 암기과목은 아니어서 그 누구라도 따로 준비가 필요하다는 사실 정도는 안다. 그렇지만 ‘제대로 준비’하기가 힘들다는 점에 더 많은 수험생들이 실망하곤 한다. 더구나 논술을 열심히 준비를 했는데, 도대체 그것이 제대로 된 준비인지 확인하기 어렵다. 나는 이 책을 통해 학생들이 자신이 했던 논술공부가 합격을 위한 과정이었는지, 아니었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고 자신한다.
― 들어가며, 4p
수록 문제는 연세대가 지금의 논술시험 유형에 맞게 출제했던 2008학년 입시부터 2020학년까지 망라하였다. 모의 논술, 수시 논술 그리고 정시 논술이라도 지금의 문제유형에 맞는 것이라면 하나도 빠지지 않고 수록하려 하였다. 대체로 강남의 논술학원들은 연세대 논술시험 유형에 맞춰 예상문제를 출제하지만, 내 경험으로 예상문제보다는 연세대 출제교수들이 심혈을 기울여 출제한 논술시험 문제들을 꼼꼼히 풀어보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 들어가며, 5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