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수험서/자격증 > 공무원 수험서 > 군무원/부사관
· ISBN : 9791188651221
· 쪽수 : 662쪽
· 출판일 : 2019-08-15
책 소개
목차
PART 01 국가정보학
Chapter 01 국가정보학의 개관/12
01 국가정보학의 개념 12
02 국가정보 활동 16
03 국가정보 18
Chapter 02 국가안보와 국가정책/24
01 국가안보와 환경변화 24
02 국가정보와 정책 26
Chapter 03 정보의 순환과 정보실패/29
01 정보의 순환개념 29
02 정보의 순환과정 30
03 정보요구 32
04 정보순환과정에서의 오류 34
05 정보의 실패 35
Chapter 04 정보수집/43
01 정보 분류 개념 43
02 정보수집의 분류 43
03 인간정보(HUMINT) 44
04 공개출처정보(OSINT) 52
05 기술정보(TECHINT) 55
Chapter 05 정보분석/72
01 정보분석의 정의와 개념 72
02 정보분석과 국가이익 73
03 정보분석단계와 과정 75
04 정보분석 방법과 기법 77
05 양적분석 기법(Quantitative Analytic Techniques) 79
06 질적분석 기법(Qualitative Analytic Techniques) 81
07 대안분석 기법 84
08 분석기구 유형 87
09 정보분석관과 사용자와의 관계 89
10 정보분석 학파 90
11 정보분석관 이슈 91
Chapter 06 정보보고서 생산 및 배포/95
01 정보보고서의 개념 95
02 정보보고서의 종류 96
03 정보보고서의 요건 99
04 비밀 정보보고서 생산 및 관리 101
05 정보보고서 배포형태 및 배포 105
06 정보보고서 배포와 관련된 이슈 108
Chapter 07 비밀공작/110
01 비밀공작의 정의와 목적 110
02 비밀공작의 기원 111
03 비밀공작의 특징과 기본원칙 112
04 비밀공작의 결정과정 114
05 비밀공작의 실행 116
06 비밀공작의 원칙과 관련 법령 118
07 비밀공작의 장·단점 119
08 비밀공작의 이론 120
09 비밀공작활동의 이슈 122
10 비밀공작의 분류 126
11 선전공작 (propaganda operation) 128
12 정치공작 (political operation) 130
13 경제공작(economic operation) 131
14 전복공작(coups operation) 132
15 준군사공작(Paramilitary Operation) 133
16 기만공작(Disinformation Operation) 135
17 비밀공작의 한계와 책임소재 136
18 중국병법 36계(비밀공작시 참고사항) 138
Chapter 08 방첩 및 보안활동/141
01 방첩활동의 개념 141
02 방첩활동의 역사 142
03 방첩활동의 목적과 범위 144
04 방첩활동의 유형 145
05 한국의 방첩활동 및 법령 148
06 미국의 방첩 법령 152
07 방첩활동의 사례 153
08 방첩 프로그램 156
09 방첩활동 관련 이슈 157
10 보안의 정의와 한국 보안제도 160
11 인원 보안 162
12 비밀취급 인가권자 164
13 문서 보안 166
14 시설 보안 168
15 정보통신 보안 170
Chapter 09 대테러 활동/172
01 테러와 테러리즘의 개념 172
02 테러의 유형과 원인 173
03 테러리즘 사상 176
04 대 테러 개념 178
05 한국 테러대응 체계 179
06 미국 테러대응 체계 187
07 독일 테러대응 체계 193
08 프랑스 테러대응 체계 194
09 영국 테러대응 체계 196
10 기타 외국의 테러대응 조직 197
11 세계의 테러단체 198
12 북한의 주요 테러형태 및 사례 203
Chapter 10 사이버 테러 및 사이버전/208
01 사이버 범죄·테러·사이버전의 개념 208
02 사이버의 특징 210
03 사이버 테러의 특징 211
04 사이버전(정보전)의 특징 213
05 한국의 국가사이버 안전관리규정 215
06 한국의 사이버 안전 관련기관 219
07 미국의 사이버 대응체계 222
08 북한의 사이버 공격 223
09 국제 사이버 협력체제 227
10 하드웨어 공격방법 229
11 소프트웨어 공격방법 231
Chapter 11 산업정보활동/236
01 산업정보와 경제정보의 개념 236
02 탈냉전과 경제안보, 산업정보의 등장 238
03 산업정보활동 240
04 정보기관의 산업정보수집 방법 241
05 한국의 산업정보활동 및 관련 기관 244
06 각국 정보기관의 산업정보활동 246
Chapter 12 국제범죄 및 마약/252
01 국제범죄 252
02 마약 257
Chapter 13 국가 정보기구 개관/262
01 국가 정보기관 특성 262
02 정보기구의 분류 264
03 통합형과 분리형 정보기구 265
04 국내정보기구와 해외정보기구 267
05 군 정보기구 268
06 국가정보기구와 부문정보기구 269
07 민주주의·권위주의 국가 정보기구 비교 270
Chapter 14 한국의 정보기구/272
01 한국 정보기구의 역사 272
02 중앙정보부 275
03 국가안전기획부 276
04 국가정보원 277
05 국가정보원 주요 조직 279
06 군 정보기관 281
Chapter 15 북한의 정보기구/286
01 북한정보기구 특성 및 역사 286
02 북한의 국가전략 287
03 김정은 직책과 정보기관 통제 288
04 북한 정보기구 개관 289
05 국가보위성(국가안전보위성) 290
06 정찰총국 292
07 보위국(보위사령부) 294
08 당 문화교류국 295
Chapter 16 미국의 정보기구/297
01 미국 정보공동체 발전 역사 297
02 국가정보장(DNI) 299
03 미국 정보공동체 308
04 중앙정보국(CIA) 309
05 국방정보국(DIA) 312
06 국가안보국(NSA) 316
07 국가정찰국(NRO) 318
08 국가지형정보국(NGA) 320
09 육군 정보보안사령부(INSCOM) 322
10 해군정보국(ONI) 324
11 공군 정보감시정찰국(AF ISR) 326
12 해병대 정보국(MCIA) 328
13 법무부 연방수사국(FBI) 329
14 법무부 마약단속국(DEA) 332
15 국무부 정보조사국(INR) 334
16 국토안보부 정보분석국(I&A) 336
17 국토안보부 해경정보실(CGI) 337
18 에너지부 정보방첩실(OICI) 339
19 재무부 정보분석실(OIA) 340
Chapter 17 일본 정보기구/342
01 일본 정보기구 역사 342
02 정보관련 부서 및 협의체 343
03 내각정보조사실(CIRO) 345
04 공안조사청(PSIA) 348
05 방위성 정보본부(DIH) 350
06 일본 정보기구의 발전 동향 352
Chapter 18 중국 정보기구/354
01 중국 정보기구 역사 354
02 중국 정보기구 체계 355
03 중앙통일전선공작부 357
04 대외연락부 358
05 국가안전부(MSS) 359
06 공공안전부(MPS) 및 신화사 362
07 군 정보기구 363
08 중국 참고기관 364
Chapter 19 러시아 정보기구/366
01 러시아 정보기구의 역사 366
02 해외정보부(SVR) 370
03 연방보안부(FSB) 372
04 연방군 정보총국(GRU) 375
05 정보통신국(FAPSI) 378
06 연방경호부(FSO) 379
07 러시아 정보기구의 한계 381
Chapter 20 영국의 정보기구/383
01 영국 정보기구의 역사 383
02 비밀정보부(SIS, MI6) 384
03 보안부(SS, MI5) 387
04 정보통신본부(GCHQ) 389
05 국방정보부(DI) 391
06 합동정보위원회(JIC) 393
07 내각부 정보협의체 및 조직 394
08 정보기관 변화와 정보통제 396
Chapter 21 프랑스 정보기구/397
01 프랑스 정보기구의 역사 397
02 해외안보총국(DGSE) 398
03 국내안보총국(DGSI) 400
04 군사정보부(DRM) 402
05 국방정보보안국(DRSD) 403
06 정보협의체 및 산하 기구 404
Chapter 22 독일 정보기구/406
01 독일 정보기구의 역사 406
02 연방정보부(BND) 407
03 연방헌법보호청(BfV) 409
04 연방범죄수사청(BKA) 411
05 연방군 보안국(MAD) 412
06 전략정보사령부(KSA) 414
07 정보기구의 감시 및 통제 415
Chapter 23 이스라엘 정보기구/416
01 이스라엘 정보기구의 역사 416
02 모사드(Mossad) 417
03 신베트(Shin Beth) 419
04 아만(Aman) 421
05 라캄(LAKAM) 423
06 대테러 및 사이버 조직 424
07 이스라엘 정보기구의 개혁과 과제 425
Chapter 24 정보기구의 통제/426
01 정보기구의 통제의 의미와 필요성 426
02 정보기구 통제의 변화 427
03 정보기구 통제의 기준 428
04 입법부의 정보기구 통제 429
05 행정부의 정보기구 통제 432
06 언론에 의한 정보기구 통제 433
07 미국의 정보기구 통제 435
08 한국의 정보기구 통제 445
Chapter 25 정보환경 변화와 정보 혁신/450
01 국가정보 환경의 변화와 혁신 450
02 정보혁신 주요이슈와 인재확보 방안 451
03 국가정보체계 발전 방향 452
Chapter 26 정보 법령/454
01 방첩 및 보안 관련 법률 454
02 테러 및 사이버전 관련 법률 458
03 국가정보원법 법률 458
04 산업 및 방위산업기술 보호관련 법률 460
05 외국의 방첩관련 법률 464
PART 02 정보관련 법령집
01 국가보안법 468
02 국가정보원법 474
03 군사기밀 보호법 479
04 산업기술 유출방지 및 보호에 관한 법률 483
05 방위산업기술 보호법 497
06 국민보호와 공공안전 위한 테러방지법 504
07 통신비밀보호법 510
08 보안업무규정 523
09 국가사이버안전관리규정 532
10 방첩업무규정 539
11 군형법 543
PART 03 기출 및 모의고사
[기출문제]
■ 2014년 국가정보학 기출문제 570
·정답 및 해설 574
■ 2015년 국가정보학 기출문제 576
·정답 및 해설 581
■ 2016년 국가정보학 기출문제 584
·정답 및 해설 588
■ 2017년 국가정보학 기출문제 591
·정답 및 해설 596
■ 2018년 국가정보학 기출문제 598
·정답 및 해설 605
■ 2019년 국가정보학 복원문제 608
[모의고사]
■ 국가정보학 모의고사(1) 611
·정답 및 해설 615
■ 국가정보학 모의고사(2) 618
·정답 및 해설 622
■ 국가정보학 모의고사(3) 625
·정답 및 해설 629
■ 국가정보학 모의고사(4) 632
·정답 및 해설 636
■ 국가정보학 모의고사(5) 639
·정답 및 해설 643
■ 국가정보학 모의고사(6) 645
·정답 및 해설 649
PART 04 참고문헌
■ 국내 단행본 654
■ 국내 논문 656
■ 외국 단행본 658
■ 외국 논문 6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