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자연과학계열 > 화학
· ISBN : 9791188847297
· 쪽수 : 122쪽
· 출판일 : 2019-01-24
목차
1. 매스 스펙트로메트리란 무엇인가? 1
1.1 매스 스펙트로메트리로 밝혀지는 것 2
1.2 장치의 대강 3
1.3 측정할 수 있는 샘플 3
1.4 매스 스펙트럼의 견해 4
1.5 왜 여러 종류의 장치가 있나요 5
2 장치를 알기 쉽게 설명하면 6
2.1 이온화 6
2.2 분석계 7
2.3 검출기 8
2.4 데이터 처리 9
3 이온화를 쉽게 이해한다 10
3.1 이온이란 무엇인가? 10
3.2 이온에는 어떤 타입이 있는가? 11
3.3 이온원에서 샘플에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는가? 12
3.4 어떤 이온화법이 있는가? 13
3.5 시료의 성질과 이온화의 궁합은? 19
4 분석계를 알기 쉽게 설명하면 21
4.1 분석계는 무엇인가? 21
4.2 분석계에서 무엇이 일어나고 있는가? 22
4.3 어떤 분석계가 있는가? 23
4.4 이온화와 분석계의 궁합은? 28
4.5 시료의 성질이나 연구 대상에 적절한 분석계의 선택법은? 31
5 검출기를 알기 쉽게 설명하면 37
5.1 검출기에는 어떤 종류가 있는가? 37
5.2 이온을 검출한 뒤 어떻게 하는가? 41
6 데이터 처리를 알기 쉽게 설명하면 42
6.1 컴퓨터의 역할은? 42
6.2 데이터의 도입 방법은? 43
6.3 질량교정 방법은? 45
6.4 라이브러리 검색은? 46
7 매스 스펙트럼은 어떻게 읽는가? 47
7.1 분자량 관련 이온이나 fragment 이온은 무엇인가? 47
7.2 주이온과 동위체 이온은 무엇인가? 48
7.3 분자량과 정수 질량과 정밀 질량을 어떻게 이해하면 좋은가? 49
7.4 동위체 피크가 많이 관측될 때는 어느 질량을 읽으면 좋은가? 51
7.5 Fragmentation은 왜 일어나는가? 52
7.6 분해능이란 무엇인가? 53
8 MS/MS를 알기 쉽게 설명하면 54
8.1 MS/MS란 무엇인가? 54
8.2 어떻게 이온을 부수는가? 55
8.3 어떤 장치가 있는가? 56
8.4 스펙트럼은 어떻게 읽는가? 61
9 시료의 전처리를 알기 쉽게 설명하면 62
9.1 왜 전처리가 필요한가? 62
9.2 어떤 전처리법이 있는가? 67
9.3 이온화법이나 샘플에 따라 전처리는 다른가요? 69
9.4 MS에 적절한 탈염법은? 70
10 측정의 노하우는? 72
10.1 요령 좋은 샘플의 취급이란 72
10.2 MALDI의 대표적 매트릭스와 결정 작성법 76
10.3 FAD의 대표적 매트릭스와 매트릭스 유래의 피크 77
10.4 감도 좋게 측정하기 위한 요령은? 78
10.5 트러블의 실례와 대처법은 79
11 LC-MS (액체 크로마토그래피·질량 분석)를 알기 쉽게 설명하면 81
11.1 어떤 장치가 있는가? 82
11.2 ESI와 APCI는 어떻게 구분하여 사용하는가? 89
11.3 LC-MS에서 인산 완충액은 사용할 수 있는가? 91
11.4 순상계, 역상계은 무엇인가요? 92
11.5 순상계를 사용하고 싶을 때는 어떻게 하면 좋은가? 93
11.6 LC의 컬럼으로는 어떤 종류가 있는가? 94
11.7 시료와 컬럼과 장치의 관계를 알기 쉽게 정리하면 98
12 GC-MS를 알기 쉽게 설명하면 99
12.1 어떤 장치가 있는가? 99
12.2 분리 조건은 GC와 같은가? 103
12.3 GC-MS의 컬럼에게는 어떤 종류가 있는가? 103
12.4 어떤 이온화가 사용되는가? 104
12.5 시료의 주입 방법으로 여러 가지 있는 것 같지요? 105
12.6 분석 시료의 성질과 이온화와 컬럼의 관계는? 108
13 정량 분석을 알기 쉽게 설명하면 109
13.1 MS로 정량은 어떻게 하는가? 109
13.2 GC-MS나 LC-MS로 정량하는 것의 메리트는? 111
13.3 매스 크로마토그래피와 SIM은 차이가 무엇인가? 111
13.4 SIM과 SRM은 차이가 무엇인가? 113
14 정리 115
14.1 선배가 초심자에게 주는 한마디 115
14.2 또 한 걸음 나아가는 데에는 어느 책을? 116
색인 1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