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고등학교참고서 > 수능대비 > 한국사
· ISBN : 9791189001353
· 쪽수 : 256쪽
· 출판일 : 2020-01-10
책 소개
목차
I 전근대 한국사의 이해
01 고대 국가의 지배 체제
1 선사 시대의 문화
2 고조선과 여러 나라의 성장
3 고대 국가의 성립과 발전
4 통일 신라와 발해의 발전
02 고대 사회의 종교와 사상
1 고대 국가의 유학
2 고대 국가의 불교
3 고대 국가의 도교와 풍수지리설
03 고려의 통치 체제와 국제 질서의 변동
1 고려의 건국과 통치 체제의 발전
2 국제 정세의 변동과 문벌 귀족 사회의 동요
3 무신 정권의 성립과 몽골의 침입
4 공민왕의 개혁 정치와 고려의 멸망
04 고려의 사회와 사상
1 고려의 사회와 여성의 지위
2 고려의 유교
3 고려의 불교
4 고려의 도교와 풍수지리설
05 조선 시대 세계관의 변화
1 조선 건국과 통치 체제 정비
2 사림의 성장과 붕당 정치의 전개
3 조선의 대외 관계와 양 난
4 세계관의 변화
06 양반 신분제 사회와 상품 화폐 경제
1 수취 체제의 개편과 농업 생산력의 증가
2 수공업 · 광업 · 상업의 발달
3 신분 질서와 향촌 사회의 동요
4 사회 변혁의 움직임
II 근대 국민 국가 수립 운동
01 서구 열강의 접근과 조선의 대응
1 19세기 조선의 국내외 상황
2 흥선 대원군의 대내 정책
3 열강의 침략과 통상 수교 거부 정책
02 동아시아의 변화와 근대적 개혁의 추진
1 조선의 문호 개방과 불평등 조약 체결
2 개화파의 형성과 개화 정책의 추진
3 개화 정책에 대한 반발과 임오군란 · 갑신정변
03 근대 국민 국가 수립을 위한 노력
1 동학 농민 운동과 청 · 일 전쟁의 발발
2 갑오개혁
3 독립 협회와 대한 제국
04 일본의 침략 확대와 국권 수호 운동
1 러 · 일 전쟁의 발발과 일제의 침략
2 국권 수호 운동과 간도와 독도
05 개항 이후의 경제와 사회 · 문화의 변화
1 개항 이후 경제 변화
2 열강의 이권 침탈과 경제적 구국 운동의 전개
3 근대 의식의 확대와 사회 모습의 변화
4 근대 문물의 수용과 교육 기관의 설립
5 언론 기관의 발달과 근대 문화의 변화
III 일제 식민지 지배와 민족 운동의 전개
01 일제의 식민지 지배 정책
1 제1차 세계 대전과 국제 정세의 변화
2 무단 통치와 수탈 체제의 확립
3 민족 분열 통치와 경제 수탈의 확대
02 3 · 1 운동과 대한민국 임시 정부
1 1910년대 항일 비밀 결사와 국외 독립운동 기지 건설
2 3 · 1 운동
3 대한민국 임시 정부
03 다양한 민족 운동의 전개
1 무장 독립 전쟁과 의열 투쟁
2 실력 양성 운동의 전개
3 사회주의의 유입과 사회적 민족 운동의 전개
4 민족 유일당 운동의 전개
04 사회 · 문화의 변화와 민족 문화 수호 운동
1 도시와 농촌의 변화
2 민족 문화 수호 운동
3 일제의 교육 정책과 문예 및 종교 활동
05 전시 동원 체제와 민중의 삶
1 전체주의 국가의 등장과 제2차 세계 대전
2 민족 말살 통치와 전시 동원 체제
3 친일 반민족 행위자
06 광복을 위한 노력
1 한 · 중 연합 작전
2 항일 유격 전쟁과 민족 통일 전선을 위한 노력
IV 대한민국의 발전
01 8 · 15 광복과 대한민국 정부 수립
1 광복 전후의 국내외 상황
2 대한민국 정부 수립
02 6 · 25 전쟁과 남북 분단
1 친일파 청산과 토지 개혁
2 6 · 25 전쟁
03 4 · 19 혁명과 민주화를 위한 노력
1 4 · 19 혁명
2 장면 내각과 5 · 16 군사 정변
3 박정희 정부와 유신 체제
4 신군부 독재와 5 · 18 민주화 운동
04 6월 민주 항쟁과 민주주의의 발전
1 6월 민주 항쟁
2 민주화의 진전
3 시민 사회의 성장
05 경제 성장과 사회 · 문화의 변화
1 고도성장과 사회 · 문화의 변화
2 현대 사회의 과제
06 남북 화해와 동아시아 평화를 위한 노력
1 북한 정치의 변화
2 북한 경제의 변화
3 평화와 통일을 위한 노력
4 동아시아 갈등 해결을 위한 노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