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외국어 >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 한국어 일반
· ISBN : 9791189141202
· 쪽수 : 176쪽
· 출판일 : 2019-12-25
책 소개
목차
chapterⅠ 한국어 배우기
1. 한국어란 무엇인가 12 1) 한글의 탄생 2) 한글이 만들어진 원리
2. 한국어를 배우기 전에 18
1) 한국의 전통사상 2) 천지인 삼재사상과 태극기
3) 삼박자와 삼 세 판의 의미 4) 천지인을 상징하는 기호
3. 한글 기초 배우기 26
1) 시작소리인 아들기호 14개와 발음 2) 가운뎃소리인 어머니기호 10개와 발음
3) 마지막소리인 아버지기호와 발음
4. 한국어 실전 50 1) 문법 2) 존칭 3) 실용한국어
ChapterⅡ 한글서예 기초
1. 한글서예란 무엇인가 62
1) 서예의 정의 2) 필기구의 발전 3) 동아시아의 서예 4) 한글서예
2. 서예를 위한 준비물 74
1) 붓 2) 종이(한지•화선지) 3) 먹 4) 벼루 5) 연적, 문진, 기타 준비물
3. 붓을 사용하는 방법 84
1) 붓 잡는 법 2) 글씨 쓰는 자세 3) 붓을 운용하는 방법(운필)
4. 나머지 준비과정 92 1) 먹물 만들기 2) 종이 접기
ChapterⅢ 한글서예 실전
1. 기본기호•어머니기호•아들과 아버지기호 96
2. 목판본형 글씨체 쓰기 98
1) 목판본형(판본체)의 특징
2) 기호연습 ◆기본기호 쓰기 ◆어머니기호(모음) 쓰기 ◆아들•아버지기호(자음) 쓰기 ⓷
3) 한글연습 ◆아들과 어머니기호 결합글자 ⓵◆아들과 어머니•아버지기호 결합글자 ⓶
3. 궁정형(궁체) 글씨체 쓰기 132
1) 궁정형의 특징
2) 기호 연습 ◆기본기호 쓰기 ◆어머니기호(모음) 쓰기 ◆아들과 아버지기호(자음) 쓰기 3) 한글 연습 ◆아들과 어머니기호 결합글자 ⓵ ◆아들과 어머니•아버지기호 결합글자
책속에서
이 책에서 한글은 한 가정을 이루는 구성원의 모습을 나타낸다. 낮에는 아버지가 밖에서 일하기 때문에 아이들과 어머니만 집에 있고, 밤에는 가장이 일터에서 돌아와 완전한 가족 구성원이 모두 모이는 삶의 형태를 따른 것이다. 특히, 아이들이 오직 아들로만 대표되었던 것은 한글이 만들어질 당시 조선시대의 사회구조가 부계사회였기 때문이다.
한국인들은'삼 세 판'이라고 하여 모든 승부를 3전2선승제로 결정하는 암묵적 관습을 따른다. 그 이유는 인간의 삶에서 이루어지는 모든 결정에는 세 가지 요소가 개입된다는 것이다. 첫판은 하늘이 정하고 둘째 판은 땅이 정하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하늘과 땅이 뜻을 모았으면 더 이상 인간이 개입할 여지가 없으므로 겸허하게 이를 따라야 한다. 그러나 하늘과 땅의 뜻이 일치되지 않았을 때 비로소 인간에게 스스로 자신들의 운명을 결정할 기회가 주어진다는 것이 삼세판에 숨겨진 의미다.
아시아에서 서예란 펜이 아닌 붓으로 글씨를 쓰는 행위를 말한다. 동양의 서예는 이집트나 마야의 그것처럼 고대문자인 상형문자를 쓰는 데서 시작됐다. 서예는 많은 시간이 흐르면서 발전을 거듭해 예술의 한 분야가 되었다. 현대 서예작품의 예술성은 몇 가지 관점으로 평가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