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의약학간호계열 > 한의학 > 임상
· ISBN : 9791189396107
· 쪽수 : 436쪽
· 출판일 : 2021-06-25
책 소개
목차
머리말
추천사
일러두기
신형(身形)
1. 양로(養老)와 익수(益壽)
(1) 노인병(老人病)의 개요
(2) 노인칠반증(老人七反證)
(3) 노인병(老人病)의 치료원칙
(4) 노인병(老人病)의 처방(處方)
2. 노인병의 병기(病機)
(1) 화동(火動)과 풍담(風痰)
- 파킨슨병(Parkinson’s disease)
- 전립선비대증(hyperplasia of prostate)
(2) 늙어서 생기는 병
(3) 비허(脾虛)로 적체(積滯)가 많은 경우
3. 노인병의 치법(治法)
4. 양로(養老)의 맥(脈)
정(精)
1. 몽설(夢泄)과 유정(遺精)
(1) 유정(遺精)의 원인
(2) 유정(遺精)의 증상과 치료
2. 몽설(夢泄)과 유정(遺精)의 병기(病機)
(1) 화동(火動)
(2) 허(虛)와 습담(濕痰)
(3) 습열(濕熱)
(4) 제허(諸虛)
3. 고정(固精)
(1) 고정(固精)
(2) 매촉유정(每觸遺精)
(3) 척열유정(脊熱遺精)
4. 백음(白淫)
5. 몽유(夢遺)의 맥
기(氣)
1. 기병(氣病)의 원인
(1) 칠기(七氣)와 구기(九氣)
(2) 기병(氣病)의 상(上)·중(中)·하(下)
(3) 상초(上焦)와 하초(下焦)의 병
(4) 중초(中焦)의 병
(5) 외감을 더하여 받은 경우(外感相兼)
2. 칠기(七氣)의 허(虛)·실(實)
(1) 칠기(七氣)의 허(虛)
(2) 칠기(七氣)의 실(實)
(3) 칠기(七氣)의 허(虛)·실(實)
(4) 기에는 보법이 없다(氣無補法)
3. 기병(氣病)의 종류
(1) 기병(氣病)의 내(內)·외(外)
(2) 기병(氣病)의 상(上)·중(中)·하(下)
4. 기병(氣病)의 상겸(相兼)
5. 기병(氣病)의 치료
(1) 기병(氣病) 치료의 원칙
(2) 기체(氣滯)
(3) 칠기(七氣)
(4) 구기(九氣)
- 정신성 발작(psychogenic non-epileptic seizure, PNES)
(5) 중기(中氣)
(6) 상기(上氣)·역기(逆氣)
(7) 단기(短氣)
(8) 소기(少氣)
(9) 기체(氣滯)
(10) 기통(氣痛)
(11) 기울(氣鬱)
(12) 기병(氣病)의 통치(通治)
6. 기병(氣病)의 맥(脈)
신(神)
1. 경계(驚悸)와 정충(怔忡)
(1) 개요(槪要)
(2) 담허(膽虛)로 인한 공(恐)·경(驚)
(2) 경계(驚悸)
(3) 정충(怔忡)
- 건망증(forgetfulness)과 치매(dementia)
2. 건망(健忘)
3. 경계(驚悸)·정충(怔忡)·건망(健忘)의 맥(脈)
- 뇌전증(epilepsy)
4. 전간(癲癎)
(1) 간(癎)과 전광(癲狂)의 차이
(2) 삼간(三癎)과 오간(五癎)
(3) 간질(癎)에서 살찐 사람(肥人)과 마른 사람(瘦人)의 차이
(4) 간질(癎)의 치법
5. 전광(癲狂)
(1) 담미심규(痰迷心竅)
(2) 양명열결(陽明熱結)
(3) 중음(重陰)·중양(重陽)
(4) 전광(癲狂)의 치법(治法)
6. 전(癲)·간(癎)·광(狂)의 맥(脈)
혈(血)
1. 혈병(血病)
(1) 혈병(血病)의 역(逆)·순(順)
(2) 혈병(血病)의 외증(外證)
(3) 혈병(血病)의 치료원칙
(4) 혈병(血病)의 외감(外感)
(5) 혈병(血病)의 내상(內傷)
(6) 혈병(血病) 치료의 대요(大要)
- 비출혈(epistaxis)
2. 육혈(衄血)
(1) 육혈(衄血)의 원인
(2) 육혈(衄血)의 치법(治法)
- 토혈(hematemesis)
3. 토혈(吐血)
(1) 토혈(吐血)의 원인
(2) 토혈(吐血)의 양증(陽證)
(3) 토혈(吐血)의 음증(陰證)
(4) 토혈(吐血)의 담증(痰證)
(5) 토혈(吐血)의 치법(治法)
(6) 구혈(嘔血)과 토혈(吐血)
- 객혈(hemoptysis)
4. 해혈(咳血)·수혈(嗽血)·타혈(唾血)·각혈(咯血)
(1) 해혈(咳血)
(2) 수혈(嗽血)
(3) 타혈(唾血)
(4) 각혈(咯血)
(5) 폐위(肺痿)
(6) 해혈·수혈·타혈·각혈의 치법대요(治法大要)
- 혈뇨(hematuria)
5. 요혈(尿血)
(1) 요혈(尿血)의 개요
(2) 요혈(尿血)의 실증(實證)
(3) 요혈(尿血)의 허증(虛證)
(4) 요혈(尿血)의 통치(通治)
- 혈변(hematochezia)·흑변(melena)
6. 변혈(便血)
(1) 변혈(便血)의 외감(外感)과 내상(內傷)
(2) 변혈(便血)의 원인
(3) 변혈(便血)의 기전(機轉)
(4) 변혈(便血)의 외감(外感)
(5) 변혈(便血)의 내상(內傷)
(6) 변혈(便血)의 치법(治法) 분류
(7) 변혈(便血)의 통치(通治)
7. 혈한(血汗)
(1) 혈한(血汗)의 원인과 치료
- 치은출혈(gingival bleeding)
8. 치뉵(齒衄)·설뉵(舌衄)
(1) 치뉵(齒衄)
(2) 설뉵(舌衄)
(3) 『동의보감』의 치뉵(齒衄)·설뉵(舌衄)
9. 괵중출혈(膕中出血)
10. 구규출혈(九竅出血)
11. 실혈현훈(失血眩暈)
12. 혈(血)의 통치(通治)
몽(夢)
- 불면증(insomnia)
1. 불면증(不寐)에는 두 가지 종류가 있다.
2. 상한(傷寒)의 치법(治法)에는 두 가지 종류가 있다.
3. 통치(通治)
성음(聲音)
1. 풍한실음(風寒失音)
2. 색상실음(色傷失音)
3. 병을 앓은 뒤(病後)
4. 중풍실음(中風失音)
5. 산후실음(産後失音)
6. 노인(老人)·허인(虛人)
언어(言語)
- 언어장애(disorders of speech and language)
1. 폐는 소리를 주관하여 말을 하게 한다(肺主聲爲言).
(1) 폐는 소리를 주관한다(肺主聲).
(2) 폐사가 심으로 들어가는 경우(肺邪入心)
2. 언어섬망(言語譫妄)
(1) 언(言)과 어(語)의 차이
(2) 섬어(譫語)와 광언(狂言)의 차이
3. 벙어리가 되어 말을 못하는 것(瘖不得語)
(1) 음부득어(瘖不得語)의 기전(機轉)
(2) 음부득어(瘖不得語)의 종류
(3) 음부득어(瘖不得語)의 치료
(4) 음부득어(瘖不得語)의 허증(虛證)
4. 담으로 막히거나 망혈이 되어 말을 못하는 경우(痰塞亡血亦爲瘖)
(1) 혀와 관련된 경맥(經脈)
(2) 설음(舌瘖)의 기전(機轉)
(3) 설음(舌瘖)의 치료
(4) 설음(舌瘖)의 치험례(治驗例)
5. 맥법(脈法)
6. 정성(鄭聲)
(1) 정성(鄭聲)의 정의
(2) 정성(鄭聲)의 원인
7. 말소리가 약한 것(言微)
(1) 언미(言微)의 정의와 원인
(2) 언미(言微)의 치료
8. 웃음(笑)
(1) 웃음(笑)의 병증(病證)
(2) 어떤 부인의 치험례(治驗例)
(3) 어떤 노인의 치험례(治驗例)
9. 크게 놀라서 말을 못하는 것(大驚不語)
10. 중풍으로 말을 하지 못하는 것(中風不語)
11. 말이 어색한 것은 모두 풍에 속한다(語澁皆屬風).
12. 여성의 출산 전·후에 말을 못하는 것(婦人産前不語·産後不語)
13. 소아의 말이 늦은 것(小兒語遲)
진액(津液)
- 다한증(hyperhidrosis)
1. 자한(自汗)
(1) 『의학입문』의 자한(自汗)
(2) 『동의보감』의 자한(自汗)
2. 도한(盜汗)
(1) 『의학입문』의 도한(盜汗)
(2) 『동의보감』의 도한(盜汗)
3. 한(汗)의 맥법(脈法)
담음(痰飮)
1. 담병(痰病)
(1) 담병(痰病)의 구분
(2) 담병(痰病)의 증상에 따른 분류
(3) 담병(痰病)의 색(色)에 따른 분류
(4) 담병(痰病)의 형태(形態)에 따른 분류
(5) 담병(痰病)의 적괴(積塊)에 따른 분류
2. 음병(飮病)
(1) 담(痰)·음(飮)·연(涎)의 구분
(2) 음병(飮病)
(3) 음병(飮病)의 종류
3. 담음병(痰飮病)의 한(汗)·토(吐)·하(下) 치법(治法)
(1) 중경(仲景)이 여러 담음(諸飮)을 치료하는 방법(法)
(2) 『의학입문』의 방법(法)
4. 담음병(痰飮病)의 치법대요(治法大要)
(1) 담음(痰飮)의 치법(治法)
(2) 이진탕(二陳湯)을 쓰는 방법(法)
(3) 담(痰)의 치법(治法)
(4) ‘담무보법(痰無補法)’에 대하여
5. 『동의보감』의 담병(痰病)
(1) 풍담(風痰)
(2) 한담(寒痰)
(3) 습담(濕痰)
(4) 열담(熱痰)
(5) 울담(鬱痰)
(6) 기담(氣痰)
(7) 식담(食痰)
(8) 주담(酒痰)
(9) 경담(驚痰)
6. 담음유주(痰飮流注)
7. 담궐(痰厥)
8. 담괴(痰塊)
9. 담음통치(痰飮通治)
10. 담음병(痰飮病)의 맥(脈)
- 흉막염(pleurisy)과 농흉(empyema)
소변(小便)
- 방광염(cystitis)
- 과민성방광(overactive bladder)
- 복압성요실금(stress urinary incontinence)
- 요도염(urethritis)
1. 소변불리(小便不利)
(1) 소변불리(小便不利)와 소변불통(小便不通)
(2) 소변불통(小便不通)의 원인
(3) 치법대요(治法大要)
(4) 『동의보감』의 소변불리(小便不利)
(5) 『동의보감』의 소변불통(小便不通)
(6) 소변불통(小便不通)의 맥(脈)
2. 관격(關格)
(1) 관격(關格)의 정의
(2) 관격(關格)의 병기(病機)와 치법(治法)
(3) 『동의보감』의 관격(關格)
(4) 격(格)의 치료
(5) 관(關)의 치료
3. 소변불금(小便不禁)
(1) 소변불금(小便不禁)의 정의
(2) 소변불금(小便不禁)의 허(虛)·실(實)에 따른 분류
(3) 소변불금(小便不禁)의 양상(樣相)
(4) 『동의보감』의 소변불금(小便不禁)
- 임균 감염증(gonococcal infection)
- 요로결석(urinary stone)
- 전립선염(prostatitis)
4. 임병(淋病)
(1) 오림(五淋)
(2) 오림의 분류
(3) 상초(上焦)·하초(下焦)와 기(氣)·혈(血)의 차이
(4) 임병(淋病)의 치법대요(治法大要)
(5) 임병(淋病)의 장부(臟腑)에 따른 치법대요(治法大要)
(6) 『동의보감』의 오림(五淋)
(7) 『동의보감』의 여러 임병(諸淋)에 대한 통치(通治)
(8) 임병(淋病)의 맥(脈)
5. 적백탁(赤白濁)
(1) 습열(濕熱)의 미(微)·심(甚)
- 단백뇨(proteinuria)
(2) 비인(肥人)·수인(瘦人)의 차이
(3) 적백탁(赤白濁)의 허증(虛證)
(4) 적백탁(赤白濁)의 치료
(5) 적백탁(赤白濁)의 맥(脈)
6. 교장증(交腸證)
7. 물을 마시면 소변이 바로 나오는 것(飮後卽小便)
대변(大便)
1. 설사(泄瀉)
- 설사(diarrhea)
(1) 다섯 가지 설사(五瀉)
(2) 외감설(外感泄)
(3) 내상설(內傷泄)
(4) 설사(泄瀉)의 치법(治法)
(5) 설사는 다섯 가지가 있다(泄證有五).
(6) 여러 가지 설사(泄瀉諸證)
(7) 설사(泄瀉)의 맥(脈)
- 세균성이질(shigellosis)
2. 이질(痢疾)
(1) 이질(痢疾)의 분류
(2) 이질(痢疾)의 원인
(3) 이질(痢疾)의 증상(證狀)
(4) 이질(痢疾)의 종류(種類)
(5) 이질(痢疾)의 치법대요(治法大要)
(6) 이질(痢疾)에 대한 『동의보감』의 치료
(7) 이질(痢疾)의 맥(脈)
- 변비(constipation)
3. 조결(燥結)
(1) 조결(燥結)의 정의
(2) 조결(燥結)의 종류
(3) 조결(燥結)과 폐기(肺氣)
(4) 조결(燥結)의 치법대요(治法大要)
(5) 『동의보감』의 조결(燥結)
(6) 조결(燥結)의 치법(治法)
(7) 조결(燥結)의 맥(脈)
참고문헌
처방집(處方集)
편집후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