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수험서/자격증 > 국가전문자격 > 수산물품질관리사
· ISBN : 9791189977009
· 쪽수 : 573쪽
· 출판일 : 2023-04-20
책 소개
목차
제1편 농수산물품질관리법령 등 25
제1장 1. 농수산물품질관리에 관한 법령
2. 표준규격 27
3. 검사기준 및 관능 및 정밀검사 · 검사절차 프로세스(김태산 도표 인용) 32
4. 검사 용어 정의 43
5. 법령 제3조~5조 44
6. 품질인증(제14조 이하) · 수산물 이력 추적관리 47
7. 지리적 표시권(법32조 이하) 56
8. 유전자 변형(법 제56조 이하) 58
9. HACCP 및 제69조 및 70조 · 지정해역 61
10. 가공품 등 검사(제88조) 67
11. 법령 각종 인가 및 운영( 법 제16조 및 18조 등) · HACCP 71
12. 제98조 검정 90
13. 수산물품질관리사 업무 (등급 판정 등 제106조 2항) 92
14. 유전자 변형 농수산물의 표시 규정 93
15. 수산물 안전성 조사 업무세부실시 요령 등 99
제2장 농수산물 원산지 표시법령 105
제3장 친환경농어업법령 등 122
제4장 농수산물 품질관리법령 행정처분 및 과태료 125
. 각종 법령 별 행정처분 및 과태료 · 과징금 도표
제5장 농수산물 유통 및 안정에 관한 법령 3단 법체계 138
. 일명 농수안법령 · 시행령 및 시행규칙 · 행정처분 ·
제6장 수산물 유통법령 · 수산물 유통 및 지원에 관한 법령 219
. 행정처분 · 과태료 · 과징금
제2편 수산물 유통론 및 수산 관련 경영학 ·경제학 이론 263
제1장 1. 유통 체계
2. 도매 시장 및 법체계 264
3. 유통 이론 291
. 유통 구조 · 유통 경로 · 시장 유형
4. 전자 상거래 · O2O · B2E 등 312
5. 수협의 공동 판매 313
6. 수산물 및 농산물의 유통마진 · 비용 315
7. 산지위판장 등 경매제도 317
8. 경제이론 328
. 일반시장이론 · 탄력성 · 기펜재 및 정상재 등 · 수요곡선
. 공급곡선 · 손익분기점
9. 무역이론 341
. 수입 및 수출 · 신용장(L/C) · 선하증권(B/L)
. 무역조건 · Incorterms2020
10. 농수산물 유통 및 판매 350
. 유통 4단계 · 상적 및 물적 유통 · 도매시장 체계
11. 수산물 제품의 판매 전략 및 마케팅 355
. Full · Push(중간상인 주대상) · 소매업 마케팅 · 가격민감도
. 마케팅 조사 종류 · 4P와 4C· 소비자 행동분석
. CRM(고객관리)· STP· 마케팅 믹스· 광고 · 판매촉진
. 포장 · 상표 및 브랜드 · 가격전략 및 단수가격 등
. PLC (제품라이프 사이클) · 도입기· 성장기· 성숙기 ·쇠태기
12. 유통 정보 및 정책 · 바코드 380
. KAN(국가 코드)·RFID(무선 식별 시스템)· POS· SCM· VAN
13. 수산물 유통론 · FTA · SWOT · STP 385
14. WTO · FTA 390
제3편 수확 전후 품질관리론 394
제 1장 서류 검사 및 관능검사 · 정밀검사 규정
제 2장 수산 가공학 및 HACCP 396
1. 수산물 특징
2. 어류의 사후변화 401
3. 수산물의 특성과 저장 · 품질변화 403
4. 염장품 및 자기소화 억제 이론 등 404
5. 온도 및 수산물 신선도 유지 방안 408
6. 건제품 및 건제법 413
7. 훈연품 및 훈제법 417
8. 수산물 변화과정 420
9. 수산 생리활성 물질 및 기능식품 종류 423
10. 수산물 가공원료 특징 432
11. 어육 연제품 및 망상구조 이론 433
12. 어체 · 어육 처리 및 해동 및 드립 이론 437
13. 자연독 · 식중독 및 세균 · 바이러스 439
14. 통조림 공정 과정 443
15. 수산물 변질 종류 · 갈변 및 산화 등 · HACCP 452
16. 수산물 성분 및 냄새성분 · 엑스 성분 · 454
. 백색육 및 혈합육 · 색소성분 ·
17. 어패류의 사후변화 460
. 생사 및 해당작용 → 사후강직 →해경 →자기융해 →부패
18. 신선도측정 방법 462
. 서류 및 관능검사 · 화학적· 세균학적· 물리적 검사 방법
19. 수소이온농도(pH) 465
20. 어상자 입상방법 및 포장 · 망상구조 · TTT 467
제4편 수 산 일 반 474
제1장 수산업이란
1. 수산업들어가기
. 내수 ·기수 · 영해· 접속수역 · EEZ 경제수역· 공해
2. 수산 생물 자원 480
3. 어업의 집어 등 483
4. 수산 종자 및 채묘시설 등 484
5. 수산물 채포 및 어구 · 어업 등 · 함정어법 486
제2장 수산업 관리제도 491
1. 관리제도 및 국제적 관리 규정
2. 수산업 분류 496
3. 법적 및 행정적 관리제도 498
. 영토와 영해 등 · TAC· 원산지표시대상 · 면허 · 허가· 신고
4. 세계어장 및 우리나라 3면 바다 508
5. 해양 환경 및 해저 지형 구조 등 512
제3장 1. 어장 및 어법 · 수산자원 분류 · 선박 구조 등 515
. 조경어장·용승·와류·대륙붕어장
. 그물감 ·그물코 · 어로과정 · 그물어구 종류
제4장 수산자원 530
1. 계군 · 계군 식별방법 · 형태학적 방법 등
2. 수산자원의 관리 및 성장 · 변동 · 러셀 방정식 등
제5장 양식업 · 사료계수 · 필수 영양소 536
1. 양식업 분류
2. 수산종자(종묘)
제6장 양식과 질병 542
. 바이러스성· 세균성 · 기생충성 · 진균성 · 사료성 질병
제7장 주요 양식 업종 분류 · 바지락 성분 545
제8장 해양 오염 552
제9장 수산업법 · 신수산업법 및 구수산업법 개정조문 비교 554
제10장 수산업 · 어촌발전기본법(일명 : 수산업기본법) 560
제11장 수산자원관리법 565~57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