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최치원 한시집

최치원 한시집

최치원 (지은이)
  |  
도서출판 DRM연구원
2021-03-27
  |  
8,7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등록된 도서정보가 없습니다.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aladin 8,700원 -10% 430원 7,400원 >

해외직구

책 이미지

최치원 한시집

책 정보

· 제목 : 최치원 한시집 
· 분류 : eBook > 소설/시/희곡 > 시 > 한국시
· ISBN : 9791190188296

목차

<원작자 약력?연표>
5
서문
57
최치원 한시 147편
91
I. 『고운집』(孤雲集) 권1 32편
93

95
흥겨움(寓興)
97
접시꽃(蜀蔡花)
101
강남의 여인(江南女)
105
옛 생각(古意)
110
가을밤 빗속에서(秋夜雨中)
114
우정의 밤비(郵亭夜雨)
118
길에서(途中作)
121
요주 파양정에서(饒州?陽亭)
124
이별 이야기(山陽與鄕友話別)
127
우강역 정자(題芋江驛亭)
130
봄날(春日邀知友不至)
133
유별(留別西京金少尹)
136
금천사(贈金川寺主)
139
재곡의 난야(贈梓谷蘭若獨居僧)?「증독거승」(贈獨居僧)
142
황산강 임경대(黃山江臨鏡臺)
145
가야산 독서당(題伽倻山讀書堂)?「둔세시」(遁世詩)
148
장안의 여사(長安旅舍與于愼徵長官接隣)
151
운문의 난야(贈雲門蘭若智光上人)
155
운봉사(題雲峯寺)
159
당성에서(旅遊唐城贈先王樂官)
163
자화사(登潤州慈和寺上房)
167
가을날(秋日再經旴?縣寄李長官)
172
강남의 산으로 들다(送吳進士歸江南)
176
봄날 새벽(春曉偶書)
180
벗 고운에게 보내는 화답시(暮春卽事和顧雲友使)
184
장진사에게 보내는 화답시(和張進士村居病中見寄)
189
바다에 뜨다(泛海)
194
여지도(題輿地圖)
198
고소대(姑蘇臺)
201
벽송정(碧松亭)
204
희랑화상에게(贈希郞和尙)?6수
207
호원상인에게(寄顥源上人)
216
II. 『고운집』 권2 2편
221
사산비명(四山碑銘)
223
낭혜화상 비명(朗慧和尙碑銘)
225
진감선사 비명(眞鑑禪師碑銘)
232
III. 『고운집』 권3 6편
239
사산비명(四山碑銘)
241
숭복사 비명(崇福寺碑銘)
243
지증대사 비명(智證大師碑銘)
249

257
불국사 석가여래상 번찬(佛國寺釋迦如來像幡贊)
259
불국사 아미타불상 찬(佛國寺阿彌陀佛像讚)
264
순응화상 찬(順應和尙贊)
269
이정화상 찬(利貞和尙贊)
275
IV. 『계원필경집』(桂苑筆耕集) 권17 31편
279

281
재헌계(再獻啓)
283
칠언기덕시(七言記德詩) 30편
289
병기(兵機)
291
필법(筆法)
295
성잠(性暫)
299
설영(雪詠)
303
사조(謝?)
307
안화(安化)
311
연병(練兵)
315
반계(磻溪)
319
사호(射虎)
323
진성(秦城)
327
생사(生祠)
331
사편(射鞭)
335
안남(安南)
339
천위경(天威徑)
343
작구경(?口徑)
347
수성비(收城碑)
351
집금오(執金吾)
356
천평(天平)
360
조어정(釣魚亭)
365
상인(相印)
370
서천(西川)
375
평만(平蠻)
380
축성(築城)
384
형남(荊南)
388
조운(漕運)
393
절서(浙西)
397
항구(降寇)
401
회남(淮南)
405
조상청(朝上淸)
410
진정(陳情)
414
V. 『계원필경집』 권20 27편
419

421
태위 진정서(陳情上太尉詩)
423
좌주 상서에게 보내는 화운시 절구삼수(奉和座主尙書避難過維陽寵示絶句三首)
427
귀연음(歸燕吟獻太尉)
432
양섬 수재에게 보내는 화답시(酬楊贍秀才送別)
436
감사의 시(行次山陽續蒙太尉寄賜衣段令充歸覲續壽信物謹以詩謝)
440
이별(留別女道士)
444
진사 양섬에게 보내는 화답시(酬進士楊贍送別)
447
사례의 시(楚州張尙書水郭相迎因以詩謝)
450
오만 수재에게 보내는 화답시 이절구(酬吳蠻秀才惜別二絶句)
453
바위 봉우리(石峯)
458
바다 물결(潮浪)
462
바닷가 모래톱(沙汀)
466
들불(野燒)
470
진달래꽃(杜鵑)
474
바다 갈매기(海鷗)
478
바윗돌(山頂危石)
482
어린 소나무(石上矮松)
486
단풍나무(紅葉樹)
490
흐르는 샘물(石上流泉)
494
벗에게 보내는 화운시(和友人除夜見寄)
498
봄바람(東風)
501
바닷가의 봄(海邊春望)
504
한가로운 봄날 새벽(春曉閒望)
507
바닷가를 거닐며(海邊閒步)
510
참산의 봄(將歸海東嶢山春望)
513
김 원외의 시에 대한 화운시(和金員外贈嶢山淸上人)
517
해문 난야의 버들(題海門蘭若柳)
520
VI. 『동문선』(東文選) 26편
523
1) 권9 4편
525
장안의 여사(長安旅舍興于愼徵長官接隣有寄)
527
운문의 난야(贈雲門蘭若智光上人)
527
운봉사(題雲峯寺)
527
당성에서(旅遊唐城有先王樂官將西歸夜吹數曲戀思悲泣以詩贈之)
527
2) 권12 9편
529
자화사(登潤州慈和寺上房)
531
가을날(秋日再經旴?縣寄李長官)
531
강남의 산으로 들다(送吳進士巒歸江南)
531
봄날 새벽(春曉偶書)
513
벗 고운에게 보내는 화답시(暮春卽事和顧雲友使)
531
태위 진정서(陳情上太尉)
532
장 진사에게 보내는 화답시(和張進士喬村居病中見寄喬字松年)
532
수재 양섬에게 보내는 화답시(酬楊贍秀才)
532
들불(野燒)
532
3) 권19 12편
533
가을밤 빗속에서(秋夜雨中)
535
우정의 밤비(郵亭夜雨)
535
길에서(途中作)
535
요주 파양정(饒州?陽亭)
535
이별 이야기(山陽與鄕友話別)
535
우강역 정자(題芋江驛亭)
536
봄날(春日邀知友不至因寄絶句)
536
유별(留別西京金少尹峻)
536
금천사(贈金川寺主)
536
재곡의 난야(贈梓谷蘭若獨居僧)
536
황산강 임경대(黃山江臨鏡臺)
537
가야산 독서당(題伽倻山讀書當)
537
4) 권50 1편
539

541
불국사 석가여래상 번찬(華嚴佛國寺繡釋迦如來像幡贊)(『고운집』 권3)
543
VII. 『국조시선』(國朝詩選) 2편
545
해인사(海印寺)
547
야증악관(夜贈樂官)
548
VIII. 『지리산 시첩』(智異山詩帖) 9편
553
지리산?제1수(智異山第一首)
555
지리산?제2수(智異山第二首)
556
지리산?제3수(智異山第三首)
556
지리산?제4수(智異山第四首)
556
지리산?제5수(智異山第五首)
557
지리산?제6수(智異山第六首)
557
지리산?제7수(智異山第七首)
558
지리산?제8수(智異山第八首)
558
지리산?제9수(智異山第九首)
565
IX. 『천재가구』(千載佳句) 연구(聯句) 9편
569
연주에서 이원외에게 보내는 헌시(?州留獻李員外)
571
자화산에 오르다(登慈和山)
575
장안의 버드나무(長安柳)
579
낙양에서 벗에게 보내는 증시(留贈洛中友人)
583
동생 엄부를 집으로 보내며(送舍第嚴府)
587
봄날(春日)
591
진사 전인의에게(成名後酬進士田仁義見贈)
595
강물 위에서 봄을 생각하며(江上春懷)
599
X. 「향악잡영」(鄕樂雜詠) 5편
603
향악잡영―제1수(鄕樂雜詠第一首) 금환(金丸)
605
향악잡영―제2수(鄕樂雜詠第二首) 월전(月顚)
610
향악잡영―제3수(鄕樂雜詠第三首) 대면(大面)
614
향악잡영―제4수(鄕樂雜詠第四首) 속독(束毒)
618
향악잡영―제5수(鄕樂雜詠第五首) 산예(?猊)
622
XI. 기타(其他)
627
해인사 운양대 길상탑기(海印寺雲陽臺吉祥塔記)
629
해인사 선안주원 벽기 절구삼수(海印寺善安住院壁記)
636
공산성(公山城)
641
산승에게(贈山僧)
645
변하의 옛 생각(?河懷古)
649
신축년 진사 오첨에게 보내다(辛丑年寄進士吳瞻)
653
율수 최소부에게 보내는 증시(贈?水崔少府)
657
이전 장관의 겨울날 산사 방문 화답시(和李展長官冬日遊山寺)
661
새벽의 노래(詠曉)
665
천부경(天符經)
676
여행에서 만난 벗(亂後旅中遇友人)
685
천학(天鶴)
689
구룡폭포(九龍瀑布)
693
계림요(鷄林謠)
696
환동국(還東國)
699

저자소개

최치원 (지은이)    정보 더보기
신라 말기의 학자, 문장가로, 본관은 경주(慶州), 자는 해운(海雲), 호는 고운(孤雲)이다. 경주 사량부(또는 본피부) 출신이다. 857년(헌안왕1)에 태어나 868년(경문왕8) 12세의 나이로 당나라에 유학하여 7년 만인 874년에 빈공과에 합격하였다. 그 뒤 고변(高騈)의 종사관으로서 문한의 임무를 담당하였다. 29세 때 신라에 돌아와 시독(侍讀)에 임명되었다. 그러나 신라 신분체제의 한계와 국정의 문란함을 깨닫고 외지로 나가 태산군·천령군·부성군 등지의 태수를 역임하였다. 894년에는 시무책 10여 조를 진성여왕에게 올려 문란한 정치를 바로잡고자 하였으나 끝내는 승 현준(賢俊) 및 정현사(定玄師)와 도우(道友)를 맺고 가야산에 은거하였다. 언제 세상을 떠났는지는 알려지지 않았으나 908년(효공왕12) 말까지 생존했던 것으로 추정된다. 고려 현종 때 내사령(內史令)에 추증되고 문창후(文昌侯)에 추시(追諡)되어 문묘에 배향되었다. 저술로는 《계원필경집(桂苑筆耕集)》, 《금체시(今體詩)》, 《잡시부(雜詩賦)》, 《중산복궤집(中山覆需集)》 등의 시문집과 사서(史書)인 《제왕연대력(帝王年代曆)》, 불교관계 글인 《부석존자전(浮石尊者傳)》, 《석순응전(釋順應傳)》, 《석이정전(釋利貞傳)》 등이 있었다. 오늘날에는 《계원필경》, 《법장화상전》, 《사산비명》만이 전한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