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소설/시/희곡 > 문학의 이해 > 한국문학론 > 한국시론
· ISBN : 9791190727143
· 쪽수 : 360쪽
· 출판일 : 2020-06-25
책 소개
목차
책머리에
근대시 형성 과정의 제문제
1. ‘근대성’ 논의의 지형
2. 근대로의 이행기에 대한 연구사
3. 근대 초기의 시와 근대적 주체
4. 근대시의 착근과 확충
5. 맺음말
현실과 꿈을 결속한 낭만적 페이소스
프로시의 미학
1. 프로시의 역사적 맥락
2. 미적 범주로서의 비극성과 방법으로서의 리얼리즘
3. 프로시에서의 비극성과 리얼리즘
4. 마무리
권환과 임화
1. 권환의 문학적 편력
2. 권환과 임화의 프로시론
3. 임화의 ‘단편서사시’와 권환의 ‘뼉다귀시’-감정의 전면화와 소거
4. 권환과 임화의 같은 길, 다른 길
이하윤과 해외문학파
1. 근대문학사와 해외문학파
2. 이하윤의 매체 활동과 번역 활동
3. 순수서정의 퇴행적 귀착
4. 근대문학사적 위상
이찬 시의 낭만성과 비극성
1. 이찬의 생애와 시적 궤적
2. 낭만성과 프로시
3. 비극성의 구현과 변형
4. 새로운 ‘화원’을 찾아
최후의 모더니스트 이상(李箱)
1. 최초와 최후의 모더니즘
2. 부정 정신을 통한 해체와 통합의 양가적 가능성
3. 몸의 상상력으로서의 이상 시
4. 아방가르디즘으로서의 이상
순정과 의지의 친화와 결속
1. 청마 시의 자장과 연구사적 흐름
2. 순정과 사랑의 시학
3. 의지와 현실 비판의 시학
현실과의 길항, 격정적 자의식
1. 근대문학사와 윤곤강
2. 생애와 시적 동선
3. 시론적 기획과 변모
4. 생성과 소멸의 변증
5. 서정과 자의식의 밀도
6. 고려적 하늘로의 귀환과 분단 의식
회귀와 환상의 이미지즘
1. 1930년대의 시사적 지형과 ‘역사적 모더니즘’
2. 장만영의 생애와 이미지즘
3. 회귀의 이미지즘
4. 환상의 이미지즘
5. 장만영 시편의 독자성
견고하고 역동적인 생명 의지
1. 황순원 문학에서 ‘시’의 존재론
2. 견고한 생명 의지의 알레고리
3. 자기 기원의 상상과 생의 기억
4. 황순원 문학의 어떤 원형
5. 남는 문제
윤동주 시의 보편성과 특수성
1. 저항시인의 상(像)을 넘어서
2. 윤동주 시의 원천으로서의 북간도
3. 북간도에서 일본까지
4. 윤동주 시가 남긴 유산
김광균과 방법적 모더니즘
1. 모더니즘과 근대문학사
2. 상실감과 비극성의 의미
3. 이미지즘의 수용과 변형
4. 보유
오장환 시의 흐름과 위상
1. 문제제기
2. 오장환의 시적 편력
3. 오장환과 임화
4. 해방기의 오장환
5. 맺음말
박목월 문학과 문학장(場)
1. 자기 확인의 노정기(路程記)
2. 박목월 문학의 원류
3. 해방 직후의 박목월
4. 청록집과 박목월
5. 박목월 문학과 문학장의 의미
박두진의 시적 형이상학
1. ‘청록파’에 대한 평가의 두 갈래
2. 역동적인 생명력의 원천으로서의 자연
3. 자연 형상 안에 드리운 심미적 격조
4. 역사의 흐름에 대한 대응으로서의 윤리적 원리
5. 시적 형이상학의 계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