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고등학교참고서 > 수능대비 > 국어영역
· ISBN : 9791190881593
· 쪽수 : 90쪽
· 출판일 : 2020-08-11
책 소개
목차
목차 설명
CH0에서는 기본적으로 왜 문학 개념어가 평가원에만 기반해야 하는지가 설명된다. 이 책의 '근본'에 관한 설명이다.
CH1로 넘어오며 평가원이 내는 문학 개념어에 대한 오해를 가볍게 정리한다. 또한 평가원 문학 개념어에 대한 기본기가 무엇인지에 대해 살짝 보여준다.
CH2는 여러 가지 선지 중 '우선순위'를 공개한다. 평가원이 두려워하는 선지들, 나오되 답으로 못 나오는 선지들을 알려준다.
CH3부터 본격적인 개념이 시작된다. CH3은 평가원이 내기 좋아하는(동시에 가장 개념적인 부분)을 평가원의 입장에서 설명한다.
CH4는 평가원이 문학 개념어에서 '선'을 넘을 듯 말듯하게 낼 때의 기준을 잡아준다. 오답률이 높은 부분을 다 모아놨다고 봐도 된다. 여러분들이 확실하게 알고 있다고 생각했던 부분에 대해 오개념을 깨줄 수 있을 것이다.
CH5는 '선'에 속하지는 못했지만 평가원에서 나오는 개념들을 집대성해놓았다. 빠짐없이 살펴보기 바란다.
목차
CH0. 기준은 평가원이다.
CH1. 기본.
1) 오해와 진실
2) 치환
3) 고전시가에 대한 예의
CH2. 평가원의 패턴 (우선순위를 정해서 풀어라)
1) 애매하면 애초에 답이 될 수 없다.
[1] 잦은 / 빈번히 / (장황하게)
[2] 객관성 (산문)
2) 수록 지문의 한계 때문에 답이 되기 힘든 경우
[1] 다각적
[2] 삽화
[3] 서술자의 교체
[4] 성격 변화
[5] 의식의 흐름
CH3. 틀
1) 서술자의 개입 / 편집자적 논평
2) 비유와 상징
3) 이미지(상승 / 하강)
4) 감각적 이미지
CH4. 선
1) 수미상관
2) 시간의 흐름 / 회상 / 역순행적 구성
3) 액자식 구성
4) 외양묘사 / 심정 서술
5) 요약적 제시
6) 색채 이미지 / 색채어 / 색채 대비
7) 선경후정
8) 의도적으로 변형
9) 독백조 / 대화체 / 대화의 형식 / 대화
10) 장면 전환
CH5. 점
1) 어조 / 분위기
2) 설의법 / 영탄법
3) 현재형 시제 / 과거형 시제
4) 직접 인용 / 간접 인용
5) 환상적 / 초월적
6) 탈속성
7) 구체적 지명
8) 향토적
9) 시상
10) 경외감
10) 문답형식
11) 우의적 소재
12) 역설 / 반어
13) 현학적
14) 구체적 시대 상황 제시
15) 관념적
16) 해학성
17) 의성어 / 의태어
18) 배치되다
19) 입체감
20) 화자의 의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