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수험서/자격증 > 국가전문자격 > 간호/조무사
· ISBN : 9791191455939
· 쪽수 : 624쪽
· 출판일 : 2023-03-15
목차
▶01 성장발달 _13
아동간호학의 정의 및 목적 · 15
성장발달의 이해 · 23
놀이 · 35
투약 · 41
단계별 발달과제 · 46
영아기 성장발달 · 54
분리불안 · 70
예방접종 · 73
유아기 성장발달 · 79
거부증과 분노발작 · 92
대소변 가리기(배변훈련) · 96
학령전기 성장발달 · 100
학령기 성장발달 · 113
청소년기 성장발달 · 123
❃시나문 _129
❃Final check _141
▶02 신생아 _143
신생아의 생리적 특징 · 145
신생아 감각기능 · 151
정상 신생아 사정 · 154
정상 신생아에게 나타날 수 있는 피부양상 · 159
신생아의 구체적 신체사정 · 163
신생아에게 나타나는 정상 반사 · 167
정상 신생아 간호중재 · 172
모유 수유 · 178
❃시나문 _182
❃Final check _187
▶03 고위험신생아 _189
고위험신생아의 분류와 특성 · 191
고위험 신생아 간호 · 195
위관영양 · 195
소화기계 질환 · 199
구순열/구개열 · 199
억제대 · 205
기관식도루/식도폐색증 · 207
항문직장기형 · 211
황 달 · 214
혈액장애 · 219
신생아 용혈성 질환 · 219
호흡기계 질환 · 221
심혈관 장애 · 228
선천성 심질환 · 228
비뇨생식기 장애 · 239
잠복고환/음낭수종 · 239
신경장애 · 243
이분척추 · 243
출생 시 손상 · 247
두개외 출혈 · 247
상지마비/쇄골 골절/안면신경 마비/사경 · 250
근골격 장애 · 255
만곡족 · 255
발달성(선천성) 고관절 이형성증 · 258
감염 · 263
신생아 패혈증 · 263
괴사성 장염 · 266
칸디다증(아구창) · 270
모체 요인과 관련한 고위험 · 272
당뇨병 어머니의 신생아 · 272
선천성 대사 장애 · 275
선천성 갑상선 기능 저하증 · 275
페닐케톤뇨증 · 278
갈락토오스혈증 · 281
유전성 질환 · 283
다운증후군 · 283
❃시나문 _286
❃Final check _291
▶04 소화기관 장애 _293
수분 전해질 불균형 장애 · 295
소화기관 장애 증상 · 299
구 토 · 299
설 사 · 301
산 통 · 307
폐쇄성 장애 · 310
선천성 유문 협착 · 310
장중첩증 · 315
담도 폐쇄증 · 318
장폐색 · 320
구조적 장애 · 322
횡격막 탈장 · 322
서혜부 탈장 · 324
선천성 거대결장 · 326
중 독 · 331
요충증 · 335
❃시나문 _337
❃Final check _343
▶05 비뇨생식기 장애 _345
요로감염 · 347
구조적 장애 · 349
폐쇄성 요로질환 · 349
급성 사구체신염 · 351
신증후군 · 355
급성 신부전 · 360
생식기 기능 장애 · 363
❃시나문 _365
❃Final check _367
▶06 호흡기 장애 _369
상기도 감염 · 371
급성 비인두염 · 371
급성 인두염 · 373
편도선염 · 376
중이염 · 380
부비동염 · 385
하부기도 감염 · 387
기관지염/세기관지염 · 387
폐 렴 · 389
크룹증후군 · 391
비감염성 장애 · 396
이물질 흡인/지질성 폐렴 · 396
만성 및 기타장애 · 399
천 식 · 399
결 핵 · 405
비출혈 · 411
원인불명 장애 · 413
영아 돌연사 증후군/영아 무호흡증 · 413
❃시나문 _415
❃Final check _420
▶07 심심혈관 장애 _421
후천성 심장장애 · 423
급성 류마티스열 · 423
혈관기능 장애 · 427
알레르기 자반증/가와사키병 · 427
❃시나문 _433
❃Final check _436
▶08 혈액 및 세포 장애 _437
철분 결핍성 빈혈 · 439
응고장애 · 442
혈우병 · 442
특발성 혈소판 감소성 자반증 · 446
세포장애 · 450
백혈병 · 450
뇌종양 · 458
신경모세포종 · 461
신아세포종 · 464
❃시나문 _466
❃Final check _469
▶09 내분비 장애 _471
당뇨병 · 473
성조숙증/요붕증 · 482
❃시나문 _485
❃Final check _487
▶10 보호기전 장애 _489
자가면역 염증성 질환 · 491
소아 류마티스성 관절염 · 491
알레르기 질환 · 495
아토피성 피부염 · 495
알레르기성 비염 · 498
피부장애 · 500
농가진 · 500
여드름(심상성 좌창) · 502
감염성 장애 · 504
수 두 · 504
홍 역 · 509
볼거리(유행성 이하선염) · 514
풍 진 · 517
백일해 · 519
성홍열 · 523
파상풍 · 527
A형 간염 · 529
장미진(돌발진) · 531
❃시나문 _533
❃Final check _537
▶11 신경․ 인지 장애 _539
열성경련 · 541
발 작 · 545
뇌수종(수두증) · 549
감염 · 553
수막염/라이증후군 · 553
뇌성마비 · 558
인지장애(지적장애) · 564
❃시나문 _567
❃Final check _570
▶12 감각운동기능 장애 _571
감각장애 · 573
골 절 · 576
골수염 · 582
척추측만증 · 585
❃시나문 _589
❃Final check _591
▶13 심리사회 장애 _593
정신건장 장애 · 595
틱 장애/학교 공포증 · 595
유뇨증 · 598
약물 남용 · 600
식이 장애 · 602
신경성 식욕부진/신경성 폭식증 · 602
비 만 · 605
청소년 비행 · 607
❃시나문 _609
❃Final check _611
찾아보기 _612
정답모음 _617
저자소개
책속에서
머리말
안녕하세요, 간호사 국가고시를 준비하고 있는 전국의 많은 예비 간호사분들께 응원의 인사를 보냅니다.
간호사가 되기 위한 마지막 관문인 간호사 국가고시라는 중요한 시험을 앞두고 있는 만큼 설레고 긴장하실 여러분의 마음에 깊이 공감하고 있습니다. 여러분께서 간호사 국가고시와 비슷한 난이도를 체감하고 보다 효과적으로 준비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여 2024년도 간호사 국가고시 대비 <퍼시픽 간호사 국시대비 문제집>을 편찬하였습니다. 2023년에 개정된 법규 및 정책을 최신 정책 및 법률 시행일에 맞게 개편 및 보강하였고, 새롭게 출제되거나 변경된 개념은 최신 개정된 전공서적을 참고해 추가로 기재한 각 과목 개념서를 바탕으로 개편하였습니다.
2023년 간호사 국가고시의 체감 난이도는 중으로, 예년 국시와 비슷하게 평이한 수준이었으며 지금까지 빈출 되었던 익숙한 개념들을 묻는 문제들이 주를 이루었습니다. 다만, 각 과목마다 2∼3문제 정도는 지엽적인 선지 혹은 이전에 출제되지 않은 신유형의 문제가 출제되기도 하였습니다. 그러나 그러한 문제의 수는 적었기에, 합격을 좌우할 정도의 큰 변별력과 난이도 상승을 체감할 정도는 아니었습니다.
전반적으로 난이도가 높지는 않았지만 2023년도 간호사 국가고시 시험에 이전까지는 출제되지 않았던 신유형의 문제, 구체적인 수치와 지엽적인 개념을 알아야 풀 수 있는 문제들이 출제되었다는 점에서 는 주목할 만합니다. 2021년 시험에는 사례형 문제들이 높은 비중을 차지하였고, 2022년에는 개념 및 중재에 대해 직접적으로 묻는 유형의 문제가 주로 출제되었다면, 2023년에는 2022년과 비슷한 출제 경향을 보이면서도 꼼꼼하게 공부하지 않았다면 풀기 힘든 문제들이 출제되었습니다. 출제 영역에는 큰 변함이 없으나, 문제 유형은 조금씩 변화하면서 출제되는 개념의 깊이는 깊어지고 있는 추세입니다. 그렇기에 금년 <퍼시픽 간호사 국시대비 문제집>에서는 다양한 유형의 문제들을 반영하여 개정하면서 새
롭게 ‘합격 선배들의 현장 풀이법’을 담았습니다. 이는 국가고시에서 출제된 문제 중 난이도가 높은 문제를 선택하여 관련된 개념, 풀이 흐름, 꼭 암기해야 할 사항을 담아 시험 현장에서의 문제 접근법을 경험할 수 있도록 한 것입니다. 또한 광범위한 시험범위를 포괄하면서도 최신 기출 경향을 반영하기 위해 문제집의 각 단원별로 빈출 되는 개념을 요약정리 하였으며 해당되는 개념이 적혀 있는 <퍼시픽 간호사 국시대비 개념서>의 페이지를 적어 함께 공부하기 쉽도록 하였습니다. 더욱 상세한 설명 및 깔끔한 개념 정리가 필요한 문제는 옆에 QR 코드를 추가하여 관련 개념과 추가 설명을 한눈에 파악할 수 있도록 준비했습니다.
<퍼시픽 간호사 국시대비 문제집>은 <퍼시픽 간호사 국시대비 개념서>로 전반적인 개념을 한 번 정리한 후에 풀어보실 것을 권장합니다. 문제를 풀다가 모르거나 헷갈리는 개념은 <퍼시픽 간호사 국시 대비 개념서>와 함께 학습해 나간다면 개념을 문제에 적용하는 역량을 보다 효과적으로 키울 수 있을 것입니다. 그 후, <합격예감 모의고사>로 최종 실전처럼 연습하여 실전 감각을 키우시고 <천기누설>로 마지막 개념 정리를 한다면 여러분이 갈고닦은 실력을 국가고시에서 당당히 발휘할 수 있을 것입니다.
그동안 간호사로 거듭나기 위해 끊임없이 노력해 오신 여러분을 진심으로 응원하며, 여러분의 합격을 기원합니다.
2023년 3월 퍼시픽 학술편찬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