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수험서/자격증 > 공무원 수험서 > 교원임용시험 > 중등 전공
· ISBN : 9791191906004
· 쪽수 : 265쪽
· 출판일 : 2021-08-20
책 소개
목차
Ⅰ. 두근두근, 임용 2차 시험을 준비하며 7
1. 지도안이 전해주는 카오스(Chaos) / 9
2. 임용 준비를 위한 필독서(必讀書) / 10
Ⅱ. 교사용 지도서 바로 알기 13
1. 수업 준비를 위한 첫걸음 / 15
2. 선택의 딜레마(Dilemma) / 16
3. 백지장도 맞들면 낫다 / 17
Ⅲ. 교수?학습 지도안 작성의 실제 19
1. 너는 도대체 누구니? / 21
2. 하나씩 톺아보기 / 29
3. 단계별 분석 / 32
Ⅳ. 동기유발 소재 및 주요 용어와 개념 37
1. 중학교 1학년 / 40
2. 중학교 2학년 / 55
3. 중학교 3학년 / 67
4. 고등학교 1학년 / 79
Ⅴ. 연도별 기출문제 97
1. 2013학년도 기출 / 99
2. 2014학년도 기출 / 104
3. 2015학년도 기출 / 109
4. 2016학년도 기출 / 113
5. 2017학년도 기출 / 117
6. 2018학년도 기출 / 121
7. 2019학년도 기출 / 125
8. 2020학년도 기출 / 129
Ⅵ. 우수 작성 사례 133
1. 중학교 1학년 ‘일차방정식’ 단원 / 135
2. 중학교 2학년 ‘도형의 닯음’ 단원 / 140
3. 중학교 3학년 ‘대푯값과 산포도’ 단원 / 145
4. 고등학교 1학년 ‘명제’ 단원 / 151
Ⅶ. 학년별 연습 문제 157
1. 중학교 1학년‘ 줄기와 잎 그림’ 단원 / 159
2. 중학교 1학년 ‘정수와 유리수의 덧셈과 뺄셈’ 단원 / 163
3. 중학교 1학년 ‘순서쌍과 좌표’ 단원 / 167
4. 중학교 2학년 ‘연립일차방정식의 풀이’ 단원 / 171
5. 중학교 2학년 ‘일차함수 그래프의 성질’ 단원 / 175
6. 중학교 3학년 ‘무리수와 실수’ 단원 / 179
7. 중학교 3학년 ‘삼각비’ 단원 / 183
8. 고등학교 1학년 ‘직선의 방정식’ 단원 / 187
Ⅷ. 수업 능력평가를 준비하며 191
1. 첫 수업 능력평가에 임하는 마음가짐 / 193
2. 수업을 어떻게 구성할까? / 195
3. 수업 과정에서 중요한 요소들 / 198
4. 수업이 끝난 뒤에 / 203
Ⅸ. 수학 교사로서의 길 205
1. 교과 역량 (수업, 평가) / 207
2. 수학동아리 지도 (수학체험전) / 209
3. 전문적 학습 공동체 (교사 동아리) / 211
4. 모의고사 분석 (문제 풀이 및 수능 대비) / 213
5. 대입 논술 및 수학 전공 면접 준비 / 215
Ⅹ. 나는 이런 선생님이 좋더라! 217
1. 소통과 공감으로 다가가는 선생님 / 219
2. 수업에 자신감이 가득한 선생님 / 221
3. 맡은 일에 최선을 다하는 선생님 / 223
4. 학생에게 하나라도 챙겨주려는 선생님 / 225
5. 후배로서 늘 배우려 하고, 선배로서 잘 챙겨주는 선생님 / 227
Ⅵ. 나는 이미 ‘수학 교사’다. 229
<부록> 단원별 학습 목표 및 지도상의 유의점 235
책속에서
기나긴 1차 시험의 전쟁터를 지났지만 잠시 숨을 돌릴 틈도 없이 2차 시험으로 마음이 조급해질 수 있다. 특히‘교수·학습 지도안 작성’과 ‘수업 능력평가’라는 보다 현실적인 난관 앞에서 어쩌면 수험생들은 큰 혼란에 직면할 수 있다.
여느 수업이나 배움에 있어 어떤‘교사’로부터 어떤‘내용’을 배우는지는 가장 기본적인 요소인 동시에 근본적으로 가장 중요한 요소이지 않을까 싶다. 지나간 학창 시절이나 교생 실습 때의 모습을 한 번 떠올려 보기 바란다.
실제 수업을 위해서 수업 전반의 흐름을 구상하는 과정이 필요하고, 이를 구조화시키는 교수·학습 지도안 작성이 선행되어야 한다. 이때 교사용 지도서를 기반으로 항목별 요소를 틀 안에 채워나가는 것이 일반적인 과정이라 생각해도 좋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