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수험서/자격증 > 공무원 수험서 > 7/9급 공무원 > 한국사 > 7/9급 교재
· ISBN : 9791191950359
· 쪽수 : 1092쪽
· 출판일 : 2023-03-24
책 소개
목차
上 전근대편
PART 01 한국사의 바른 이해
제1장 역사의 학습 목적 / 15
제2장 한국사와 세계사 / 23
PART 02 선사 시대의 문화와 국가의 형성
제1장 선사 시대의 전개 / 31
제2장 계급의 발생과 국가의 형성 / 47
PART 03 고대 사회의 성립과 발전
제1장 고대 사회의 성립 / 81
제2장 고대의 정치적 발전 / 95
제3장 고대의 경제 / 141
제4장 고대의 사회 / 161
제5장 고대의 문화 / 181
PART 04 중세 사회의 발전
제1장 중세 사회의 성립 / 235
제2장 중세의 정치적 발전 / 249
제3장 중세의 경제 / 307
제4장 중세의 사회 / 329
제5장 중세의 문화 / 347
PART 05 근세 사회의 발전
제1장 근세 사회의 성립 / 397
제2장 근세의 정치적 발전 / 407
제3장 근세의 경제 / 465
제4장 근세의 사회 / 489
제5장 근세의 문화 / 513
下 근현대편
PART 06 근대 사회의 태동
제1장 근대 사회로의 지향 / 15
제2장 제도의 개편과 정치 질서의 변화 / 25
제3장 경제 상황의 변동 / 55
제4장 사회의 변동 / 85
제5장 문화의 새 기운 / 113
PART 07 근대 사회의 전개
제1장 근대 사회로의 진전 / 161
제2장 근대 의식의 성장과 민족 운동의 전개 / 195
제3장 근대의 경제 / 241
제4장 근대의 사회 / 257
제5장 근대 문화의 발달 / 265
PART 08 민족의 독립 운동
제1장 일제의 지배 정책과 독립 의식의 성장 / 283
제2장 대한민국 임시 정부와 독립 전쟁 / 313
제3장 일제의 경제 약탈과 경제적 저항 / 347
제4장 민족 독립 운동기의 사회 변화 / 367
제5장 민족 문화 수호 운동 / 385
PART 09 현대 사회의 전개
제1장 현대 사회의 성립 / 415
제2장 민주주의의 시련과 발전 / 449
제3장 현대의 경제 발전 / 491
제4장 현대의 사회 변화 / 501
제5장 현대의 문화 동향 / 507
PART 10 부록
1. 역대 왕조 계보 / 520
2. 역대 연호 / 526
3. 고려 시대의 봉작 및 관직표 / 527
4. 조선 시대의 봉작 및 관직표 / 528
저자소개
책속에서
머리말
역사는 인간의 정신과 생활의 실체를 밝혀 주는 학문으로 역사의 학습은 인간의 사회적 정체성을 각인시키는 구실을 한다. 따라서 근대 국민 국가 성립 이후 국민의 단합을 바탕으로 팽창을 도모하는 패권 국가들은 대부분 자국의 역사 교육을 강화해왔다. 현재의 경우에도 중국의 “동북공정”과 일본의 “독도 영유권 주장”에서 볼 수 있듯이 동북아의 역사 문제가 지정학적으로 첨예하게 대립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21세기 “역사 전쟁”의 시대에 살아가는 우리는 단순한 수단으로서의 역사 학습을 넘어서 우리 문화의 전통을 올바르게 확인하고, 더 나아가 세계사적 차원에서 우리 역사와 세계사의 상호 관련성을 파악하는 역사의식의 함양을 추구해야 한다. 특히 국가 기관이나 공기업에 소속되어 국민에게 공적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공무원이나 공기업 직원들에 있어 올바른 역사의식을 갖추는 것은 필수불가결한 요소라 하겠다.
그러나 역사 학습의 중요성과 역사 지식에 대한 관심 높아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수험생들에게 한국사 과목이 많은 부담을 주고 있는 것도 현실이다. 왜냐하면 역사학의 학문적 성격이나 역사 학습의 의미와는 별개로, 합격과 불합격의 당락을 결정하기 위한 문제의 객관성과 타당성을 중시하는 시험의 성격상 수험생들은 많은 양의 지식을 암기하는 고역을 감내해야 하기 때문이다.
이에 본 교재는 수험생들의 “역사의식 함양”과 “충실한 수험 대비”, 이 두 가지 목표를 동시에 달성할 수 있도록 기획되었다. 역사적 사실들을 체계적으로 정리하되 단순한 역사적 사실의 항목별 나열이 아닌 개별적 사실 사이의 인과 관계를 밝히기 위해 노력하였고, 학생들이 커다란 역사의 흐름 속에서 개별적 사실들을 조망할 수 있도록 책을 구성하였다. 본 교재의 충실한 활용을 통해 수험생들의 시험에 대한 부담을 줄이면서도 동시에 역사에 대한 이해도를 총체적으로 높일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교재를 기획·집필하는 동안 주위의 많은 사람들에게 도움을 받았다. 이들의 도움이 없었다면 교재를 필요한 시기에 출판하는 것이 불가능했을 것이다. 우선, 한국학 중앙 연구원의 최현화 선생에게 감사하다는 말을 전하고 싶다. 고대 신라사를 연구하는 최현화 선생은 고대사 분야의 최신 학설에 대한 여러 이슈들을 명쾌하게 해결해주어 교재 완성의 충실을 기하는데 많은 도움을 주었다. 또한 박사 논문을 마무리하는 바쁜 와중에도 강의 분담에 많은 도움을 준 신경미 선생에게도 고마운 마음을 전한다. 그리고 김택경, 김호진 선배님을 빼놓을 수 없다. 두 분 선배님은 내가 삶의 질곡을 겪을 때마다 마음을 기대어 의지할 수 있는 든든한 버팀목이 되어주었다. 마지막으로 저자의 번다한 요구를 수용하여 교재를 더 가치있는 형태로 편집해준 형설편집부 관계자에도 감사의 말을 전한다.
2023년 정월 연구실에서
장재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