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수험서/자격증 > 국가전문자격 > 공인노무사
· ISBN : 9791192288529
· 쪽수 : 137쪽
· 출판일 : 2022-09-22
책 소개
목차
머리말 1
I. 2차 논술은 방법론이 중요 3
1. 2차 논술이 어려운 이유 4
2. 막연하게 ‘잘되겠지’ 생각하다가 시험 다가오면 큰 코 다친다 6
3. 방법론을 설정하고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 7
4. 빨리 넘볼 수 있는 급을 만들어 두는 게 중요 9
5. ‘이제는 공부만 하면 되겠구나.’하는 상태에서 공부를 시작하자 10
6. 이해하기도 만만치 않은 이 두꺼운 책을 다 외워서 써야 한다니 10
7. 2차 공부 개선은 안출의 문제화 그리고 현실화의 관점으로 11
8. 책에 적혀있는 것이 정말로 나의 실제 실력은 아니다 11
9. 학습 의의 측면에서도 방법론이 확립되면 세부 공부 더 잘 된다 13
10. 1차 객관식과 비교되는 점에서의 2차 공부의 치열성, 느슨성 13
11. 2차는 특히 기간 후 예측과 시뮬레이션이 중요하다 14
12. 2차 답안지는 한계를 알려주는 곳이 많지 않아서 힘들다 14
13. 좋은 공부법 채용이 힘든 이유들 14
II. 좋은 공부법 평가의 기준 17
1. 적게 공부하고 머리에 많이 담기 18
2. 5분을 해도 좋은 것인가 19
3. 루트대로 가고 있는 방법인가? 19
4. 작은 접근을 큰 접근에도 연결시키기 23
5. 이론 구상 적용이 어색하지 않은가 23
6. 책 안 보고도 ‘이건 이렇다’할 수 있나 23
7. 작은 기준을 통과해야 큰 기준 간다 24
8. 바로 실행해서 바로 성과가 나오는가 24
9. 가능한 것은 극대화 아닌 것은 최소화 25
10. 시험 날 아침 모습이 상상 가능한가 25
11. 시험 막판까지 쓰는가 26
12. 시험날 뿜어낼 수 있는 인풋인가 26
13. 단단히 외워지게 하는 암기법 26
14. 자기식으로 잘 해체하게 해주는가 27
15. 점차 공부량이 줄어드는 방법 28
16. 이 방법이 최고라는 셀프 검증 29
III. 방법론 없이 책만 보는 것은 무의미 31
1. 들어가기 32
2. 이제는 별도 시도를 안 하는 수험자는 거의 없다 32
3. 단순히 밑줄만 그어주는 것만으로는 부족하다 33
4. 각 페이지별 독립성을 보여줘야 한다 34
IV. 나만의 스토리나 체제가 있어야한다 35
1. 들어가기 36
2. 나만의 스토리와 체제의 장점, 예시, 비유 41
3. 다른 이론과의 관계 57
4. 나만의 스토리는 암기 부담을 덜어준다 57
5. 체제란 무엇인가 58
6. 답안 쓸 때는 스토리가 안출을 돕는다 60
7. 문제의식이 있어야 체제가 나온다 60
8. 체제 개념에 입각하면 수험생활이 이렇게 변한다 60
9. 2차 주관식 채점관은 좋은 강의 좋은 설명을 듣고 싶어한다 63
V. 나만의 스토리나 체제를 만들려면 이렇게 공부해라 65
1. 기존 책을 염두에만 두지 않는다 66
2. 늘 내가 주관이 되고 주체가 되는 리딩 습관을 가지고 공부한다 66
3. 앞서 한 메모가 많으면 반가워야 한다 66
4. 이야기가 이야기를 만들게 하자 66
5. 주관이 투철해진 공부를 하면 남의 강의도 더 쏙쏙 들어온다 67
6. 책과 내용 생성에 대한 주관을 가지자 69
7. 흔한 말로 뺑뺑이 돌리는 법 69
VI. 캐릭터 등으로 특징지어 암기해야 한다 71
1. 의미 72
2. 비유 73
3. 필요한 이유 개괄 74
4. 단계적 시도를 한다 81
5. 리스트 준비를 잘 해두는 게 필요한 이유 81
6. 이것을 정규적인 2차 주관식 독서법으로 해도 무방하다 81
7. 일종의 동음이의어가 작용되는 셈 84
8. 적어도 안출해내는 스피드에서는 내가 뒤지지 않게 간다 85
9. 시간이 지남에 따른 캐릭터의 부착변화를 구상하고 관찰한다 85
10. 접합의 기술이 관건이다 85
11. 제목이 없거나 긴 복구조가 문제이다 86
12. ‘생활들아 나를 도와줘’하고 이야기 하게 된다 86
13. 처음에는 그 위력을 모르지만 캐릭터가 늘면서 시너지가 난다 86
14. 캐릭터가 부착된 내용의 고착화가 가속화된다 87
15. 캐릭터가 부착되어서 생각나는 상태는 행복한 상태 87
16. 캐릭터 하나 붙이는 것은 객관식 한 문제를 제대로 푸는 셈 87
17. 캐릭터리스트는 남들의 요약집 같은 기능을 수행 87
18. 캐릭터의 부착은 완전히 자신의 자유의지이다 88
19. 캐릭터 회의론에 대한 디펜스 88
20. 1차 객관식에서의 쓰임보다 더욱더 커질 효용 88
21. 자기 것, 자기 밑천이 있어야 2차 시험장에서 버틴다 89
VII. 눈, 뇌, 몸을 써서 1차 보다 적극적으로 할 수 있다 91
1. 들어가기 92
2. 의의와 장점 그리고 그 비유 92
3. 극단적으로는 책 없이도 하는 공부 94
4. 논할 정도가 되면 억지로 외움의 의존이 줄어든다 94
5. 들입다 보고선 그냥 책 덮고 복기만 한다고 되나? 95
6. 여러 가지 ‘복수’에 대한 파악이 공부법 완성에 도움이 된다 96
7. 뇌와 몸에 익혀 책에 대한 의존이 줄면 공부 효율 올라간다 98
8. 2차생인 동안은 이런 사람이 된다 99
9. 이런 생각을 더 공고히 할 ‘삼천궁녀 이론’ 102
VIII. 뇌 교과서 개념으로 공부하고 정복하자 105
1. 들어가기 106
2. 의의와 장점 그리고 그 비유 107
3. 뇌교과서와 그냥 교과서(내지는 방계 학습법)의 차이 110
4. 뇌교과서는 어디에 어떤 모습으로 존재 111
5. 뇌교과서의 구성요소는 시각 2 : 논리각 3 : 암기각 5 112
6. 시험 직전 봤던 기억으로 승부하겠다는 생각을 버려라 112
7. 뇌교과서도 온전히 다 기억 안 난다는 전제로 공부구상 짠다 112
IX. 뇌교과서 강화 전략 그림자 서브, 흔적 서브 만들기 115
1. 들어가기 116
2. 객관식은 문제 풀며 익숙해지는데 주관식은? 116
3. 주관식은 표출하고 토해내야 하는 부분이 많기에 반드시 필요 116
4. 2차는 결국 끄집어내야 하는 공부이기에 117
5. 주관식을 공부하면서 들었던 여러 생각을 포섭하는 게 이 노트 118
6. 시험에 임해 어떻게 해야 할지 정리한 전략 노트 118
X. 스크린적 논리 복기 119
1. 의미 120
2. 단권화는 기본적으로 되어야 한다 120
3. 목차 따로 정리해서 카드화 한 사람과 비교 120
4. 페이지당 3개 + 연관성과 강의꺼리 암기 + 백 개 노트로 완성 122
5. 완전 종합체에 기인한 장점 비유 의미 122
6. 시스템마인드(법학은 리걸마인드)의 발휘 131
7. 시스템마인드의 핵심: 계층적 사고 132
8. 시스템마인드의 핵심: 결합연결사고 분리사고 132
9. 시스템 마인드의 핵심: 미시 리걸마인드, 거시 리걸마인드 133
10. 시스템마인드의 핵심: 날줄씨줄 사고 133
11. 시스템마인드의 핵심: 비교 사고 133